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敎/농업CEO과정

중국 인삼현장 연수 1

 중국 인삼 현장 연수  


 생산현황

재배지와 재배종류 : 중국의 인삼재배지는 산림을 개간하여 인삼재배를 한다. 대부분 고려삼을 재배하며, 서양삼인 화기삼은 70년대부터 종자를 도입하여 재배하기 시작했다. 북방지역은 인삼을 약재로 인식해 질병치료로 사용하며, 남방지역은 보신용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고려삼은 약재로 인식해 북방지역이 선호하고 남방지역은 보신용으로 인식되고 있는 서양삼을 선호한다. 

인삼가공 방법

홍삼 : 100℃에서 2-3시간, 60-70℃에서 12시간, 40-50℃에서 24-36시간 건조시켜 만듬

건삼 : 수삼을 건조시킨 것으로 제품으로는 검삼, 백간삼, 생간삼, 피미삼 등이 있다.

대력심 : 85℃에서 8-10분간 데친 후 하수를 말린것이다.

당삼류 : 끓는 물에 10-15분간 데친 다음 설탕물에 연속 3번 담근 후 30-40℃에서 3-4일 말린것이다.

동간삼 : 활성삼이라고 하며 -20℃의 저온진공건조에서 2-3시간. 40-50℃에서 20분간 유지한다.

유통구조

중국인삼은 산지가공공장에서 가공후 대부분 각지의 약재도매상을 통해 소매점으로 유통되고 홍삼과 백삼제품의 경우 일부 생산농가에서 자체 가공후 산지 교역시장을 통해 유통되기도 하나 품질은 낮다.

수입산은 각지의 대리점을 통해 판매되고 있어 북경, 상해 등의 주요 대도시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수출동향 : 중국의 인삼류 수출은 98년 2천1백75톤(4천1백79만달러), 99년 4천1백54톤(5천3백38만달러), 2000년 4천8백88톤(5천89만달러)로 집계됐다. 그러나 수출단가는 ㎏당 99년 12.84달러, 2000년 10.41달러로 하락했다.

 수입동향 : 98년 2천4백36톤, 99년 2천7백92톤, 2000년 2천5백28톤이 수입됐다. 주 수입국은 캐나다와 미국 등이다.

수입제도

99년 5월 1일 시행한'수입약품관리방법'에 의해 뿌리 인삼을 의약품으로 분류하고 있어 수입약품등록 비준을 반드시 받아야 수입,유통을 할 수 있다. 중국은 2001년 8월 한국인삼공사 등 3개사에 대해 12월 5일까지 한국산 뿌리인삼에 대해 잠정적으로 수입약품등록 비준서를 발급하였다. 한국산 뿌리 인삼류의 수입관세율은 28%이며 부가세는 13%를 적용하고 있다.


※ 참고: 1무(畝)는 6.667a로 약200평,  1원(元)은 0.12$로 우리돈 약137원

 

  

 

 

 

  

  

  

  

  

 

 

 

' > 농업CEO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삼약초 현장교육  (0) 2009.07.26
백두산의 사계  (0) 2009.07.08
산삼, 인삼약초현장실습  (0) 2009.06.28
인삼약초연수계획서  (0) 2009.06.07
제6기 CEO과정 체육대회 우승  (0) 2009.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