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토종이야기

냉이 알고 먹자

냉이 알고 먹자

관련사진

역사 및 유래

냉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냉이를 왕성하고 풍성한 풀이라는 뜻으로 제(薺) 또는 제채(薺菜)라고 한다. 가난한 사람들의 식량으로 이용되었으며 맛이 부드러워 100살 먹은 노인도 냉이국을 먹을 수 있어 냉이를 백세갱(百歲羹)이라 부르기도 한다. 중국의 시경에 인용될 정도로 식용의 역사가 긴 냉이는 봄의 춘곤증을 없애고 입맛을 돋우는 대표적인 봄의 나물이다. 우리나라는 자연에 순응해 살 듯 음식도 자연대로 살려서 먹었는데 나물이 발달한 것도 그러하다. 우리나라의 나물요리는 육식을 못하게 하는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기근에 살아남기 위해 구황식품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영양소

냉이는 채소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은 것 중의 하나로 시금치의 2배 이상을 갖고 있으며, 칼슘과 철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봄이 되면 우리의 몸이 활동기로 접어들어 많은 비타민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냉이에는 비타민 A, B1, B2, C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춘곤증 예방에 효과가 있다. 특히 냉이의 잎 속에 비타민 A가 매우 많아 냉이를 100g만 먹으면 성인이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 A의 3분의 1은 섭취하게 된다.「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냉이로 국을 끓여 먹으면 피를 간에 운반해 주고, 눈을 맑게 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간염, 간경화, 간장쇠약 등의 간질환에는 냉이를 뿌리째 씻어 말린 것을 가루로 내어 식후에 복용하는 방법이 민간요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1일 영양소 기준치: 비타민 A(㎍ RE): 700

 

냉이의 영양 성분표 (100g 당)

 

종류 열량
(kcal)
수분
(%)
단백질
(g)
지질
(g)
탄수화물 회분
(g)
무기질 비타민
당질(g) 섬유(g) Ca
(R.E)
Fe
(mg)
A
(mg)
냉이    31.0    87.8     4.7    0.7   3.8 7.05   1.40   145.0     5.2    189.0

<한국영양학회7차 개정판>

 

 

구입 및 감별법

요즘은 재배 기술이 발달하여 하우스에서 대량 재배 되어 1년 내내 구입이 가능 하지만 이른 봄부터 저절로 자라난 것이 향이 좋고 맛이 있다. 냉이를 직접 채취할 때는 인적이 드문 곳에서 자란 것이 깨끗하고 연하며 사람이 많이 지나다니는 곳은 억세고 단맛도 덜 하다. 잎이 크지 않고 뿌리가 실한 것을 고른다. 뿌리가 너무 굵고 잎이 누렇게 변해 있는 것은 맛이 없으므로 구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 구입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풍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빨리 조리하는 것이 좋다.

조리 및 음식

 

 

냉이밥

  • 쇠고기를 양념해 깔고 쌀을 얹어 물을 붓고 끓이다가 냉이와 당근을 넣고 뜸을 들인다.

냉이죽

  • 쌀과 양념한 쇠고기를 볶다가 물을 붓고 끓인다. 쌀알이 퍼지면 냉이를 송송 썰어 넣고 간을 맞춘다.

냉이 영양찐빵

  • 밀가루에 베이킹파우더, 설탕, 소금, 우유를 넣고 반죽을 하다가 잘게 썬 냉이, 당근을 넣고 성형하여 찐다.

냉이전

  • 냉이를 콩가루로 묻힌 다음 밀가루 풀어 놓은 물에 앞뒤로 살짝 담가 팬에 지진다. .

Q&A

line

냉이는 봄에 특히 좋다고 하는데 어디에 좋은가요?

봄이 되면 비타민 부족으로 나른한 피로감을 느끼는데 봄나물인 냉이엔 유난히 비타민이 많이 들어있어 피로감을 줄일 수 있어요. 특히 냉이는 콜린(choline)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간 기능을 강화시켜 간장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 주고 지방간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어 봄 타는 증상을 없애주는 역할을 합니다.

line

냉이를 먹으면 시력이 좋아진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봄철 대표나물인 냉이에는 비타민이 풍부해요. 특히, 비타민 A가 풍부한데, 이는 베타카로틴이라는 전구체로 존재하다가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바뀌어요. 비타민 A는 눈을 밝게 해주기 때문에 냉이를 오랫동안 먹으면 시력이 좋아집니다.

line

냉이는 봄 냉이뿐만 아니라 가을 냉이도 있다고 하는데 봄 냉이와 가을 냉이가 어떻게 다른가요?

봄 냉이는 뿌리의 심이 가늘고 가을 냉이는 심이 굵어요. 가을 냉이는 봄 냉이에 비해 맛이 덜하고 거칠어요.

line

냉이를 조리 할 때 잘못 다듬으면 풋내가 나서 맛이 떨어지는데요. 어떻게 다듬고 조리를 해야 풋내와 쓴맛을 제거할 수 있나요?

냉이를 다듬을 때 뿌리와 잎 사이에 흙과 잔털을 미리 제거하고 찬물에 뻑뻑 문질러 씻으면 풋내가 나기 때문에 물에 잠시 담궜다가 살살 흔들어서 씻는 것이 좋아요. 또한 물에 담그거나 끓는 물에 살짝 데치면 쓴맛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line

냉이국을 끓일 때 맛있게 끓이는 방법이 있나요?

냉이국을 끓일 때 된장에 쌀뜨물을 넣으면 더 구수해지고, 냉이를 날콩가루에 무쳐서 끓을 때 넣으면 동동 뜨고 고소한 맛이 더 납니다. 냉이를 끓일 때 쌀뜨물과 날콩가루를 이용하면 단백질의 상승효과가 커져 영양이 향상될 뿐 아니라 비타민 B1과 비타민C의 파괴가 적어져서 좋아요.

line

FoodSafety WEBZINE 48호 Copyright © 2008 by Food Satety information service. All rights reserved.

' > 토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만들기, 마음만들기  (0) 2010.05.20
좋은 쌀과 발효주 원료  (0) 2010.05.20
과실주 … 보기, 향, 마시기도 좋죠   (0) 2009.05.28
창포향 가득한 강릉해살이마을   (0) 2009.05.05
해당화의 꿈  (0) 200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