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敎/해외연수풍경

Hsu's Ginseng Enterprises, Inc

Hsu's Ginseng Enterprises, Inc

T6819 County Hwy W P.O. Box 509 Wausau, WI 54402-0509

TEL : 1-715-675-2325 FAX : 1-715-675-7832

http://hsuginseng.com

Ph. 715-675-2325 Ext #351 (Victoria L. Boerschinger)

 

 

 

 

 

1974년에 설립되었으며 인삼농장의 규모는 1,000에이커에 이른다. 이 곳에서 재배 된 위스컨신 인삼은 세계적으로 최상급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매년 1000,000파운드의 최상급 인삼을 생산하고 있다. 주로 건강보조제, 허브류, 드링크류, 차류, 화장품, 스킨  캐어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각종 약재와 무공해 퇴비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 곳에서 재배 된 인삼은 다이어트, 당뇨병, 불면증, 소화불량에도 탁월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서 양 삼

 

서양삼은 어떤 약재인가

  서양삼은 오가과에 속하는 음성식물로서 인삼과 비슷한 일종의 진귀한 중약재이다.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주의 미국과 캐나다로서 북위 37~46도 지역이다.

 

서양삼은 어떤 약효가 있는가

서양삼은 피로를 풀고 중추신경계통을 조절하며 기를 돕고 체력과 지력을 높여준다. 고혈압, 심근영양불량, 관상동맥성 심장병, 협심증 등 심장혈관병에 치료효과가 높고 또 폐가 허하고 오랜 기침, 각혈, 열병 그리고 당뇨병 등 많은 병치료에도 효과가 좋으며 각종 암치료 때 방사성치료와 화학치료로 인한 불량한 반응을 경감시켜준다.    

밭정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산지부식토를 이용할 때에는 보통 1~2년 전에 나무뿌리를 뽑아내고 잡물을 주어낸 후 땅을 여러번 번지여 햇빛소독과 결부하여 땅을 빨리 걸군다. 농경지는 일년 전에 유기질 비료를 많이 내는 기초상에서 들깨, 녹비작물 혹은 콩을 심어 정상적으로 잘 가꾼 후 깨나 푸른 콩알이 다 들고 잎이 누른색으로 변하기 직전에 갈아 엎어 충분히 썩게 한다. 가을에 밭을 정지한 후 두둑을 만들어야 한다. 두둑의 너비는 1.20m로 하고 높이는 20~30cm로 하는데 좀 습한 곳은 높게 하고 가문 곳은 낮게 해야 한다. 두둑방향은 지형에 따라 결정하는데 일반농작물 이랑과 반대로 내리막 방향으로 하여 여름에 비가 많이 올 때 빗물이 흘러내려가게 해야 한다.  

묵은 종자는 어떻게 처리하는가

(1) 모래상자처리 : 일반적으로 5월달에 종자를 깨끗이 씻은 다음 카르벤다짐으로 종자를 소 독하는데 용량은 종자량의 0.3%이면 된다. 다음 1:3의 비례로 소독한 종자를 내가의 깨끗 한 모래에 섞어서 나무상자 혹은 콩크리트용기에 담는다. 윗면을 고르게 한 다음 비닐모기 장을 펴고 내가의 모래를 10cm 정도로 덮는다.(2) 수분관리 : 종자층의 수분함량이 10~15% 이면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손으로 쥐면 덩어리 가 되고 놓으면 흩어지는 정도면 된다. 특히 9~10월 종자가 개갑되는 기간에 수분관리에 특별히 중시를 돌려 충족한 수분을 보장하여야 한다.(3) 온도관리 : 종자층의 온도는 5~6월에는 15~18, 7~8월에는 18 ~22, 9월에는 10~15, 10월에는 8~10, 11월에는 2~6가 가장 적합하다. 꼭 주의해야 할 점은 온도가 너무 올 라가는 것을 통제해야 하며 개갑률이 90% 이상이면 인차 온도를 6이하로 내리워야 한 다는 것이다. (4) 종자번지기 : 종자처리기간에는 경상적으로 종자를 번져놓아 종자층의 온도와 습도를 균일 하게 해야 한다. 특히 처리하는 종자에 신선한 공기를 충족히 공급해야 하는데 적어도 한 주일에 한번은 꼭 번져주어야 한다.(5) 과동저장 : 보통 11월에 당지 일평균기온이 0이하로 내려갈 때 종자와 모래를 함께 공 기가 통하는 주머니에 절반쯤 넣어 콩크리트용기나 40~50cm 깊이의 흙구뎅이에 넣고 주 머니 사이에 습윤한 모래를 채우고 우에 10~15cm 두께로 덮어 종자층의 온도가 -4이하 로 내려가지 않게 해야 한다.  

