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비료이야기

(103)
무기질비료-1 농산물 생산 필수재 불구…‘안전하지 않다’ 오명 설움 [한국농어민신문 조영규 기자] ‘화학비료’ 통칭 부정적 인식 무기질비료로 명칭 바꿔 토양 산성화 오해 있지만 산성토양 개량 효과 주목 음식의 육류 같은 역할 유기질비료와 균형 사용해야 올해도 무기질비료산업은 위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수년째다. 무기질비료가격이 적정선에 미치지 못한데다 오해에서 비롯된 무기질비료의 부정적인 인식도 많기 때문이다. 농협을 통해 대부분이 납품되는 유통구조도 문제다. 무기질비료산업이 흔들리면 농업인들이 영농의 필수 농자재인 무기질비료는 물론, 경제성을 가진 고품질 비료를 사용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을지 모른다. 국내 무기질비료산업에 활기를 넣어줘야 하는 이유다. 그래서 본보는 3회에 걸쳐 무기질비료산업 발전방안을 모색한다. 비료는..
비료 배합시 유의사항 비료양액재배 및 배양액 관리 양액의 농축액 제조 시 반드시 두 개 이상의 탱크에 분리하여 조제해야 한다. A 탱크에는 Ca2+ 비료를, B 탱크에는 인과 황이 함유된 비료를 넣어 Ca2+과 인 〔Ca(H2PO4)2〕 또는 Ca2+과 황(CaSO4)이 결합하지 않도록 한다. 이들은 한 번 결합 하면 다시 용해되지 않아 양액 성분의 변화는 물론 드리퍼 등을 막히게 하여 정확한 급액을 방해한다. 특히 pH 조절을 위해 인산을 사용할 때에는 Ca2+의 침전 때문에 B 탱크에만 넣어야 한다. 산을 취급할 경우는 보호장구를 착용하여야 하며, 산에 물을 희석하지 말고 반드시 물에 산을 희석하여야 한다. 산에 피부가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야 하며, 세수할 때처럼 피부를 짓이기면 손상이 되므로 주의하여..
무기질 비료의 움직임 비료의 종류 보통비료는 단비나 복합비료 등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비료의 대부분 비료이다. 비료법에 의해 함유하는 주성분의 최저 보증량과 유해 성분의 제한량을 규정하는 규격(공정규격)이 정해져 있다. 이 밖에 보증 성분량이나 정미중량, 생산 년 월 일을 기재한 보증표의 첨부가 의무화되어 있다.보통비료에는 단일의 주성분을 보증하는 단비와 2성분이상을 보증하는 복합비료가 있다.최근에는 시비노력이 적게 드는 고성분 농도의 복합비료 (고도화성비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성분농도가 높은 만큼 과잉 시비를 초래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유기질비료는 쌀겨나 퇴비와 같이 농가의 오감에 의해 쉽게 식별 할 수 있는, 또는 각종 폐기물과 같이 일반적으로 낮은 성분으로 공정규격을 설정 못한 비료를 말 한다..
아인산염 방제법 인삼 더덕 뿌리썩음병 방제 효과 최근 소득작물로 뜨고 있는 더덕 뿌리썩음병 문제를 해결하는 데 친환경 방제법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농가 소득향상에 도움줄 것으로 보인다. 북제주군농업기술센터가 지난해 4월부터 조천읍 선흘리 시험밭에서 4개 시험구를 설치, 운영한 결과 친환경 방제법인 ‘아인산염살포구'가 상품성이 높은 대신 발병률이 가장 낮았다. 나머지 3개 시험구는 토양살충제살포구, 화학약제방제구, 무처리구 등이다. 시험재배 결과, 아인산염처리구는 뿌리길이 16㎝, 뿌리무게 40.2g, 뿌리굵기 22.6㎜ 등으로 다른 3개 시험구에 비해 상품성이 월등히 높았다. 또 뿌리썩음병 발병률도 아인산염처리구는 20%에 그친 반면 토양살충제구는 30%, 약제방제구와 무처리구는 각 40%에 달해 친환경 방제..
