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토양이야기

중국 식품이 우리 몸을 망친다

중국 식품이 우리 몸을 망친다

 

한국의 식탁을 점령한 중국산 먹을거리, 과연 얼마나 위험할까? 중국 작가 저우칭은 <중국 식품이 우리 몸을 망친다>(김형호 옮김, 시공사 펴냄)에서 중국인은 물론 세계인을 위협하는 중국산 먹을거리의 실상을 낱낱이 까발린다. 저우칭은 먹을거리 위험을 은폐하려는 중국 정부, 기업의 견제를 감수하며 2년 이상 중국 전역의 먹을거리 실상을 취재했다.

 

우선 '채소절임(파오차이·泡菜)'을 살펴보자. 몇 번의 비밀 취재 후 나는 마침내 이 산업의 진상을 밝혀냈다. 이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채소를 절이는 과정이다. 나는 여기서 사용되는 소금이 대부분의 소금보다 더 하얗다는 것뿐만 아니라, 입자도 작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래서 "어째서 소금이 이렇게 하얗습니까?"라고 물어보았다. 공장장은 이렇게 대답했다. "이 소금은 암시장에서 구입했습니다. 1근당 50위안 쌉니다." 나중에 나는 바깥의 마당에서 소금 포대에 인쇄되어 있는 무시무시한 문구를 목격했다. '산업용 소금', '식용 금지'.

며칠 뒤에 나는 그 공장에 다시 갔는데, 절인 채소들이 담겨있는 큰 통 주변으로 작은 벌레들이 수없이 기어 다니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왜 그토록 많은 벌레가 있는지 물어보았다. 공장장은 "채소를 절일 때에는 항상 벌레가 많이 있다. 그렇지만 화학약품을 넣으면 다 없어진다"고 대답했다. 조금 뒤 한 일꾼이 화학약품을 그 통들에 넣기 시작했다. 나는 그 화학약품이 무엇인지 물었는데, 그는 살충제라고 대답했다. 그는 또한, 벌레를 확실히 박멸하기 위해서, 공장에서 출하할 때까지 그 절임들에 살충제를 이삼일에 한 번씩 살포한다고 말해 주었다. 그게 정확히 무슨 살충제냐고 내가 물었을 때, 공장장이나 일꾼들이나 모두 모른다고 말했다. 그들이 사용하는 화학약품 용기에 아무런 라벨도 붙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그 적색 액체를 시료로 조금 추출하여 밀봉 용기에 담아 '중국 수출입식품검사센터'에 보내 검사를 받았다. 그 화학약품은 99% 농도의 DDVP였다.

 

또다시 구이저우에서, 국가 위생감독국이 실시한 최근의 표본조사 결과, 30개 노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튀긴 막대기 빵'의 알루미늄 함유 수준이 모조리 국가 허용 기준을 초과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단 하나도 합격하지 못했다. 그중 한 노점의 빵은 허용치의 11배나 되는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노점상들이 식품안전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해서 빵 반죽에 명반을 너무 많이 집어넣었기 때문이다.

 

한 식품 제조업자에 따르면, '기름에 끓인 생선'을 파는 음식점들은 같은 기름을 반복해서 다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보통 일이 어떻게 되느냐 하면, 손님들이 생선을 먹고 난 뒤 남긴 것을 체에 걸러 그 남은 기름을 일단 쇠로 된 용기에 수집한다. 그런 뒤 저녁에 그 기름에서 물기를 제거한다. 이 기름을 다시 사용할 때에는 다량의 고추를 첨가해야 한다. 그 기름이 신선하지 않다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한 목적이다. 바로 이것이 '기름에 끓인 생선'이 '침에 끓인 생선'이 되는 과정이다.

량피(凉皮·차게 먹는 녹말묵 국수)는 산시(陝西)성 관중(關中) 지방의 이름난 간편식이다. 산시성 출신 코미디언들이 여럿 성공하면서, 이 간편식은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그러나 최근 베이징에서 판매되는 일부 량피에 관한 몇몇 끔찍한 진상이 밝혀졌다. 한 불법 제조업체에서 량피를 반죽할 때 발로 짓밟기도 하고, 또 오줌과 침까지 넣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04년 6월 11일 베이징 관계 당국은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예방을 위해 연어를 날것으로 먹지 말라고 시민들에게 경고했다. 그와 동시에 베이징 공업 및 상업국은 시민들에게 말린 채소, 과일, 견과류를 너무 많이 먹지 말 것을 권고했다. 이들 제품의 87.1%가 이산화황 함유량에 있어서 기준에 부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다시 같은 날, 베이징 공업 및 상업국은 첨가제 함량이 기준을 초과한 43개 제품의 명단을 발표했다. 7월 21일, 베이징 위생 및 식품 관리부는 바다달팽이류를 먹지 말도록 주의를 고시했다. 7월 13일에 인촨(銀川)시에서 독성 바다달팽이에 의한 심각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55명이 중독되고 1명이 죽었다. 바다달팽이 자체는 독성이 없었으나, 그것들이 먹은 유독한 물질로 인해 치명적으로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