당년종자처리란 무엇인가

서양삼종자는 특별히 휴면기가 길어 보통 금년에 수확한 종자라면 다음해에 적당한 처리를 거친 후 그 다음해 봄 즉 세 번째 해에 심어야 정상적으로 싹이 틀 수 있다. 만약 종자를 수확한 후 인차 처리를 시작하여 가을과 겨울 내 잘 처리하여 종자가 개갑된 다음 정확하고 충족한 저온처리를 거친다면 이듬해 봄에 심어도 싹이 틀 수 있다. 이것을 당년종자처리라고 하는데 기술요구, 관리요구가 아주 높고 일정한 조건과 시설이 필요하다. 목전에는 당년종자처리기술이 잘 보급되지 못하여 적지 않은 곳에서 개갑된 종자를 심어도 제대로 싹이 트지 않아 큰 손실을 보는 폐단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8월말 혹은 9월초에 수확한 종자를 인차 처리하기 시작하는데 독립적인 온도통제시설이 보장되는 기초상에서 진행한다. 종자소독, 모래상자처리, 수분관리, 종자번지기 등 기술조치들은 모두 묵은 종자처리와 기본상 비슷하다. 종자처리기간 각 단계에서의 온도통제가 당년종자개갑처리기술의 관건으로 된다. 종자처리를 시작해서 처음 80일은 온도를 18~20로 엄격히 통제하고 그다음 60일은 온도를 8~10로 통제한다. 그다음 종자개갑이 기본상 끝난 다음부터 파종전까지는 온도를 2로 통제하면 된다. 

서양삼은 어떻게 파종하는가

 (1) 상토소독 : 카르벤다짐을 평방미터당 10g 정도 쳐서 모시기 병해를 예방하고 펜발레라트( ) 500배액을 평방비터당 400g씩 쳐서 여러 가지 충해를 방지한다. 약을 뿌린후 10cm 깊 이 정도로 충분히 섞어야 한다.(2) 파종시기와 파종량 : 서양삼을 415일부터 25일 사이에 파종하는 것이 좋다. 파종량은 평방미터당 직파전에는 120~150알로 하고 육모전에는 500~600알로 한다.(3) 복토 : 복토두께는 부식토에서는 5cm 좌우로 하고 농경지에서는 2cm 좌우로 하며 그 위 에 상면피복물을 덮는다.(4) 상면피복물 : 복토한 후 인차 상면피복물을 덮는데 그 두께는 상토가 보이지 않을 정도이 면 된다. 피복물을 덮은 후 될수록 물을 쳐주어야 한다. 상면피복물의 재료로 잘게 썬 갈 대, 새풀, 벼짚, 톱밥, 나뭇잎, 흑솔잎 등을 쓸 수 있는데 당지에서 얻기 쉬운 재료를 쓰는 것이 경제적이다. 상면피복물은 상토수분을 보장하고 땅이 굳어지지 않게 하며 병해의 전 염을 방지하고 잡초가 퍽 적게 자라게 하는 등 많은 유익한 작용을 한다. 그리고 서양삼은 음성식물이기 때문에 여름에 토양온도가 너무 높으면 뿌리가 잘 자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병에도 쉽게 걸린다. 때문에 상면피복물을 덮으면 여름에 상토의 온도가 너무 올라가는 것 을 통제하기에 뿌리의 생장에 퍽 유리하다.  

