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비료이야기

아인산(H3PO3)을 이용하자

아인산(H3PO3)

 



아인산은 인산(H3PO4)에서 O- 기가 하나 없는 인산이여서 아인산(H3PO3)이라 한다. 특이하게 O-기가 하나 없는 구조의 P-H구조가 역병의 인산대사 작용을 억제하여, 식물의 병 방어시스템을 자극하여 식물체의 병저항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목질부와 사관부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지하부와 지상부의 역병을 방제한다.


일반농가에서도 역병 및 역병과 성질이 같은 피티움(Pythium)속균에 의한 잘록병에 아인산염을 공급함으로서 방제할 수 있었고, 각종 시험결과 배 역병 및 상추, 오이, 토마토 감자역병에서 아주 높은 방제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아인산제제를 사용하면 역병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지만 농도가 높을수록 약해 우려 및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수 있으며, 아인산은 역병, Pythium에 의한 잘록병등 조균류에 특히 효과가 있다.

 

역병 방제용 아인산염(KPHA)의 특성

 

1. 아인산염의 작용기능





 가. 구조


               HO                                   HO

                │                                   │

       HO ─P= O                      HO ─P= O

                │                                   │

                H  (아인산, H3PO3)          OH  (인산, H3PO4)




 나. 작용기능

- P-H구조가 역병균류의 인산대사 작용억제

- 식물의 병 방어 시스템을 자극: 식물체의 저항성 증대

- 목질부와 수관부를 자유롭게 이동 : 지상부 및 지상부 역병 방제


2. 아 인산의 특성

- 수용성으로 식물체내 순환

- 수관 주사로 과수 역병 감염주 치료 가능

- 저항성균 출현 및 약해가 없음

- 인축, 어류 독성 및 환경공해가 거의 없음

- 농약 가격의 1/7 이하(공업용 시약으로 제조 시)


3. 아인산염 제조 방법

-  H3PO3를 물 70%에 녹인다음 KOH(수산화칼륨)을 다른 통의 30% 물량에 녹인다. 

- H3PO3를 녹인물 70%를 KOH(수산화칼륨)에 소량씩 첨가한다.

- 이렇게 하면 pH를 약 5.5∼6.0으로 조절한다. 

- 반응 후 형성물은 KH2PO3형태가 된다.


주의

 1) 고농도의 아 인산염을 제조할 때 열이 발생되며 유독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아인산을 녹인 다음 KOH를 소량씩 첨가하면서 천천히 녹인다.

 2) H3PO3와 KOH의 혼합 비율이 약 100:83(v/v, 무게비)정도일 때 용액의 pH가 5.5∼6.0 정도가 되지만

    제품의 순도에 따라 혼합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3) 아인산과 KOH를 전체 사용량에 녹이지 말고 소량의 물에 녹여

    pH를 정확히 보정한 다음 전체 사용량에 첨가한다.

 



 

' > 비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잎·석회보르도면 역병 ‘끝’  (0) 2008.05.31
왕겨의 정체  (0) 2008.05.18
농업에도 이용되는 과산화수소(H₂O₂)  (0) 2008.05.04
토양개량에 좋은 초탄  (0) 2008.04.23
제오라이트(Zeolite)  (0) 2008.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