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진 농정연구센터장
7624명. 지난해 기준 40세 미만 전국 농가경영주의 숫자다. 통계청에 따르면 40세 미만 농가경영주는 그나마 지켜온 1만명선마저 무너져 2017년에는 9273명을 기록하더니 이제는 7000명대로 폭삭 주저앉았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청년농 육성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40세 미만 농가경영주 숫자는 또다시 감소세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청년층을 농업분야로 끌어들이려면 소득과 삶의 질 등 다각적 관점에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업인력 육성문제에 정통한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연구센터장은 청년농의 성공적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일곱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소득 측면에서는 ‘승계농’ ‘창농 준비자금’ ‘영농경력’ ‘경영장부 기록’, 삶의 질 측면에서는 ‘지역주민과의 갈등’ ‘지역사회로부터의 기대’ ‘농업소득으로 생계 가능성’이다. 이는 전국 청년농 462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 방식의 실태조사를 거쳐 도출했다.
마 센터장은 승계농이 창업농보다 높은 소득을 올린다고 분석했다. 부모로부터 농지·자금 같은 재산을 상속받고 경영교육을 받은 승계농이 영농정착 초반에는 창업농보다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 센터장은 “은퇴한 숙련농이 창업농의 농가경영에 직접 관여해 농업 지식을 전수하는 제도적인 지원을 정책수단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다음은 창농 준비자금의 규모다. 창농 준비자금이 많을수록 소득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맨손으로 농업에 뛰어든 창업농이 안정적으로 자금을 마련하기란 쉽지 않다. 창농 과정에서 필요한 농지·축사의 임대·구매 비용과 생활비·주거비 등 초기 정착비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농경력 역시 청년농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다. 창농 전 농업법인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이들의 소득이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 관련 교육 역시 소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영장부 기록 여부도 소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농업소득을 기준으로 저소득(2000만원 미만) 청년농의 27.3%가 부기 기장을 했지만, 고소득(7000만원 이상) 청년농은 그 비율이 47.9%에 달했다. 재무관리가 소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요인으로는 지역주민과의 갈등문제가 있다. 지역주민의 선입견이나 텃세 등 지역사회에서 겪는 다양한 갈등은 청년농의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청년농이 지역사회로부터 높은 기대를 받으면 삶의 질 만족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매우 불만족한다는 청년농은 ‘지역의 기대를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0%에 그쳤지만, 매우 만족한다는 청년농은 이 비율이 75%에 이르렀다. 이에 청년농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기존 지역사회 네트워크로의 편입 등 사회적 관계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는 농업소득으로 생계 가능성이 꼽혔다. 소득의 절대적인 규모보다는 농업으로 생계를 꾸려갈 수 있다는 긍정적 전망이 삶의 질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마 센터장은 “귀농인은 고소득일수록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지만 청년농의 경우 소득규모는 삶의 질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었다”면서 “오히려 농업을 통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다는 전망이 삶의 질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함규원 기자(농민신문)
'敎 > 농촌재능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재능나눔 (0) | 2021.04.05 |
---|---|
마을과 마음을 연결한다 (0) | 2020.11.29 |
농촌재능나눔 봉사활동 (0) | 2019.07.28 |
한국농수산대 약토연구회 (0) | 2018.09.13 |
약토연구회 농촌재능나눔활동 (0) | 2017.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