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민시인 유희경과 사랑-매창
우리 역사 최고의 연정시
비바람 불며 울던 시절이 몇 해인가?
어디서 온 풍류객인지 술병 들고 찾아오네
당신은 무슨 일로 이리 늦으셨어요?
초롱초롱 맑은 눈동자
매창의 본명은 향금이며 아전 이탕전의 딸로 계유년에 태어나서 계생 또는 계량이라고 불렀다. 매창은 어려서 한문과 시문을 익혓고 기생이 되었고 가사·한시·시조·가무·가야금에 능하였다. 매창은 신사임당·허난설헌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여류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매창의 작품으로 `매창집’은 아쉽게도 전하지 않고 구전되어오는 58수 한시와 금석문이 전해진다.
이매창은 부안 기생으로 개성 기생 황진이와 더불어 조선의 쌍벽을 이룬 기생이었다. 황진이는 가야금에 뛰어났고 매창은 거문고에 뛰어났다. 황진이는 서경덕·이사종·소세양 등과 교우했고 매창은 유희경·허균·이귀 등과 교우했다. “황진이와 서경덕 그리고 박연폭포를 `송도3절’이라고 하듯이 매창과 유희경 그리고 직소폭포를 `부안3절’이라고 한다”라고 신석정은 말했다. 부안 출신인 석정 신석정은 목가적이고 전원적인 시인으로 `매창시집’과 더불어 `임께서 부르시면’,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등을 남겼다.
북쪽에는 황진이 남쪽에는 이매창
`돌비는 낡아지고 금잔디 새로워라 덧없이 비와 바람 오고 가건만 한줌의 향기로운 이 흙 헐리지 않는다. 이화우 부르다가 거문고 비껴두고 등 아래 홀로 앉아 누구를 생각는지 두 뺨에 젖은 눈물이 흐르는 듯 하구나 비단적삼 손에 잡혀 몇 번이나 찢었으리 그리던 운우도 스러진 꿈이 되고 그 고운 글발 그대로 정은 살아남는다’라고 가람 이병기는 매창의 무덤을 찾아 노래했다. 이병기는 익산 출신 시인으로 술과 시와 제자를 사랑했고 `매창뜸’을 비롯해 `시조란 무엇인가’, `가람시조집’ 등을 남겼다.
“이화우(梨花雨) 흩날릴제 울며잡고 이별한 님 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는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라.” 매창이 유희경을 생각하며 시를 남겼다.
“그대의 집은 부안에 있고 나의 집은 서울에 있어 그리움 사무쳐도 서로 못 보니 오동잎에 비 뿌릴 제 애가 탄다오” 유희경은 매창을 생각하며 시를 남겼다
촌은(村隱) 유희경(劉希慶)은 천민출신의 풍류객이자 대시인이다. 예(禮)와 상례(喪禮)에 밝아 국상에서부터 평민들의 장례까지 집례했다. 부안을 찾은 쉰 살 유부남 유희경과 열아홉 살 기생 매창은 뜨거운 사랑을 시작했다. 하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뜨거운 사랑은 물거품처럼 허물어지고 기나긴 이별을 하였다. 유희경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으로 싸운 공로를 인정받아 정3품 당상관의 통정대부까지 승진하였고 다시 종2품 가의대부로 승진하였고 정2품 자헌대부에 추증되었다.
허균 `매창의 죽음을 슬퍼하며’
“계생은 부안 기생인데 시에 능하고 글도 이해하며 또 노래와 거문고도 잘했다. 그러나 천성이 고고하고 개결하여 음탕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나는 그 재주를 사랑하여 교분이 막역하였으며 비록 담소하고 가까이 지냈지만 난의 경지에는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오래가도 변하지 않았다. 지금 그 죽음을 듣고 한차례 눈물을 뿌리고서 율시 두 수를 지어 슬퍼한다”라고 허균은 매창의 무덤을 찾아 `매창의 죽음을 슬퍼하며’라는 시를 남겼다. 허균은 10년 동안 부안에서 `홍길동전’을 남기고 반역죄로 처형당했다. 부안에서 허균과 매창은 플라토닉 사랑을 하였다.
매창은 죽어서 부안 남쪽 언덕에 있는 공동묘지에 거문고와 함께 묻혔다. 부안 사람들은 매창이 죽고 세월이 흐른 뒤에 무덤에 비석을 세우고 목판을 깎아 `매창집’을 간행했다. 지금도 매창의 무덤이 있는 언덕을 `매창이 뜸’이라고 하며 음력 4월이면 제사를 모시고 있다. 매창은 기생으로 한 많은 삶을 살았지만 아름다운 글은 오늘까지 전해지고 매창의 무덤에서는 거문고 소리가 오늘도 들리는 듯하다. 서일환<광주우리들병원 행정원장>
'詩 > 우시인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길에 만난 싯구 (0) | 2016.06.26 |
---|---|
나를 흔드는 시 한 줄 (0) | 2016.05.25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0) | 2015.12.15 |
연탄한장 (0) | 2015.12.06 |
農夫와 詩人의 편지 (0) | 201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