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의 작물재배
봄의 텃밭에서는 각종 채소류가 재배되고 있다. 이제는 미리 봄에 가을을 준비하는 농사가 되어야 한다. 가을은 하루가 다르게 해가 짧아지는 관계로 재배할 수 있는 작목이 한정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김장의 주원료로 사용하는 배추, 무, 갓, 총각무, 쪽파와 상추, 치커리 등 엽채류 등이다.
□ 배추
배추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연중 가장 많이 먹는 채소 중의 하나로 품종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배추는 품종에 따라 특성이 많이 다르므로 본인이 좋아하는 특성을 가진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이다.
배추의 생리적 특성
배추의 토양산도는 ph5.5.∼6.8 정도의 중성토양이 알맞으며, 산성토양에서는 병해발생이 증가한다. 기온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저온성채소로 생육초기에는 고온에 비교적 잘 견디나 결구기에는 내고온성에 약해 봄배추 보다는 가을배추 재배가 손쉽고 배추 맛이 좋다고 할 수 있다.
파종 : 8월 15일경(육묘상자 이용) / 파종직후 망사터널 설치
정식준비 : 정식 10일전 퇴비, 석회시용 후 경운작업 - 정식 5일 전 붕사, 비료살포 후 로터리
정식 : 8. 30∼9. 5 본엽 3∼4매시
- 그늘이 많은 곳은 심는 시기를 앞당김
- 정식은 묘가 트레이 폿트에 네트(뿌리)가 형성된 것을 정식함.
- 고온 시에는 오후 늦게 정식한 후 충분히 관수.
- 정식은 트레이 육묘판(128공)에 심겨진 깊이대로 심음
- 재식거리는 줄간격 60cm x 포기간격 35-40cm
※ 정식시기가 너무 이르면(8월 20일 이전) 배추는 크지만 생육기간이 길어져 겉잎이 노화되고 품질이 떨어지며, 정식시기가 늦으면(9월 10일 이후) 배추가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한 상태에서 추위를 맞게 되므로 정식시기를 준수해야 함.
추비 : - 1차 : 정식 후 15일경 요소 0.7kg/100㎟ / 포기사이 반 수저씩- 2차 : 1차 후 15일경 요소 0.7 + 가리 0.88kg / 포기사이 한 수저씩
- 3차 : 2차 후 15일경 요수 0.7 / 포기사이에 시용
※ 동해예방 목적 배추를 묶어줄 때, 조기에 묶어주면 광합성량 부족으로 생육이 부진해질 수 있으므로 11월 이후에 묶어줌.
정식 후 관리 : 가뭄시 관수 및 배추좀나방 등 해충은 잡아주고 붕소결핍시에는 붕산 0.2%액 엽면시비함.
수확 : 11. 20∼12. 10 / 조기정식한 후 수확이 늦어지면 겉잎이 황화됨.
- 재배기간 중 한파가 올 경우(영하 3℃이하) 비닐 또는 거적으로 피복
□ 무
무는 배추만큼 가정에서 많이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김장을 담글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재료중의 하나이다. 파종이 이르면 크기가 커지지만 자칫 너무 크게 되면 바람들이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적기 파종이 중요하며, 파종시기가 조금 늦는 것은 무의 크기가 조금 작아질 뿐 무를 이용하는 데는 별다른 지장이 없다. 따라서 무는 크면 큰대로, 적으면 적은대로 사용하면 될 것이라 본다.
무의 생리적 특성
무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내한성과 내서성은 보통이나 꽃눈분화와 추대는 묘령에 관계없이 12℃이하의 저온이 감응하여 꽃눈분화가 촉진되고, 고온에 의해 추대가 촉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토양수분이 과습하면 근비대가 불량해지고 석회부족 증상이 나타나므로 적정수분을 유지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정식준비 : 정식 10일전 퇴비, 석회시용 후 깊이갈이(30∼40cm정도).
- 정식 5일전 붕사, 비료살포 후 로터리
파종 : 8월 중순 / 8월 하순에 파종하면 크기가 작아짐
-두둑넓이 60cm, 두둑높이 30cm, 파종간격 20∼25cm로 점파
※ 총각무의 파종시기는 9월 10일 경이 적당함
- 솎음작업 : 1회는 본잎 3∼4매
2회는 본잎 5∼6매 때 실시
- 추비 : 1차/파종 후 20일경(요소+가리)
2차/1차 후 15일경(요소+가리)
※ 총각무는 생육기간이 짧아 전량 밑거름으로 시용함.
- 생리장해 -석회결핍 / 염화칼슘 0.3% 엽면시비
- 붕소결핍 / 붕산 0.3% 엽면살포
수확 및 저장
- 시기 : 11월 20일경 / 파종 후 90∼100일, 수확기가 늦어지면 바람들이 현상이 나타나기 쉬움
- 수확시기 전에 기온이 영하로 내려갈 경우 비닐이나 거적을 2중으로 덮어 밀폐해주면 -3∼-4℃ 정도까지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農 > 텃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딧물 퇴치법 = 균형잡힌 작물 (0) | 2015.01.26 |
---|---|
친환경농업 기술적 대담 (0) | 2014.11.02 |
Organic Food Vs. Non Organic Food (0) | 2012.11.17 |
생명을 만드는 육묘현장 (0) | 2011.03.27 |
건강한 텃밭가꾸기 (0) | 201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