서양삼은 어떻게 이식하는가

(1) 삼모의 선택과 소독 : 이식하기전에 먼저 이식할 수 없는 나쁜 모를 골라내고 좋은 모를 크기에 따라 3~4등급으로 나누어 제각기 이식한다. 이식하기 전 카르벤다짐 500배액에 10 분 정도 담가 소독한다.(2) 이식밀도 : 서양삼은 모판에서 1,2년 자란 후 모를 옮긴다. 이랑 간격은 20~25cm 로 하 고 포기사이는 좌우로 8cm 한다. 작은 모는 좀 배게 이식하고 큰 모는 좀 성시게 이식한 다.(3) 이식각도 : 토양습도가 충족할수록 모를 더 눕혀서 뿌리가 옅게 묻히게 하고 건조한 토양 일수록 모를 곧게 세워 뿌리가 깊이 박히도록 한다. 복토두께는 부식토에서는 6~7cm로 하 고 농경지에서는 3~4cm 로 한다. 이식한 후에도 역시 피복물을 덮는다. 그다음 조건을 창 조하여 물을 쳐주면 아주 이상적이다. 

서양삼재배에서 왜 차광막을 설치해야 하는가 

서양삼은 음성식물로서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다. 강한 햇빛아래에서는 각종 병해가 심하며 토양수분이 아무리 충족해도 잎이 말라죽는다. 그렇다고 햇빛을 전부 막아버리면 지상부는 아주 잘 자라지만 뿌리는 잘 자라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공적으로 차광막을 설치하여 햇빛이 적당히 들게끔 잘 조절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투광률을 15~30%로 하는데 햇빛강도와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15~20%로 하고 봄, 가을에는 25~30%로 한다. 기온이 특별히 높은 해와 흑반병이 심할 때에는 투광률을 5~10%로 통제해야 한다. 

차광막설치에는 어떤 형식들이 있는가 

(1) 쌍투하우스(双透棚) : 햇빛과 빗물을 다 투과할 수 있는 하우스로서 현재 미국과 캐나다에 서 많이 채용하고 있다. 특징은 전반 생육기에 수분이 충족하고 광선분포가 균일하며 작업 이 편리하고 전반시설이 경제적이다. 그러나 강우량이 좀 많은 해에는 상토에 수분이 너무 많고 병해가 심하며 또 통제하기 힘들다. (2) 단투하우스(单透棚) : 햇빛만 투과할 수 있고 빗물은 투과할 수 없는 하우스로서 현재 북 방지구에서 많이 채용하고 있다. 특징은 병해가 경하고 또 통제하기 쉬운 것이다. 그러나 전반 생육기에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가물어 전반 산량제고에 영향을 준다.(3) 전음하우스(全阴棚) : 햇빛과 빗물이 모두 투과 못하는 하우스로서 산량이 너무 낮아 이미 도태 되었다.(4) 쌍투와 단투가 결합된 차광기술 : 첫째, 지역과 뙈기에 따라 부동한 차광형식을 채용한다. 즉 비교적 가물거나 배수가 잘되는 뙈기에는 단투하우스 형식을 채용한다. 둘째, 계절에 따라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즉 가문 봄에는 쌍투형식을 채용하고 우기가 오기 직전에 단투 형식으로 바꾸고 또 우기가 지난 다음 다시 쌍투형식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비록 좀 시끄 럽지만 전반 산량제고에는 아주 유리하다.  

