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비료이야기

왕겨와 훈탄의 과학

 왕겨와 훈탄의 과학

왕겨..벼 껍질...그것을 태운 재...훈탄

 

훈탄은 왕겨를 열분해하여 얻어진 물질이다. 주성분은 탄소 80% 이상이 탄소질이며 무수한 구멍으로 이루어져있다. 무수한 구멍군은 거대한 표면적을 이룬다. 훈탄의 거대한 표면적이 토양미생물의 서식처가 되어 토양개량 물질로 동물의 미생물상을 개선하여 사육증의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한다고 알려져있다. 훈탄은 왕겨 숯에 왕겨액을 넣어서 만든 순수 한국산 자연자원으로 토양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우수하다. 유기농업, 자연농업의 좋은 파트너가 되는 것은 물론,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하던 토양의 본래의 모습을 되찾아 줄 것이다.특히 훈탄은 1g당 표면적이 200~400평방미터나 되어 엄청난 구멍군을 가지고 있는데 이 구멍이 미생물의 안식처가 된다.
훈탄은 다공성이면서 음이온(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주위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데 이 성질을 이용하여 탈취제로 이용되기도 하며 음이온의 흡착성은 강력한 해독 자용으로 이어진다. 우리나라의 토양에는 인, 카리등이 축척되어 있어서 연작피해가 속출하고 있으나 훈탄은 사용아며 이 물질들을 이온분해하여 토양을 부드럽게 하며 이 생물의 환경을 개선하여 토양을 개량하게 된다. 훈탄의 다공성은 토양에 많은 산소를 보급하여 뿌리의 발육이 보통보다 150%이상 신장하게 된다.

 

 

 

 

 
 

' > 비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소 화분 ‘파워 플랜트 그로잉 머신’  (0) 2009.08.16
석회보르도액의 위력  (0) 2009.07.12
자재를 이용한 병충해 방제법   (0) 2009.04.03
왕겨훈탄기  (0) 2009.03.25
산도계를 잘 이용하자  (0) 2009.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