철 원소 철분 형태와 적변삼 모든 흙에는 철분이 상당히 많이 들어 있다. 그런데 그 철분은 철(Fe) 그 자체로 들어 있지 않고 논이나 호수의 바닥 같은 데를 제외하고는 많이 산화된 상태인 제2산화철(Fe,sub>2O3)의 형태로 있다. 제2산화철은 붉은 갈색을 띤다. 산이나 밭의 흙이 붉는 갈색을 띠는 것은 이 산화철 때문이다. 제2산화철은 물에 매우 조금 밖에 녹지 않는다. 제2산화철이 산소가 부족하면 제1산화철(FeO)로 변한다. 그런데 제1산화철은 제2산화철보다 물에 훨씬 더 잘 녹는다. 인삼 밭에 미발효 퇴비나 장마 때 물이 잘 빠지지 않아 흙에 공기(산소가 들어 있는 공기)가 부족하게 된다. 그러면 흙에 있는 물에 잘 녹지 않는 제2산화철이 물에 비교적 잘 녹는 제1산화철로 변한다. 이런 포장에서 자라..
붕소원소 붕사 붕산 뿌리혹병과 붕산 붕사를 비롯한 붕소 화합물은 세제로 많이 쓰인다. 붕사도 양이 많아지면 독성을 띤다. 미국에서는 이 물질을 음식에 쓰지 못하도록 금지하고 있지만 다른 몇몇 나라에서는 붕사를 캐비아((Caviar)에 넣기도 한다. 붕사를 넣으면 캐비아가 더 달고 씹는 맛도 좋아진다. 하지만 캐비아를 지나치게 먹어서 중독될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최상품 캐비아로 치는 용상어의 알은 400g에 40만원이 넘기 때문이다. 물론 캐비아 포장에 붕사가 첨가 됐다는 말은 적혀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배추농사의 뿌리혹병은 산도 부적절과 붕소 부족에서 시작된다. 우리나라와 같이 비가 많고 뜨거운 날이 계속되면 붕소는 토양에서 이탈하여 뿌리혹병, 뿌리 갈라짐, 배추 등의 엽채류 검은점 등 불량한 생리현상을 일으..
화학 양론적 계산 화학 양론적 계산 1. 기본개념 ∙Avogadro 수 = 정확히 12 g 의 탄소(C-12)내의 탄소 원자의 수 = 6.022 x 1023 ∙Mole: Avogadro 수만큼의 원자 혹은 분자. ∙g atomic weight (g 원자량) : 원자 1몰의 질량 [g/몰, mg/몰, g/mmole, 등] ∙g molecular weight (g 분자량) : 분자 1몰의 질량 [g/몰, mg/몰, g/mmole, 등] ∙g formular weight (g 분자식량) : 분자식 1몰의 질량 [g/몰, mg/몰, g/mmole, 등] ※ Molecule로 존재하지 않는 이온성 물질 (산, 염기, 염, 등)에 대해서는 “molecular weight” 보다는 “formular weight”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고 토 비 료 마그네슘 비료 1. 마그네슘(Mg) 역할 ❍ 식물의 잎을 푸르게 하는 엽록소의 구성원소 ❍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만드는 광합성 작용 촉진 ❍ 식물의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함 ❍ 식물체 속에서 단백질이나 지방의 합성에 필요 ❍ 탄수화물을 조성하여 결실을 도와줌 ❍ 식물체 속에서 인산의 이동을 도와 주는 역할 ❍ 산성토양에서는 마그네슘석회를, 염기성토양에서는 황산마그네슘을 토양에 시용하고 유기물을 충분히 넣어 준다. 2. 결핍증상 ❍ 녹색식물의 잎이 누렇게 변하여 아래잎부터 황화됨 ❍ 잎 가장자리에 갈색 또는 적갈색 점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많음 ❍ 마그네슘 결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칼륨비료의 과다시용을 피한다.[마그네슘(Mg)과 칼륨(k) 길항작용] ❍ 결핍시 응급조치로 황산마그네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