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토종이야기

약초생태용어해설

                                   약초생태용어해설

 

                  

  고려인삼의 꽃, 이 꽃이 맺는 열매가 붉은색의 과육이다. 

3출엽 작은 잎 3개로 이루어진 겹잎.

5출엽 작은 잎 5개가 손바닥 모양으로 붙는 곁잎.

각과 겨자과의 열매로 익으면 격막에 따라 아래쪽에서부터 갈라진다.

거꾸로 된 달걀형 뒤집힌 달걀형의 잎 모양.

거꾸로 된 피침형 뒤집힌 피침형의 잎 모양.

견과(堅果) 도토리나 호도처럼 껍질이 단단한 열매.

결각(缺刻) 잎의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한 모양

겹산형 꽃차례 각각의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으로 달려 전체 꽃차례를 이루는 모양

골돌 암술 하나하나가 발달한 열매로, 보통 안쪽 봉합선을 따라 갈라진다.

구과(毬果) 소나무나 굴피나무의 열매처럼 솔방울 모양인 열매

권산꽃차례 꽃이 달린 줄기가 처음에 고사리손처럼 말렸다 조금씩 퍼지는 꽃차례.

기부 어떤 대상의 기초가 되는 시작 부분

깃꼴겹잎 잎자루 양쪽으로 작은 잎이 새깃꼴로 마주 붙는 잎.

까끄라기 벼과 식물에서 포영이나 호영의 끝 부분이 자라서 된 털 모양의 돌기.

꼬투리 콩과 식물의 열매 또는 열매를 싸고 있는 껍질로 보통 봉합선을 따라 터진다.

꽃대 꽃자루가 달리는 줄기.

꽃받침 꽃의 가장 밖에서 꽃잎을 받치고 있는 조각.

꽃밥 수술의 끝에 달린 꽃가루를 담고 있는 주머니.

꽃부리 꽃잎 전체를 이르는 말.

꽃뿔 꽃부리나 꽃받침의 일부가 뒤쪽으로 길게 튀어나온 부분으로 속이 비어 있거나 꿀샘이 있다.

꽃이삭 1개의 꽃대에 이삭 모양으로 꽃이 달린 꽃차례.

꽃자루 꽃을 달고 있는 자루.

꽃줄기 끝에 꽃이 달리는 줄기. 보통 잎이 달리지 않으며 포가 있다.

나선상 나사처럼 꼬여있는 모양.

내화피(內花被) 화피(꽃잎)가 2줄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안쪽의 화피.

다육질(多肉質) 살이 찌고 내부에 수분이 많은 성질.

덩굴손 줄기나 잎의 끝이 다른 물체를 감을 수 있도록 가늘게 덩굴로 모양이 바뀐 부분.

돌려나기 마디에 3개 이상의 잎이 돌려붙는 것.

두상꽃차례 국화처럼 꽃대 끝에 통꽃과 혀꽃이 촘촘히 모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꽃같이 보이는 꽃차례

두상화(頭狀花) 국화와 같은 두상꽃차례의 꽃 한송이를 이르는 말.

로제트 뿌리옆이 땅 위에 방석처럼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모양.

마주나기 한 마디에 2장의 잎이 마주나는 것.

막질(膜質) 얇은 막으로 된 성질.

모여나기 한 마디나 한 곳에 여러 개의 잎이 무더기로 모여 난 것.

미상꽃차례 거의 자루가 없는 꽃이 꼬리모양으로 모여 달려 늘어지는 이삭 모양의 꽃차례. ‘유이꽃차례’라고도 한다.

방추형(紡錐形) 럭비공처럼 원기둥꼴의 양 끝이 뾰족한 모양.

배상꽃차례 대극과 특유의 꽃차례로 암꽃 또는 수꽃이 술잔 모양의 꽃턱 속에 들어 있는 꽃차례.

부생식물(腐生植物) 죽어 있는 다른 생물을 분해해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양분을 얻는 식물.

부화관(副花冠) 꽃부리와 수술 사이. 또는 꽃잎 사이에서 생긴 꽃잎처럼 생긴 작은 부속체.

불염포(佛焰苞) 천남성과의 육수꽃차례를 둘러싸고 있는 넓은 포.

비늘줄기 땅속의 짧은 줄기의 둘레에 양분을 저장한 다육질의 잎이 많이 붙어서 둥근공 모양을 이룬 땅속줄기.

뿌리줄기 수평으로 자라는 땅속줄기의 한 형태로 뿌리처럼 보인다.

삭과(蒴果)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고, 칸마다 씨가 많이 들어 있는 열매.

산방꽃차례 무한꽃차례의 일종으로, 꽃자루의 길이가 줄기 아래쪽에 달리는 것일수록 길어져서 꽃이 거의 평면으로 가지런하게 피는 꽃차례.

산형꽃차례 무한꽃차례의 일종으로 꽃대의 끝에 여러 꽃자루가 우산살 모양으로 갈라져 그 끝에 꽃이 하나씩 피는 꽃차례.

