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토양이야기

우리나라 대표 토양의 pH에 관한 해석

 우리나라 대표 토양의 pH에 관한 해석

 

 

특용작물학과 3학년 3월 과제

 

우리나라 토양의 반응(pH)에 대하여 160개 토양통을 중심으로 토지이용 현황별 퇴적양시별 pH와 측정조건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보고 토양의 건강도 및 상태를 해석하여 보고하시오.

 

1. 우리나라 대표토양들의 토지이용별 표시토의 평균 pH(H₂O) 값은 답토양 5.3±0.6, 전토양 5.5±0.9, 임야지 5.4±0.5 초지 5.3±0.6이였으며 전체 평균은 5.4±0.7이였다.

 

2. 상기 pH 값은 pH(KCl)값으로 답토양 4.2±0.6, 전토양 4.2±0.8, 림야지 4.0±0.6, 초지 4.3±0.6이며 전체 평균은 4.2±0.6이다.

 

3. pH(field), pH(H₂O) pH(KCl)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여 주었으며 그 관계는 田, 草地, 林野, 畓의 순으로 현지에서 비색법으로 측정하는 pH(field)값도 상당히 정확한 측정치를 얻을 수 있었다.

 

출처: 우리나라 대표토양의 pH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n the pH of Soils in Korea)

황경선 한국토양비료학회발행일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