장광진 명예교수(010-7456-5011)
2009. 4. 28. 06:50
귀농…농촌의 새 희망으로 - 귀농 성공하려면 이것만은… |
|
|
|
|
(아래)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의 한 공원에서 열린 ‘도시농부학교 텃밭 나눠주기’ 행사에 참여한 시민들이 텃밭용 배양토 만들기 실습과 작물 관리 요령을 배우고 있다. | |
“할 것 없으면 시골에서 농사나 짓지….” 일반인들이 힘들 때면 무심코 하는 이 말은 실제 농촌에 정착한 사람들이 가장 듣기 싫어하는 소리 중 하나다. 또 장차 귀농을 고려하고 있는 이들이 특별히 경계해야 할 말이기도 하다. 귀농은 결코 만만치 않고, 쉽게 결정할 일도 아니다. 하지만 귀농을 일단 결심했다면 철저한 준비로 초기 시행착오를 최소화해야 한다. 귀농자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 정보는 전국귀농운동본부(☎02-2281-4611)와 농림수산식품부 경영인력과(☎02-500-1730) 등으로 하면 된다. 농업인재개발원에서 운영하는 통합농업교육정보시스템(www.agriedu.net)에서도 온라인 귀농 교육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앞서 귀농한 사람들을 만나 조언을 듣는 것도 시행착오를 줄이는 방법이다. 귀농인 및 귀농 준비자 카페로는 ‘우리는 지금 농촌으로 간다(cafe.naver.com/uiturn.cafe)’ ‘귀농을 원하는 사람들의 모임(cafe.daum.net/refarm)’ 등이 있다. 처음부터 농사로 큰 부자가 될 수 있다는 환상도 버려야 한다. 농산물의 품질을 차별화하고, 수확 후 판로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도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 귀농 후 마을 사람들과 하나가 되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보수성이 특히 강한 농촌에서 ‘독불장군’은 설자리가 없다. 겸손하게 마을 공동체에 동화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정부 차원의 귀농 정책은 일회성의 지원책보다는 성공적인 정착을 돕는 사후 관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또 정부 지원금만 받아내려는 가짜 귀농인을 가릴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이는 귀농 정책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지속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마을 정착의 경우 귀농인이 아무리 노력해도 마을에서 배타적인 감정으로 대하거나 ‘텃세’를 부리면 견뎌내기 힘들다”면서 “농촌지역 주민들도 귀농인을 마을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동반자로 생각해 한가족으로 감싸 안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용범 전국귀농운동본부 사무처장은 “정부의 귀농 정책은 배불리 먹을 한보따리의 양식보다는 양식 모으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더 무게를 둬야 한다”며 “귀농 정책을 세울 때 전업형의 귀농뿐만 아니라 전원생활형 ‘귀촌’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창희 기자 chp@nongmi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