살눈 곁눈의 한 가지로 양분을 저장하고 있어 살이 많고 땅에 떨어지면 씨처럼 싹이 트는 조직.

선모(腺毛) 부푼 끝부분에 분비물이 들어 있는 털.

선점(腺點) 잎이나 꽃잎에 나는 검은색 또는 투명한 점으로 분비물이 나온다. ‘유점(油點)이라고도 한다.

선형(線形) 폭이 좁고 길이가 길어 양쪽 가장자리가 거의 평행을 이루는 잎이나 꽃잎.

소총포(小總苞) 겹산형꽃차례에서 각각의 작은 꽃차례를 받치고 있는 총포.

수과(瘦果) 껍질이 얇으며, 속에 1개의 씨가 들어 있어 전체가 씨처럼 보이는 열매.

수상꽃차례 1개의 긴 꽃대에 꽃자루가 없는 꽃이 이삭처럼 촘촘히 붙어서 피는 꽃차례.

시과(翅果) 단풍나무 열매처럼 날개가 발달한 열매.

신장형(腎臟形) 세로보다 가로가 긴 원형의 밑 부분이 들어가서 전체적으로 공팥처럼 생긴 잎 모양.

심장저(心臟底) 잎의 밑 부분이 심장형처럼 생긴 모양.

심장형(心臟形 )하트(♡)처럼 생긴 잎 모양.

암수딴그루 암꽃이 달리는 암그루와 수꽃이 달리는 수그루가 각각 다른 식물.

암수한그루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따로 달리는 식물.

양성화(兩性花) 하나의 꽃 속에 암술과 수술을 함께 갖춘 꽃

예저(銳底) 잎의 밑 부분이 뾰족한 모양.

외총포(外總苞( 여러 개의 총포조각 중 가장 밖에 있는 총포.

외화피(外花被) 화피(꽃잎)가 2줄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바깥쪽에 위치한 화피.

우상맥(羽狀脈) 측맥이 잎의 주맥으로부터 새의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는 것.

원두(園頭) 잎의 끝이 둥그스름한 모양.

원저(園底) 잎의 밑 부분이 둥그스름한 모양.

원추꽃차례 전체가 원뿔 모양으로 되는 꽃차례

육수꽃차례 다육질인 꽃대 주위에 꽃자루가 없는 수많은 잔꽃이 빽빽이 달린 꽃차례.

잎겨드랑이 줄기에서 잎이 나오는 겨드랑이 같은 부분으로 잎자루와 줄기 사이를 말한다.

잎몸 잎을 잎자루와 구분하여 부르는 이름으로 잎자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잎집 잎자루의 밑 부분이 칼집 모양으로 발달해서 줄기를 싸고 있는 부분.

잎혀 잎집과 잎몸의 연결부위의 안쪽에 있는 작고 얇은 조각.

장과(漿果) 겉껍질은 얇고, 살에는 즙액이 많으며 속에는 씨가 들어 있는 열매.

장상맥 단풍나무 잎처럼 주맥이 없이 잎자루 끝에서 손가락 모양으로 벋은 잎맥.

집산꽃차례 꽃대 끝에 꽃이 달리고 그 밑에서 벋은 자루 끝에 꽃이 달리는 것이 반복되는 꽃차례.

총상꽃차례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피어 올라가는 꽃차례.

총포(總苞) 꽃차례 밑에 붙은 포.

취과(聚果) 산딸기처럼 꽃턱 위에 씨방이 발달한 여러개의 과실이 모인 열매.

취산꽃차례 꽃차례의 끝에 달린 꽃 밑에서 한쌍의 꽃자루가 나와 각각 그 끝에 꽃이 한 송이씩 달리는 것이 계속 반복되는 꽃차례.

턱잎 잎자루 기부에 붙어 있는 비늘 같은 작은 잎조각.

통꽃 국화과의 두상화를 이루는 꽃의 하나로 꽃부리가 대롱 모양으로 생기고 끝만 조금 갈라진 꽃

폐쇄화 꽃잎이 벌어지지 않고, 자신의 암술과 수술로 수정을 하는 꽃.

꽃의 밑에 있는 작은 잎. ‘꽃턱잎’ 이라고도 한다.

포조각 포를 구성하는 각각의 조각.

피침형(披針刑) 버드나무 잎처럼 가늘어지면서 길이와 폭의 비가 6:1에서 3:1정도로 기다란 잎.

핵과 복숭아처럼 씨가 들어 있는 단단한 속껍질을 다육질의 열매살이 둘러싼 열매.

헛비늘줄기 난초과의 식물에서 볼 수 있으며, 줄기가 불룩해져서 비늘줄기처럼 보이는 것.

헛수술 퇴화하여 꽃밥이 생기지 않는 수술.

혀꽃 국화과의 두상화를 이루는 꽃의 하나로 아래는 대롱 모양이고 위는 혀 모양인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