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토양이야기

토양검정서 분석

알기쉬운 토양검정서 해석

 

 

농업기술센터에서 실시하는 토양검사는 염 성분을 측정하는 값으로 결과를 제시하기 때문에 비료를 계산하는데 알아야 할 사항을 정리한다.

 

토양 검정 결과 예)

구분 P2O5-
(mg/kg)
k+
(cmol+/kg)
Ca2++
(cmol+/kg)
Mg2++
(cmol+/kg)
NO3-
(ppm, mg/kg)
측정값 50 0.16 3.8 0.9 50

※ 원자량 P---30.975, k+39.1,  Ca2++40.08 , Mg2++24.32,  N 14

 

 

질소 비료

질소는 암모니아태나 질산태의 이온형태로 측정했을시 질소 형태로 바꾸어 줘야 비료계산이 된다. 측정은 merck사의 측정지를 사용한 것으로 가정한다.

 

질산염의 경우 50ppm이 측정값으로 질산태 질소로 환산을 해줘야 한다.

50×14/62=11.3ppm 그리고 토양에 들어있는 질소량을 구해야 한다.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비료의 유효성분 성분으로 바꾼후 계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K+→ K2O   Ca2+ → CaO    Mg2+ → MgO

 

From To Multiply by












From To Multiply by
NH4 N-NH4 0.777 N-NH4 NH4 1.285
NO3 N-NO3 0.226 N-NO3 NO3 4.427
P2O5 P 0.436 P P2O5 2.291
PO4 P 0.326 P PO4 3.066
K2O K 0.830 K K2O 1.205
CaCO3 Ca 0.400 Ca CaCO3 2.497
CaO Ca 0.714 Ca CaO 1.399
MgCO3 Mg 0.288 Mg MgCO3 3.467
MgO Mg 0.603 Mg MgO 1.657

 

 

1 mg/kg은 1kg에 1mg이 들어 있음을 나타내므로 ppm이라고도 표현 한다. 왜냐하면 1kg은 1,000,000mg이기 때문이다. 1mg/kg 또는 ppm을 cmol+/kg로 나태내는 것은 대개 토양 중의 치환성 양이온들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즉 Ca++, Mg++, K+들의 1 cmol+이 몇 mg인지를 알아야 한다. Ca++이온의 원자량은 40 이므로 1 cmol은 400 mg이지만 1 cmol+은 200 mg이다. (+ 하나만 따지는 게 1 cmol+) 같은 이치로 Mg++의 원자량은 24로 1 cmol+는 120 mg이고 K+의 원자량은 39.1로 1cmol+는 391 mg이다. 따라서 Ca++가 200 mg/kg이라면 이것은 Ca++ 1 cmol+/kg이다. 만약 Ca++가 300 mg/kg이라면 Ca++ 1.5(300/200) cmol+/kg일 것이다.

 

계산 예)

K+=0.16 cmol+/kg =

K+의 원자량은 39.1로 1cmol+는 391 mg이다.

0.16cmol+/kg ×391cmol+=62.56mg/kg

 

K20 로 환산해주면 1.205를 곱해줘야 한다.

K20의 분자량은 94 , K2의 값은 78 이므로 94/78을 하면 1.205 가 나온다.

 

K20= 62.56×1.205=75.38mg/kg

 

다음은 K20의 값을 300평 비료량으로 계산해야 한다.

 

300평은 1,000m2 이며 작도층을 10cm ,가비중을 1.25g/cc 로 가정하면

토양의 무게는 125,000kg 이다. 10a의 면적, 10cm의 표토의 토양부피와 무게는 토양부피: 10m×100m×0.1m = 100 m3

토양무게: 밀도=질량/부피, 용적밀도는 평균 1.25 Mg m-3 적용.

⇒ 100m3 × 1.25 Mg m-3 = 125 Mg(톤)

 

 

' > 토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지에 입맞춤을  (0) 2020.11.15
시설재배지 토양 개량  (0) 2020.05.01
원소 및 화합물 기호 읽기  (0) 2020.04.23
전 염류 농도 단위  (0) 2020.04.22
화학식량(化學式量), 화합물 명명법  (0) 2020.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