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농예정지 토양 검정표 및 표준 시비량
(1) 지황 재배 적정 양분 및 표준 시비량
pH(1:5) | OM (g/kg) |
P2O5 (mg/kg) |
K (cmol+/kg) |
Ca (cmol+/kg) |
Mg (cmol+/kg) |
EC (ds/m) |
6〜6.5 | 25〜35 | 150〜250 | 0.45〜0.55 | 5〜6 | 1.5〜2 | 0〜2 |
자료 : 흙토람
비료 및 석회 시용
구분 | 질소 | 인산 | 칼리 | 석회 |
(kg/10a) | 기비 16 | 기비 14 | 기비 20 | 토양시비처방에 의한 실량 |
·표준시비량(kg/10a): 복합(21-17-17) 20kg 4포 + 염화가리(60%) 단비 10kg 자료: 고품질 지황 재배기술 |
(2) 토양 검정표 해석 및 적정 시비량 계산
(가) 토양 산도 (pH)
토양 산도는 토양 미생물 활성과 주요 비료성분 및 미량원소의 흡수를 좌우한다. 시설토양은 사용 비종과 염류에 따라 산도 변화 폭이 큰 편이다. 산성토양은 작물 뿌리의 양분흡수를 방해하고 알루미늄(Al³⁺), 철(Fe³⁺)이 나와 인산을 고정하여 불용성 인산을 만들어 작물 생육에 영향을 준다. 석회질비료와 유황, 유안으로 작물에 맞는 pH를 조성해야 한다.
① 토양 산도 교정
토양검정표의 산도는 pH 5.8 정도로 지황 재배지의 적정 pH는 6.0 〜 6.5보다 다소 낮은 산성 토양이다. 산성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은 생석회나 소석회 등 석회물질을 시용하여 토양 pH를 6.0~6.8 정도로 교정하는 것이다. 석회시용 방법은 파종 15일 전 토양전면에 고르게 살포한 후 경운, 로타리를 하여 토양과 잘 혼합해 주며 석회소요량은 농진청 간이 검정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석회와 인산질 성분이 직접 닿으면 인산이 불용성의 인산석회로 되어 인산고정이 일어난다. 따라서 석회를 미리 주어 산도를 교정한 후에 인산질 비료를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유기물
토양 유기물은 각종 작물이나 동물들의 사체가 분해되어 만들어지는 고분자 물질이다. 토양유기물은 토양의 건재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그 %를 측정하며, 토양미생물 번식과 토양비옥도를 좌우한다.
거친 유기물이 분해된 후 만들어지는 부식 함량이 높아야 토양비옥도가 높아진다. 호기성 유용균의 증식, 수분 보유성 향상, 건조 피해 감소, 토양 완충성 향상, CEC 증대, 토양 부식물의 유효 형태 증가, 토양 구조 개선과 공극 용적밀도 등 토양의 이화학성과 물리성 개선에 효과적이다.
① 유기물 시용
토양검정표의 유기물은 16 g/kg으로 지황 재배지 적정 유기물 함량 25 〜 35 g/kg에 비해 한참 부족하다.
토양 유기물 함량을 적정하게 유지하려면 완숙 발효퇴비를 매년 가을에 적정량 시비한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최소한 4 ~ 5% 이상 확보하여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이를 위해서 질 좋은 완숙 발효퇴비를 시비한다. 퇴비를 발효할 때 길항 미생물과 각종 미네랄을 공급하기 위해 맥반석과 일라이트 등을 넣으면 더욱 좋다. 작목과 지역에 맞는 녹비작물을 심거나 볏짚 등을 넣어 유기물 함량을 높인다. 무엇보다도 완전히 발효된 유기물을 시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 유효인산
유효인산은 작물 뿌리가 이용할 수 있는 인산 함량이다.
지온이 낮거나 강산 상태이며 뿌리가 빈약한 조건에서는 인산 흡수가 어렵다. 작물에 인산이 부족하면 엽폭이 좁아지고 적갈색이 되며 줄기는 암록색이 된다. 결핍증상의 발현은 영양생장이 왕성한 시기에 나타나기 때문에 영양생장이 완료되는 늦여름에는 증상이 덜 뚜렷하며 개화와 결실이 감소되고 봄에 발아가 지연될 수도 있다.
