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보르도액 적정농도, 올바른 살포시기 제시
농촌진흥청은 친환경 인삼재배를 위한 석회보르도액의 적정 규정농도와 올바른 살포시기에 대해 발표했다.
석회보르도액은 황산구리와 석회수를 섞어 만든 보호살균제인 친환경 유기농자재로 이 두 액의 혼합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 농도의 보르도액을 만들 수 있다. 이는 농가에서 직접 제조해 사용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가 손쉬우며 방제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삼 잎의 성장이 완료되는 6월 중순부터 석회보르도액을 사용하면 약해발생이 억제되지만, 5월경에 줄기점무늬병이나 역병을 방제할 목적으로 고농도의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하면 약해가 발생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석회보르도액 살포 후 잎에 남아있는 석회성분으로 인해 인삼의 뿌리비대가 약해질 것을 우려해 사용을 기피하는 농가들도 있었다.
이에 본밭 3년생 인삼에서 석회보르도액 처리시기별 지상부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석회의 농도를 높인 4-8식 석회보르도액을 5월 10일 이후에 살포하면 지상부의 엽 생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중하순에 처리하면 잎에 피해가 발생하고 5월 20일에 처리하면 방제시기가 늦어져 점무늬병 발생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생육 중기인 6월에는 6-6식, 7월부터 9월까지는 8-8식 석회보르도액을 15일 간격으로 살포하면 지상부의 엽 생존율이 높아 무처리 대비 30~62% 이상 수량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묘삼 생산을 위한 모밭에서는 잎의 발육이 완성되는 6월 상순부터 9월 하순까지 15일 간격으로 8-8식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하면 점무늬병과 탄저병을 방제할 수 있으며, 석회보르도액 살포로 인한 인삼 뿌리비대 감소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 인삼과 이성우 연구관은 “석회보르도액 살포로 인한 약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규정 농도와 사용시기의 철저한 준수가 필요하다”며 인삼농가에서 올바로 인지하고 사용해주길 당부했다.
한편, 4-8식 석회보르도액 100리터를 만드는 방법은 황산구리 400g을 80리터의 물에 녹이고 생석회도 800g을 소량의 따뜻한 물에 녹인 다음 물을 가해 20리터가 되게 한 후 체로 처서 찌꺼기를 제거한다.
여기에 황산구리 용액을 서서히 넣고 막대로 저어가면서 석회보르도액을 제조한다. 6-6식 석회보르도액 100리터는 황산구리 600g과 생석회 600g이 필요하고 8-8식은 황산구리 800g과 생석회 800g이 소요된다.
[문의] 농촌진흥청 인삼과장 차선우, 인삼과 이성우 043-871-5505
'農 > 인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삼 · 약용작물 안전관리 강화 (0) | 2010.08.25 |
---|---|
청정인삼 재배 시험 (0) | 2010.08.17 |
고온기 인삼관리 요령 (0) | 2010.08.07 |
인삼 먹으면 학습기억력 2배 (0) | 2010.08.05 |
인삼약초의 현장에서 (0) | 201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