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토양이야기

(105)
황토의 이해 붉은 흙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이해 필요 호기성미생물 활동이 왕성하여 유기물 분해 촉진으로 식물 양분 풍부 산하가 하나같이 초록으로 물들어 있는 삼림풍광에 흙은 고장마다 고유한 색조를 지니고 경관을 조화롭게 장식한다. 강원, 충북 일원의 석회암지대나 홍적퇴적층의 대지에서 발달된 흙은 황토색(Yellow)에 비해 적색(Red)이 선명하여 토색첩(土色帖, Munsell)의 색상(色相)이 5YR이상으로 적색토(赤色土) 색상에 가깝다. 이 범주에 포함되는 붉은색 흙은 우리는 적황색토(Alfisol, Ultisol)로 분류하여 열대와 아열대에 주로 분포한 옥시솔(Oxisol)과 구분한다. 옥시솔은 흙의 최종생성과정의 산물이어서 그전단계에 형성된 우리의 알피솔이나 울티솔보다 오랜 기간 풍화작용을 받은 관계로 철과 ..
아조토박터(Azotobacter) 연약한 지구 피부에 생기를 불어 넣는 흙 속 ‘질소고정’ 세균                                                                           2020.02.06 21:53 입력 김응빈 교수     새해를 맞아 몸만들기를 다짐하는 사람들이 많다. 단지 옷태가 아니라 건강이 살아나는 몸을 위해서 말이다. 이런 각오가 현실이 되려면 올바른 식단 조절과 함께 적절한 운동이 반드시 따라야 한다. 아울러 본격적으로 근육운동을 시작한다면 (특히 중년 이후), 아미노산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만드는 기본 재료이고, 단백질은 근육의 주성분이다. 따라서 충분한 아미노산 공급으로 체내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면 근육의 손상 방지 및 운동 후 근육통 예방..
뿌리혹박테리아 콩 재배와 뿌리혹박테리아 뿌리혹박테리아(leguminous bacteria)는 리조븀(Rhizobium) 속의 그램 음성 토양 세균이다.콩과 공생(혹은 기생)하며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세균이며 뿌리에 작은 혹으로 존재하는 세균을 뿌리혹박테리아 다른 이름으로는 균류균이라고도 한다. 거의 대부분 생명체의 활동이 생체 촉매라는 효소에 의해 이뤄진다. 뿌리혹박테리아는 질산환원효소를 가지고 있다. NO3- 라는 질산에서 산소를 빼앗아 가는 것이다. 그러면 질산이온이 되고 식물체는 직접 질산은 수용할 수 없는 대신 질산 이온은 수용할 수 있다. 식물은 이런 질산이온을 영양분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뿌리혹박테리아는 식물이 단백질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대신 자기 자신이 살아갈 수 있는 영양분을 식물한테서도 ..
생육에 적합한 토양 pH 각종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 pH  작물명최적 pH작물명최적 pH작물명최적 pH가지6.0~7.3배추6.5~7.0연꽃6.8정도감5.5~6.5백합6.0~7.0영산백(왜철죽)5.2~5.8감귤나무5.0~6.0벼 (논 재배용)5.5~6.5오미자6.0~6.2감자5.0~6.0벼 (논재배용묘)4.8~5.3오이6.0~7.0강남콩5.5~6.8벼 (밭 재배용)4.6~5.5오챠드글라스5.5~6.5고구마5.5~6.8보리6.5~7.5옥수수5.7~7.5고추6.0~7.0복숭아5.2~6.3완두콩6.0~7.0곰솔(흑송)4.7~5.2부루콜리6.0~6.5우엉5.5~6.5구약감자5.5~6.0부추6.0~6.5월과6.0~6.5국화6.0~7.0비파5.5~6.0유채5.0~6.2꽃양배추5.5~7.0뽕나무5.0~6.5이탈리안그라스6.0~6.5난5...
산화환원전위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최근에는 로터리 경운이나 스피드 스프레이어, 화학비료의 지나친 사용으로 토양이 굳어져 토양속으로 그다지 많은 산소가 들어가지 못한다. 또한 유기 재배 등의 보급에 따라 미숙한 유기물의 다량 투하에 의한 토양의 환원화도 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작토는 산화상태로 산소를 좋아하는 호기성 균이 활동하고 있고, 토양 중의 물질도 산소와 결합 안정화 되어 있어야 산소가 충분하게 있게 된다, 습지는 침수상태에 있기 때문에 공기와 토양이 차단되어 흙 속에 산소가 들어가지 못하고, 호기성 균은 사멸한다. 따라서 혐기성 균이 활동하도록 되어 토양 중의 산소부족 상태가 강하게 된다.  산소가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를 산화상태, 부족..
구아바 재배 환경 구아바 재배 토양 환경   구아바는 다양한 유형의 토양에 적합하다. 그것은 배수가 잘되고 비옥 한 곳에서 더 잘 자란다. 비옥하지 않은 토양에서도 자란다. pH가 5 ~ 7 인 토양에서 잘 자란다. pH가 5 미만 또는 7 이상인 토양에서 재배하면 아연 결핍 또는 철분 결핍이 각각 발생한다. 구아바는 염분에 상당히 강하다. 묘목의 성장 임계 값은 1.2 dS / m이며, 14 dS / m에서 50 일 후 생존율은 25 %입니다 (Tavora, et.al., 2001). 구아바는 수분을 선호하는 과일 나무이므로 물이 많으면 가장 좋다. 강우량은 600mm / 년 이상이어야 한다. 1000mm ~ 2000mm가 최적이다. 식물 성장, 생식 성장의 개화 및 과일 발달을 위해 충분한 수분이 필요하다. 나무는 최..
식물 영양 토양 속의 양분  ●CEC(양이온 교환용량•염기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CEC)는 양이온 교환용량이나 염기치환용량이라고 불려진다. 양이온(+)의 유지능력을 수치로 표시되고 있다. CEC를 나타내는 단위는 cmol/kg이나 meq/100g가 사용되고 있지만1cmol/kg=1meq/100g이기 때문에 단순히 수치를 비교할 수 있다. CEC 외에 Total Cation Exchange Capacity(TEC)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CEC와 같은 의미이며 같은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양이온의 유지능력이 양분유지능력과 같다고 생각하면 표1에서 양분이 식물에 흡수될 때의 형태가+이온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CEC의 수치가 크면 클수록 토양은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토양의 마이너스부분에..
토양 수분 스폰지를 사용한 실험     먼저 스폰지에 물을 충분히 포화시킨다. 양동이에 스폰지를 완전히 담가 두는 것이 좋다. 이때 스폰지의 빈공간의 부분(공극)에 완전히 물이 스며들도록 한다. 그리고 스폰지를 양동이에서 들어 올리는 순간은 공극에 100% 물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비가 내려 토양이 수분으로 포화된 상태와 같으므로 「최대용수량」이라고 한다(사진1).그 스폰지를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손에 갖고 있으면 중력에 의해 자연히 물이 스폰지에서 흘러 떨어진다. 당분간 스폰지에는 아직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지만 흘러 떨어지는 물이 정지된다. 이 상태는 비가 그친 후1~3일 경과한 상태와 같아 「포장용수량」이라고 한다(사진2).포장용수량부터 다음에 설명하는 영구 위 조점까지의 포함되는 물은 식물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