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농업을 보는 눈빛
농사를 지을 때 “작물의 생육증상이 발생되는 상황을 현장에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을까?”라는 화두를 가지고 공부하는 학생들과 농업인들이 많아 졌다. 현장에서 토양을 분석하여 진단하는 방법이 일부 실용화되고 있지만 부분적인 해석에 그치는 경우를 많이 본다. 현장에서 토양을 진단하여 작물의 생육이상 원인을 알아내는 과학적인 방법을 실용화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가 되였다. 과학 영농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농수산대 본교생들의 젊은 눈빛과 본격적인 귀농 준비를 의욕에 찬 선배들의 눈빛에서 그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
현장진단의 기본원리는 환경을 분석하고 토양성분을 적정상태로 맞추어 주는 것으로 부터 시작이다. 즉 “토양이 화학적으로 적정한 상태인가?”, “양분은 잘 공급되고 있는가?”, “식물이 양분을 잘 흡수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사람에 비유하면 “지내는 환경이 좋은가?”, “밥은 잘 먹는가?”, “골고루 양분을 섭취하는가?”를 살펴서 살기 좋도록 해주는 것과 같다. 현장진단방법은 작물이 살기에 적절한 토양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토양산도와 산화환원 전위를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질소,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부족하기 쉬운 양분도 잘 공급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식물에게 양분과 환경을 적정기준과 비교하여 판단한다.
토양 pH가 낮아지면 아질산 가스가 발생하거나 알루미늄의 해가 나타나 작물이 고사한다. 토양이나 양액의 pH를 소(생)석회 포화액을 사용하여 높여주면 좋은 결과를 보인다. 토양 pH가 많이 낮아진 경우 소(생)석회 포화액을 사용해도 pH를 올리기 힘들게 되므로 농가에서 토양 pH를 직접 검사하여 관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토양이 적정한 상태를 벗어나면 양분부족이나 양분불균형 현상이 뒤따른다. 그래서 질소와 인산 및 칼륨 등의 필수성분들로만 이루어진 물질을 현장진단결과에 따라 해주어도 회복 가능하다. 연작장해나 염류장해도 양분불균형에서 비롯되었는데 현장진단으로 모두 회복 가능한 것이다.
현장 진단 사례의 대부분은 토양이 화학적으로 적정한 상태를 벗어난 경우이다. 즉 토양산도와 산화환원전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이다. 토양 pH가 높아지면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여 문제를 일으킨다. 이런 경우 암모늄 함유비료를 자제하거나 질산으로 토양의 pH를 낮춰 암모니아 발생을 막아야 한다.<참조 PC센터, 농촌진흥청 자료>
'敎 > 귀농귀촌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장의 밤하늘 (0) | 2013.06.18 |
---|---|
새로운 비상을 위하여 (0) | 2013.06.18 |
양평산나물축제 (0) | 2013.05.12 |
발효현장의 목소리 (0) | 2013.05.12 |
산약초의 중심에 서서 (0) | 201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