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가의 힘
어떤 원소의 원자 한 개가 수소원자 몇 개와 결합 또는 치환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를 말한다.
(예) 화합물은 전체가 중성이므로 원자가를 알면 다음과 같이 화학식을 알 수 있다 즉, (+)원자가 × 원자수 = (-)원자가 × 원자수로 표현할 수 있다.
원자가가 +3가인 Al과 원자가가 -2가인 O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Al+3 가와 O-2가 ----→ Al2+3O-2 = Al2O3
원자 또는 분자가 전자를 잃거나 (+: 양이온) 또는 전자를 얻은 형태(-: 음이온) 비료를 물에 용해시키면 양전하(+)를 띈 양이온과, 음전하(-)를 띈 음이온으로 분해되어 물속에 존재
1개의 SO42- (총 2개의 음이온)
용액의 화학 (Chemistry of Solutions)
원자(atom) : 각 원소들의 가장 적은 단위
원소(element) : 한 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진 물질
분자(molecule) : 같은 원소 또는 다른 원소들의 원자 결합체
H + H → H2
H2 + O → H2O
원자량 : 원자의 원자질량단위(amu)에 의해 측정된 원자의 질량
1 amu는 핵안에 6개 양성자와 6개 중성자를 갖는 탄소 질량의 1/12
(즉 탄소를 12로 정하고 이것과 비교하여 다른 원자의 질량을 나타냄)
분자량 : 그 분자에 포함된 모든 원자의 원자량을 합한 값
H2SO4의 분자량 : 1×2 + 32×1 + 16×4 = 98
몰(mole) : 물질의 원자량, 분자량 또는 화학식량에 상당하는 양을 몰
1몰의 CaSO47H2O :
40+32+16×4 + 7×(1×2+16) = 262g/mol
당량 무게 (Equivalent Weight)
아보가드로수의 반응단위에 해당하는 물질의 질량에 상당한다. 따라서 화학식량을 반응단위수로 나눔으로써 얻음
1. 원자 및 이온의 당량 (원자량/원자가)
Ca2+ 당량(40/2=20), Na+ 당량(23/1=23)
2. 분자의 당량 (분자량/양이온의 수)
CaCO3 당량(100/2=50), NaCl 당량(58.5/1=58.5)
3. 산의 당량 (분자량/H+ 수)
H2SO4 당량(98/2=49), HCl 당량(36.5/1=36.5)
4. 염기의 당량 (분자량/OH- 수)
Ca(OH)2 당량(74/2=37), NaOH 당량(4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