방한물은 언제 제거해야 하는가 

과동한 서양삼밭에서 제때에 방한물과 피복물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너무 일찍 제거하면 완양동(缓阳冻) 피해를 받을 수 있거나 너무 일찍 싹이 돋을 때 이른봄 동해를 받을 수 있다. 또 너무 늦게 제거하면 상토해동이 늦어지면서 싹이 돋는 것이 늦어진다. 즉 그만큼 생육기가 줄어들고 따라서 산량과질에 영향을 준다. 더욱이는 종자성숙이 그만큼 늦어짐에 따라 당년종자개갑처리가 영향을 받는다. 연변지구에서는 보통 3월말부터 4월초에 두 번째 방한물을 먼저 제거하고 첫 번째 방한물은 그냥 남겨두었다가 4월 중순 당지 기온이 7~8되었을 때 전부 제거하여 싹이 돋는 것을 촉진한다. 5월 중순 삼모가 출토하기 직전에 다시 상면피복물을 덮어야 하는데 될수 있으면 상면피복물 재료는 새것이나 깨끗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포전관리에서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는가

  서양삼재배에서 수분관리를 꼭 잘해야 한다. 가물 때 물을 친다면 산량에 현저한 효과가 있으므로 어떤 방법을 대든지 물을 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비오는 날 비닐박막을 벗기고 비를 적당히 맞힌 후 다시 덮는것도 매우 효과적이다. 반면에 비가 자주 오거나 너무 많이 오고 상토수분이 너무 많을 때에는 작업도를 더 깊이 파고 깨끗이 정리하여 비가 오는 족족 흘러가고 상토수분이 빨리 빠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상면이 물에 잠기는 일은 절대로 발생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서양삼재배에서 추비는 어떻게 하는가 

서양삼은 일반농작물에 비해 생장속도가 느리고 비료를 많이 요구하지 않는데 특히 질소비료수요량이 크지 않다. 때문에 부식토 혹은 비옥한 농경지에서 육모기 혹은 이식한 해에는 일반적으로 추비를 하지 않는다. 직파전 3년 이상 혹은 이식전 2년생 이상일 때 적당히 추비를 하면 생장을 크게 촉진할 수 있다. 두병 혹은 깨비료 등은 평방미터당 100 ~ 150g, 과린산석회 혹은 골분은 평방미터당 50g씩 이랑사이를 헤치고 준 다음 다시 흙을 덮어놓으면 된다. 잎이 펴진 후와 청과기(青果期)에는 이수소린산칼리움(磷酸二氢钾) 500배액을 평방미터당 100g정도 분무하고 꽃이 피는 시기에는 붕사(硼砂) 1,000 배액을 분무한다. 꼭 주의해야 할 점은 시비량이 너무 많은 것을 피면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질소비료가 너무 많으면 잎이나 줄기는 너무 무성하게 자라지만 뿌리가 자라는데는 도움이 크지 않으며 내병성이 약해져 병에 걸리기 쉽다. 

왜 꽃봉오리를 따고 꽃솎음을 하는가 

종자를 전부 남기면 꽃봉오리를 따기보다 매년 뿌리의 산량이 20~30% 감소되기에 종자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반드시 꽃봉오리를 따버려야 한다. 종자전에서도 병에 걸린 포기, 약한 포기, 생육이 늦은 포기의 꽃봉오리는 따버려야 한다. 그리고 종자의 질량을 제고하고 종자의성숙시기를 일치하게 하기 위해서 적당히 꽃솎음을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서양삼에는 어떤 병해들이 발생하며 또 어떻게 예방퇴치해야 하는가

