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습해 봅시다.
1. 「to부정사」가 가진 문제점(단점) → 문제해결 → 다른 문법과 연결
☞ 전치사 뒤에 쓸 수 없다.
Ex) 1. We have a problem in to like him.
Ex) 2. We object to to go.
▶ Like + → 「좋아하는 것」
2. 「to부정사」가 빠진 상태에서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두 가지 방법
① ~ er: 동사에 선택적으로 쓸 수 있다. ex) liker (X), sayer (X)
② ~ ing: 동사를 명사로 만들어 주는 유일한 방법
Ex)1. to study → 명사 → studying
Ex)2. to fix → 명사 → fixing
☞ 문법적으로 [동명사]라고 명명
이유 ▶ 동사를 명사로 바꿔주기 때문에
◎ 동명사가 만들어진 원인
1. 「to부정사」가 가진 문제점(단점) → 문제해결 → 다른 문법과 연결
☞ 전치사 뒤에 쓸 수 없다.
Ex) 1. We have a problem in to like him.
Ex) 2. We object to to go.
▶ Like + → 「좋아하는 것」
2. 「to부정사」가 빠진 상태에서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두 가지 방법
① ~ er: 동사에 선택적으로 쓸 수 있다. ex) liker (X), sayer (X)
② ~ ing: 동사를 명사로 만들어 주는 유일한 방법
Ex)1. to study → 명사 → studying
Ex)2. to fix → 명사 → fixing
☞ 문법적으로 [동명사]라고 명명
이유 ▶ 동사를 명사로 바꿔주기 때문에
◎ 동명사가 만들어진 원인
| ||||||||||||||||
![]() |
![]() |
|||||||||||||||
| ||||||||||||||||
| ||||||||||||||||
|
◎ [주어] 자리에「동명사」가 많을까? 「to부정사」가 많을까? ≫「동명사」를 쓰는 것이 쉽고 간단하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to부정사」를 쓰는 이유 ≫ 주어를 강조하기 위해 (to 부정사의 강조용법) < 오늘의 포인트 정리 1 >
|
![]() |
|
Ex) To excise everyday is Import!ant. (강조된 주어) ≫ Excising everyday is import!ant. (평범한 문장) ☞ 두 문장의 해석은 같으나 의미상 구별됨 ◎ Check Practice <> ① I am looking forward to to meet you. 문제해결 → I am looking forward to meeting you. ② We object to to go there. 문제해결 → We object to going there. ③ She is interested in to study Korean history. 문제해결 → She is interested in studying Korean history. ((Point)) [전치사 뒤에 to 부정사를 쓸 수 없다]라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단어를 쓰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문법이 시작됨 → 무슨 문법이 새롭게 등장하나요? ☞ 동명사 ◎ Critical Questions ① 「to 부정사」에서 부정사라는 이름이 붙게 된 이유는? 단어 개수와 의미의 부정확성 때문에 ② 「to 부정사」의 To는 무엇으로 번역하나요? [~ 는 것] ③ 「to 부정사」를 왜 만들었나요? 동사를 명사처럼 쓰기에 빠르고 편리하다. ④ 「to 부정사」를 쓸 수 있는 위치는? O O [명사] + [동사] + [명사] / [전치사] + [명사] ⑤ 「to 부정사」는 전치사 뒤에 왜 못 쓰나요? ☞ 「to 부정사」는 전치사에서 건너와서 전치사의 [to]와 겹친다. ⑥ 꼭 전치사 뒤에 써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to 부정사」를 삭제하고 [동사+ing] 로 만든다. ⑦ 「to 부정사」는 두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O [YES] [NO] ☞⑴ 전치사뒤에 쓸 수 없다. ⑵ 주어로 쓰면 두 단어로 복잡해진다.
⑧ 동명사가 생기게 된 이유는 무엇 인가요?
☞ 「to 부정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⑨ to 부정사와 동명사는 둘 다 "~는 것"이라는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O [YES] [NO]
⑩ to 부정사와 동명사는 같은 문법? 다른 문법?
☞ 해석과 쓰는 자리와 하는 역할이 같으므로 같은 문법이다.
⑪ to 부정사와 동명사 중 어느 것이 주어로 더 많이 쓰이나요?
이유는?
☞ 동명사가 많이 쓰임 / 주어자리는 간단하고 쉬운 것을 선호
⑫ 그럼에도 불구하고 to 부정사를 주어로 썼다면 무슨 뜻인가요?
☞ 강조하기 위해서
⑬ to 부정사와 동명사처럼 한쪽의 영향을 받아서 생긴 문법을 무엇이라고 부르나요?
☞ package 문법 [서로 연결이 되어 있는 문법] [=family group]
◎ Practice ① 주어가 너무 심각(강조)한 것 같아요. 가볍게 바꿔볼까요? (to 부정사 → 동명사로) ⑴ To persuade him is difficult. ☞ Persudaing him is difficult. ⑵ To gather the information is your job. ☞ Gathering the information is your job. ② 주어가 좀 가벼운 것 같아요. 강조하고 싶어요. ⑴ Keeping the promise is basically import!ant. ☞ To keep the promise is basically import!ant. ⑵ Understanding grammar is easy and interesting. ☞ To understand grammar is easy and interesting. ◎ High-Level Questions ① to부정사를 쓸 수 있는 자리는 모두 몇 군데 인가요? O O [명사] + [동사] + [명사] / [전치사] + [명사] ② 동명사를 쓸 수 있는 자리는 모두 몇 군데 인가요? O O O [명사] + [동사] + [명사] / [전치사] + [명사] < 오늘의 포인트 정리 2 > - 문법 버전으로 마무리! - 1.
| ||||||||
| ||||||||
| ||||||||
| ||||||||
|
2.
| ||||||||
| ||||||||
| ||||||||
| ||||||||
|
* 다음 시간에는 새로운 스타일의 「to」에 대해서 배워봅시다.
'詩 > 영어와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영문법 Lesson 06 생활속의 To (0) | 2007.11.19 |
---|---|
기초영문법 Lesson 05 합칠수 있는 세 개의 To (0) | 2007.11.19 |
기초영문법 Lesson 02 반드시 알아야 할 To부정사의 쓰임 (0) | 2007.11.19 |
[스크랩] 기초영문법 Lesson 01 이름속의 비밀 To 부정사 (0) | 2007.11.19 |
고사성어속에 담긴 지혜 (0) | 2007.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