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건강이야기

물도 약이다

약수 종류도 다양 … 어떤 효능 있나
 

  지장수 광천수

광천수·탄산수·정화수·옥정수·지장수 …

약수(藥水)란 ‘마시면 약효가 있(다)는 샘물’이다. 하지만 요즘엔 아무 물에나 약수를 붙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약수가 흔해졌다기보다는 진정한 약수를 찾기가 어려워진 탓이 크다. 또 약수라고 하기엔 애매하지만 몸에 좋은 물로 여겨지는 의사(擬似) 약수들이 많아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약수의 사전적 의미에 가장 가까운 물로 광천수(鑛泉水)를 꼽는다. 광천수는 땅속에서 솟아나는 샘물로 가스나 고형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한 물이다. 약수의 개념을 좁게 보는 이들은 광천수만을 약수로 친다. 탄산수(炭酸水)는 광천수 중에도 탄산가스가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 있는 물을 말한다. 작은 거품이 일며 혀끝을 톡 쏘는 듯한 자극이 있을 수 있다.

물을 33종으로 나누고 각각의 성질과 용도를 설명한 〈동의보감〉의 ‘논수품(水品)’을 보면, 각종 의사 약수의 개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화수(井華水)는 새벽에 제일 먼저 길어 올린 우물물로, 성질이 순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어 구격(눈·코·귀·입 등 인체의 9개 구멍)에서 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고 돼 있다. 옥정수(玉井水)는 옥이 묻힌 산골에서 흐르는 물로, 성질이 유순하고 독이 없어 장복하면 몸이 윤택해지고 모발이 검어진다고 한다.

갖가지 상품화에 많이 쓰이는 지장수(地奬水)는 황토를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물을 그 속에 부어 젓고 흔들어 혼탁하게 한 다음 한참 뒤 위쪽의 맑은 물을 뜬 것이다. 성질이 차고 독이 없으며 독버섯에 중독됐을 때 이 물을 마시면 낫는다고 전해진다. 봄철이면 건강수로 각광 받는 고로쇠물은 단풍나무과 활엽수인 고로쇠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이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약수의 원뜻과는 거리가 있다. 칼슘 등 각종 미네랄이 다량 함유돼 있어 위장병·고혈압·관절염·신경통 등에 좋다.

약수의 개념이 헷갈린다면 다성(茶聖)으로 추앙 받는 조선 후기의 승려 초의선사가 꼽은 ‘물이 가져야 할 덕목 8가지’가 참고가 된다. 좋은 물이란 가볍고, 맑고, 차고, 부드럽고, 아름답고, 냄새가 없고, 비위에 맞고, 탈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차를 끓일 때 물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 전통에 따라 구분한 것이겠지만, 이런 덕목에 맞는 물을 찾아 귀하게 음용한다면 진정한 약수란 내몸이 받는 모든 종류의 물이 될 수 있다.


김소영 기자 spur222@nongmin.com

 

오색·초정·달기약수 … 이름난 전국 약수터 다 모여라

 

 

<왼쪽부터>오색약수, 방동약수, 추곡약수, 오전약수, 고란사약수, 효감천전약수

약수는 크게 광천수와 샘물로 구분할 수 있다. 광천수는 탄산가스와 철분·칼슘·칼륨·나트륨 등 각종 미네랄이 함유된 물로, 대부분 강원·충북·경북지방의 백두대간 자락에서 난다. 광천수는 위장병·신경통·피부병·빈혈 등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샘물은 석간수·용천수 등 땅속 깊숙이서 샘솟는 자연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물이다. 예로부터 명성이 높았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약수를 소개한다(■표시는 광천수, ●표시는 샘물).

■ 오색약수(강원 양양)=설악산 한계령을 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씩 들르는 인기 있는 약수. 3개의 구멍에서 물이 솟는데, 위쪽의 약수는 철분이 많고 아래쪽 2개에서 나온 약수는 탄산 성분이 많다.

■ 불바라기약수(강원 양양)=최고 오지에 있는 약수터 중의 하나. 설악산 미천골 최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뜨겁게 느껴질 정도로 물맛이 강해 ‘불바라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 방동약수(강원 인제)=탄산 외에 철·망간·불소가 들어 있어서 위장병과 소화증진에 좋다. 조선시대에 심마니가 이곳에서 커다란 산삼을 캤는데, 산삼을 캐낸 자리에서 약수가 솟았다는 전설이 있다.

■ 추곡약수(강원 춘천)=철분·나트륨·탄산염·황산염·염소·불소·망간·칼슘 등 미네랄 함량이 풍부하다. 이 물로 밥을 지으면 밥이 차지고 검푸른 빛깔을 띠며 맛도 뛰어나다.

■ 화암약수(강원 정선)=‘정선아리랑’에 등장할 정도로 이름난 명소. 칼슘·불소 외에 9가지의 필수원소가 함유돼 있다. 약수도 먹고 화암8경도 구경할 수 있어 나들이 코스로 좋다.

■ 초정약수(충북 청원)=세종대왕의 눈병과 세조의 피부병을 고쳤다는 기록이 있는 곳. 미국의 샤스터, 영국의 나폴리나스와 함께 세계 3대 광천수의 하나로 꼽힌다.

■ 달기약수(경북 청송)=조선 철종 때 발견한약수. 위장이 약한 사람들에게 특효라고 소문나 인근 민박집에는 장기 투숙객이 많다.

■ 오전약수(경북 봉화)=조선 중기 때의 학자인 주세붕이 극찬한 약수. 혀끝을 톡 쏘는 청량감이 일품이다.

● 약사골약수(경기 포천)=동굴 속에서 샘솟는 약수로, 포천막걸리는 이 물을 이용해 빚는다.

● 고란사약수(충남 부여)=백제의 왕이 마시던 샘물. 한잔 마시면 3년 젊어진다는 전설이 전해져 온다.

● 당몰샘(전남 구례)=우리나라의 대표적 장수마을인 구례 상사마을에 있는 샘. 무병장수를 돕는 샘물로 유명하다.

● 효감천(전북 고창)=조선 초의 효자 오준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져 오는 곳. 전라북도기념물 제43호로 지정돼 있다.

● 천왕샘(경남 산청)=지리산 천왕봉 바로 아래 있는 약수터. 등산객들에게 백두대간의 정기를 머금은 물로 칭송 받고 있다.

● 영실약수(제주 서귀포)=한라산을 조망하기 좋은 영실휴게소에 있는 약수터. 한라산 등반객들이 목을 축이는 곳이다.

이승환 기자 lsh@nongmin.com

' >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지천명  (0) 2011.05.31
소비자가 원하는 특작 먹거리  (0) 2010.11.27
아세트산의 위력  (0) 2009.10.02
신맛 내는 `아세트산' 4%든 식초  (0) 2009.10.01
좋은 홍삼은 국내산으로   (0) 200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