 서양삼의 주요병해로는 입고병, 흑반병, 역병, 일사병, 녹병, 근부병 등이 있다. 병해의 예방과 퇴치는 다른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예방을 위주로 하고 종합적으로 퇴치하는 원칙을 취한다. 각항 작업 즉 토양선택, 토양휴간정지, 종자 및 삼모의 소독, 합리적 시비, 토양소독, 상면피복, 합리적 투광조절, 적시적인 배수, 포전위생, 과동전 병에 걸린 포기의 처리, 과동방한 등 각항 환절에서 모두 규정한 기술요구대로 엄격히 조작하는 기초상에서 화학적 예방퇴치를 강화해야 한다. 병해 발생 전과 초기에 일찍 약을 쳐야 하고 고루 쳐야 하며 자주 쳐야 한다. 약을 칠 때 꼭 잎 뒷면과 줄기, 꽃봉오리에 많이 쳐주어야 한다. 파종전에 입고병, 졸도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르벤다짐 500배액이거나 입고병 800배액 혹은 덱손 1,000배액을 쳐야 한다. 과동한 밭에서는 출모전 상면과 피복물을 소독해야 한다. 잎이 펴진 후부터 9월초까지 흑반병, 역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주일에 한번씩 꼭 쳐주어야 한다. 폴리옥신(多抗霉素 )이나 카르벤다짐, 이프로디온(扑海因), 에틴린알루미니움 (乙磷铝) 등은 500배액, 메타락실·만코제브합제나 만코제브나 리도미르(瑞毒霉), 아모밤 등은 600~800배액, 평방미터당 사용량은 1년생은 100g, 2년생은 150g, 3년생은 200g, 4년생은 250g으로 한다. 비가 적게 오고 맑은 날이 지속될 때에는 약을 치는 횟수를 좀 줄이고 비가 많이 오고 흐린 날이 지속될 때에는 약을 치는 횟수를 증가하여야 한다. 여러 가지 농약들을 엇갈아 쳐야 하지 한 두가지 농약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을 피면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병균이 항약성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서양삼에는 어떤 충해들이 발생하며 또 어떻게 예방퇴치해야 하는가 

서양삼의 주요 해충으로는 쇠줄벌레, 돗벌레, 굼벵이, 도루래기 등이 있다.이런 해충들은 평시에 땅속에 잠복해 있기에 예방퇴치하기 쉽지 않다. 때문에 반드시 종합적인 조치들을 취해야 하며 예방을 위주로 하는 전제하에서 화학적 예방퇴치를 강화해야 한다.  (1) 자급비료는 반드시 잘 썩은 비료여야 하며 쓰기 전에 살충제를 섞어야 한다.(2) 파종 혹은 이식 전에 상토에 살충제를 섞어야 하나. 폭심( 辛硫磷 )이나 펜발레라트를 500 배로 하여 매평방에 400g씩 섞어야 한다.(3) 포전위생을 잘하고 삼장주위의 잡초를 깨끗이 정리하여 해충들의 잠복장소를 없애버려야 한다.(4) 경상적으로 검사하고 피해 받은 포기의 주위를 파서 인공적으로 잡으면 충해의 피해를 많 이 줄일 수 있다. (5) 삶은 감자를 상토표층에 파묻어 쇠줄벌레가 파고들어가게 한 다음 다시 주어내는 것도 매 우 효과적인 방법이다.(6) 지상의 해충으로는 금풍뎅이( 金龟子 ), 초지명( 草地冥 ), 엽권충( 卷叶虫 )이 있는데 폭 심이거나 펜발레라트 혹은 디클로르보스를 1,000배로 희석하여 줄기와 잎에 분사하면 된 다. 

서양삼의 수확은 언제 어떻게 하는가

  서양삼은 보통 4년생을 파서 상품으로 한다. 만약 3년생을 파낸다면 산량이 적고 사포닌 등 유효함량비율이 내려가는 탓에 약효가 떨어진다. 총적으로 경제효익이 내려간다. 만약 5~6년 재배한다면 연산량증가비율이 내려가고 발병률이 현저히 높아지고 생산주기가 길어져 얻는것보다 잃는 것이 더 크게 된다. 그러므로 보통 4년생을 파서 상품으로 한다. 미리 파두지 말고 판로가 확정되였거나 가공을 시작할 때 파내야 한다. 연변지구의 수확시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인데 파내기 20~30일 전에 비를 충분히 맞히면 좋다. 너무 일찍 파거나 너무 늦게 파도 그 산량과 질에 영향을 주어 결국은 경제효익이 내려가게 된다.    

' > 해외연수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airie Crossing Organic Farm   (0) 2012.10.20
Hsu's Ginseng Enterprises   (0) 2012.10.20
위스컨신 대학 토양학과   (0) 2012.10.18
연수대상국 미국지도  (0) 2012.10.18
Trader Joe's Organic Market   (0) 201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