반대로 인산이 많으면 음이온 양분인 붕소, 규산 흡수가 저해된다. 지나치게 많이 시용하면 토양의 염류 농도를 높여서 농업용수 및 식수의 오염원이 된다. 인산은 토양에 흡착되는 것이 많아 시비효율이 낮기 때문에 토양산도를 pH 6.0 정도로 교정하고 퇴비등 유기물과 인산을 함께 사용하면 비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① 유효인산 시비량
토양검정표의 유효인산 측정치는 403 mg/kg 이고 403 ppm 이다. 지황 재배지 유효인산 적정 범위 150 ∼ 200 mg/kg의 두 배 이상이기 때문에, 인산과다로 음이온 양분 흡수가 저해될 수 있으므로 인산질 비료는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라) 칼륨
칼륨은 일조부족을 보충하고 뿌리발육을 촉진하고 수분의 증산 작용을 조절한다. 작물에 칼륨이 부족하면 엽폭이 좁고 오그라지며 암록색이 되고 잎의 주면이나 끝부분부터 말라 죽는다. 오래된 잎에서 다갈색 반점이 생기고 낙엽이 빨라진다. 반대로 칼륨이 많으면 길항작용으로 마그네슘, 칼슘, 규산의 흡수가 억제된다.
① 칼륨 시비량
토양검정표의 칼륨 측정치는 0.21 cmol+/kg이고, 지황 재배지 칼륨 적정 범위는 0.45 〜 0.55 cmol+/kg이므로 중간 값 0.5 cmol+/kg을 적정량으로 하면 부족한 칼륨 필요량은 0.29 cmol+/kg다.
칼륨의 원자량은 39.1이고 me/100g 은 39.1 이다. 이를 mg/kg으로 바꾸면 391 mg/kg이고, 391 ppm이다.
·칼륨 필요치: 0.29 (cmol+/kg) × 391 (mg) = 113.39 (mg/kg)
·10a 토양 무게: 100,000 kg (토양 가비중 1로 계산)
·10a에 필요한 칼륨 시비량
:100,000 (kg) × 113.39 (mg/kg) = 11,339,000 mg = 11.339 kg
그러므로 10a 에 필요한 칼륨은 11.3 kg 이다. 칼륨 비료의 종류에 따라 비율을 계산하여 부족한 칼륨을 보충해주면 된다.
(마) 칼슘
칼슘은 산성토양 중화 개량과 작물의 영양 흡수를 조장하고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흡수 억제 및 피해를 경감시킨다. 토양 내 가용성 질소를 증가시키고 pH를 상승시킨다.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켜 병해충을 예방하고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토양이 건조하거나 지나치게 과습하면 뿌리의 흡수 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토양 칼슘 함유량이 부족하면 토양 pH가 낮아지고 염류농도 장해와 뿌리의 생리 기능이 저하된다. 재배 전 토양의 pH를 조사하여 각 작물의 적당한 범위가 되도록 석회를 시용하여 pH를 조절하고 석회 시용과 동시에 깊이갈이하여 뿌리가 깊고 넓게 분포 되도록 한다.
질소나 칼륨과는 길항관계가 있으므로 암모니아계 비료, 칼륨 비료의 일시적인 과용을 피한다.
① 칼슘 시비량
토양검정표의 칼슘 측정치는 5.2 cmol+/kg이고, 지황 재배지의 칼슘 적정범위는 5 ~ 6이다. 이미 칼슘 필요량을 가지고 있고, 칼슘은 질소나 칼륨과 길항작용이 있으므로 더 이상 시비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바) 마그네슘
광합성 작용과 인산화 과정을 활성화하고 모든 효소에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탄산가스 고정효소를 활성화 시켜 탄산가스 고정량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결핍 대책으로는 황산마그네슘 0.5 ∼ 1%액을 10일 간격으로 5 ∼ 6회 엽면 살포하고 수산화마그네슘을 용해시켜 관주하거나 전면 시용 후 관수한다. 고토석회비료를 추비하고 길항작용을 피하기 위해 칼슘, 칼륨 비료의 과다시비를 하지 않는다.
① 마그네슘 시비량
토양검정표의 마그네슘 측정치는 1.3 cmol+/kg이고 지황 재배지의 마그네슘 적정범위는 1.5∼2.0 cmol+/kg이므로 중간 값 1.75 cmol+/kg을 적정 마그네슘 양으로 하면 마그네슘 필요량은 0.45 cmol+/kg이다.
마그네슘의 원자량은 24이고 me/100g 은 24 이다. 이를 mg/kg으로 바꾸면 120 mg/kg이고, 120 ppm이다.
·마그네슘 필요치: 0.45 (cmol+/kg) × 120 (mg) = 54 (mg/kg)
·10a 토양 무게: 100,000 kg (토양 가비중 1로 계산)
·10a에 필요한 마그네슘 시비량
:100,000 (kg) × 54 (mg/kg) = 5,400,000 mg = 5.4 kg
그러므로 10a에 필요한 마그네슘은 5.4 kg 이다. 마그네슘 비료의 종류에 따라 비율을 계산하여 부족한 마그네슘을 보충해주면 된다.
2021년 2월 창업논문(특3년 김이현) 중에서
'農 > 비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 토 비 료 (0) | 2021.02.11 |
---|---|
수치화 농업이 쉽다 (0) | 2021.01.30 |
원소의 이름 (0) | 2020.12.31 |
몰(Mol), 원자량 (0) | 2020.12.25 |
요소 비료 (0) | 202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