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토양이야기

pH측정/Conductivity 측정

pH측정/Conductivity 측정

 

 

 

pH의 정의

pH = - log10 {수소 이온의 농도}
pH = -log10{수소이온의 activity}= -log10{수소이온의 농도×activity constant}
Activity constant는 이온이 화학반응에 참여하는 정도를 표시한 양으로 묽은 용액처럼 이온수가 적을 경우
1.0이며 이온 농도가 많아지면 1.0보다 작다.

pH 측정방법

- 지 시 약 : 가장 간단한 pH측정법. 유색용액에서 색상 구분불가능
- 수소전극 :백금 표면에 수소 gas를 흡착시켜 이것을 피검액에 담그면 액의 수소 이온 농도에 관련 된 전위가 발생.
  pH측정의 표준
- 안티몬 전극: 불산과 같이 유리 전극을 쓸 수 없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
- 유리전극 :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pH 측정원리

◇ Nernst Equation U = U0 + (2.303*RT/zi*F) logai = U0 + UN logai ]
◇ 이온 및 온도에 따른 Nernst slope

Temperature
t/℃
Nernst slope
UN/mV
 
0
10
20
25
30
38
40
50
60
70
80
90
54.20
56.18
58.17
59.16
60.15
61.74
62.14
64.12
66.10
68.09
70.07
72.06
Temperature
dependence of
Nernst slop for
univalent
positive ions
(z=1)
 

 

 

pH Calibration

▣pH 표준용액
- pH 4.00 (25℃):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10.21 g/l
- pH 6.86 (25℃):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3.4 g + sodium phosphate 3.55 g/l

▣ 온도에 따른 pH의 변화 (Metrohm Buffer)
buffer
t℃
pH 1.00
±0.02
4.00
±0.02
4.64
±0.01
pH
6.98±0.01
pH 7.00
±0.02
pH 9.00
±0.02
pH 13.00
±0.03
10
20
25
30
38
40
50
60
70
80
90
0.99
1.00
1.00
1.00
1.00
1.00
1.01
1.01
1.01
1.02
1.02
3.99
3.99
4.00
4.00
4.02
4.02
4.04
4.07
4.11
4.15
4.20
4.66
4.65
4.64
4.64
4.65
4.65
4.67
4.69
7.18
7.12
7.07
6.98
6.96
7.06
7.02
7.00
6.99
6.98
6.98
6.97
6.97
6.98
6.99
7.01
9.13
9.04
9.00
8.96
8.91
8.90
8.84
8.78
8.74
8.71
8.68
13.38
13.00
12.81
12.62
12.36
12.30
11.98
11.70
11.45
11.20
10.98

▣ Assymmetric Potential
유리 전극의 내, 외부의 비대칭성으로 나타내는 편차(±30mV이내)
▣ Nernst slop ( = Relative slop)
(0.95 ≤S ≤1.03)


pH측정시 유의사항

·pH 보정시 - 온도보정(측정시료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보정) - buffer series선택
·시료에 따른 적절한 전극 system 선택
·적절한 전극의 세척 및 보관

전도도 측정

Conductivity는 전류를 이동시키기 위해 두 개의 전극사이에 가해진 전기장에서 전해질용액의 이온전달능력 으로서
AC 에 의한 저항값을 측정하여 수치화한 값이다.
◇ Ohm'law
   R=U/I U : 전압 I : 전류
◇ Conductance G = 1/R(siemens =1/ )
◇ Conductinity K = G*Kc
   Kc: cell constant ( L/A cm-1)
   K = A*C / 1000
   A : equivalent conductivity
   C : Equivalent amount of substance conc.
       전도도 단위 : US/cm, S/cm
◇ Cell constant : 전극사이의 거리/전극의 면적 (1/cm)
◇ Temperature Coefficient : 측정온도에서의 전도도를 기준온도의 전도도로 전환시키는 온도 계수 (%/℃)
◇ 용액의 전도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용액 중 이온의 양 - 이온의 종류 - 용매의 극성 -온도
◇ 전도도 cell의 선택 전도도가 높을수록 cell constant가 큰 cell을 선택



 

' > 토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옴저항(ohmic resistance)  (0) 2012.07.19
pH Meter Resources.   (0) 2012.05.04
유기퇴비 만드는 법  (0) 2012.03.28
토양 용액진단  (0) 2012.03.17
pH 전극 주요 사항   (0) 201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