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나물로 봄의 나른함을 이긴다.
영양은 듬뿍, 기운은 쑥쑥! 나른한 봄날의 피로 확 풀어 볼까나 |
- 비타민, 칼슘,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 풍부해 - |
- 춘곤증, 피로회복, 입맛을 돌리는 봄나물 좋아 - |
겨우내 추위로 움추렸던 몸의 피로를 싱그러운 봄나물로 말끔히 날려보자.
봄나물 하면 가장 먼저 떠 오르는 냉이는 그 향긋하고 독특한 맛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이 없을정도이다. 특히 살짝 데쳐 된장을 넣고 버무려 먹는 그 맛은 별미 중의 별미다. 냉이에는 단백질과 칼슘, 철분이 풍부하고 비타민A가 많이 들어 있어 봄철 춘곤증 예방에 그만이다. 냉이에 함유된 무기질은 끓여도 파괴되지 않으며 특히 푸른잎 속에는 비타민A가 많아 하루 100g만 먹으면 1일 필요량의 1/3은 충당이 된다. 한방에서는 냉이를 소화제나 기사제로 이용할 만큼 위나 장에 좋고 간의 해녹장용을 돕는다고 한다. 또 냉이 뿌리는 눈 건강에 좋고 고혈압 환자에게 냉이를 달여 먹도록 처방하기도 한다.
상품한 맛과 은은한 향기,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푹 찍어 먹으면 입안에서 싸하게 퍼지는 봄 내음에 정신이 아찔해질 정도로 독특한 맛이 일품이다. 두릅에는 단백질과 무기질, 비타민C가 특히 많이 들어있다. 두릅의 쓴맛을 나게 하는 사포닌 성분은 혈액순환을 도와줘 피로회복에 좋다. 살짝 데친 후 초고추장에 찍어 먹어야 비티만이 파괴되지 않는다.
쌉쌀한 맛이 특징인 씀바귀는 미각을 돋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봄철 입맛이 없을때 새콤하게 무쳐 먹으면 식욕 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 씀바귀는 위장을 튼튼하게 해 소화기능을 좋게하는 특징이 있는데 옛 어른들은 이른 봄에 씀바귀 나물을 먹으면 그해 여름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했다. 고등빼기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 씀바귀는 열병, 속병에 좋고 눈을 맑게 해준다.
유럽에서는 가장 탁월한 항암 치료약으로 인정되고 있는 머위는 암환자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머위 앞에는 비타민A를 비롯해 비타민이 골고루 함유돼 있으며 칼슘 성분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이다. 머위는 잎을 따 버리고 잎자루를 삶아서 물에 담가 아릿한 맛을 우려낸후 껍질을 벗겨내고 조리한다. 머위 나물은 볶음, 조림, 장아찌 등으로 조리하며 머위잎은 삶아서 쓰고 아릿한 맛을 우려낸 후 쌈도 싸 먹을 수 있다.
|
'我 > 농림축식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농업기술센터 리스트 (0) | 2008.03.29 |
---|---|
건강한 종자가 친환경 농사의 절반 (0) | 2008.03.29 |
달러로 피는 장미, 토종식물 개발을 기대 (0) | 2008.02.12 |
우리의 느티나무, 농촌진흥청 (0) | 2008.02.03 |
약특용작물도감(Daum Green net) (0) | 2008.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