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토양이야기 (99)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작 장해 경감 방법 연작 장해 경감 방법 연작장해의 개념 최근 시설원예의 보급증대나 원예작물의 대규모적인 단지화 추세에 따라서 "시설재배지 또는 비닐하우스의 연작장애" 라든지 " 주산단지에 있어서 채소의 연작장애"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원래 연작장해 또는 기지는 같은 내병충성이나 흡.. 토양 pH와 작물의 반응 토양 pH와 작물의 반응 pH란 용액의 수소이온(H+)의 농도를 간편하게 나타내는 값이며 산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 pH7을 중성이라 하고 7보다 작을 때는 산성, 클 때는 알카리성(또는 염기성)이라 한다. 알카리 또는 산의 첨가에 의한 pH의 변화를 토양이 억제하는 작용을 토양의 완충능이라 한다. 토양 pH는 글자 그래도 “수소 이온의 양” 즉 토양 산성도의 측정값이다. 전문적으로, pH는 로그값으로 측정된 토양 수분에 존재하는 수소이온(H+)의 양을 말한다. 중요한 것은 pH가 어떻게 토양 화학구조와 식물 영양분에 영향을 주고, 그것을 어떻게 측정하고 관리하는지와 관계가 있다. pH는 0에서 14의 값을 갖는다. 낮은 pH(0~5)는 산성이고 높은 pH(9~14)는 염기성이다. pH 6~8의 영역은 .. 질소의 순환 원리 토양분석표 치환성 양이온 읽기 치환성 양이온 화학에서 물질의 농도를 표시할 때 %나 ppm 같은 단위는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2 분자의 수소와 1 분자의 산소가 결합해서 물이 만들어질 경우 2.018 g의 수소와 15.999 g의 산소가 결합하여 18.017 g의 물이 생긴다고 쓴다. 그러나 2 당량의 수소와 1 당량(equivalent)의 산소가 결합하여 1 분자량의 물이 생긴다고 생각하는 것이 편하다. 그런데 당량이란 단위은 너무 커서 종전에는 밀리당량이란 단위를 썼는데 SI에서는 밀리당량 대신 센치당량을 쓰기로 하고 그것을 cmol+로 표기하기로 정했다. 사실은 mol은 mole 즉 분자량에서 온 것이다. (당량은 분자량을 이온가 또는 이온값 즉 valency로 나눈 것. valency: 이온이 갖는 결합손의 .. 다년생 작물들의 중요성 지속가능한 농업과 다년생 작물들의 중요성 생태학의 발전과 더불어 기존 경작법이 작물의 장기적인 지속성에 문제를 야기하여 경관생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점점 밝혀지고 있다. 미국생택학회 연례미팅에서 생태학자들은 어떻게 우리 농업이 자연 환경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가져올 수 있을.. 뿌리혹(root nodule)과 질소고정 뿌리혹(root nodule)과 질소고정 뿌리혹(root nodule)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결과가 곡물들이 자체적으로 질소를 만들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John Innes Centre(JIC)와 워싱턴 주립대학이 진행하는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곡물의 생산에 큰 혁신을 가져다 주게 될 것이다. 연구팀은 콩과 식물에.. 우리나라 대표 토양의 pH에 관한 해석 우리나라 대표 토양의 pH에 관한 해석 특용작물학과 3학년 3월 과제 우리나라 토양의 반응(pH)에 대하여 160개 토양통을 중심으로 토지이용 현황별 퇴적양시별 pH와 측정조건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보고 토양의 건강도 및 상태를 해석하여 보고하시오. 1. 우리나라 대표토양들의 토지이용별 표.. 중국 식품이 우리 몸을 망친다 중국 식품이 우리 몸을 망친다 한국의 식탁을 점령한 중국산 먹을거리, 과연 얼마나 위험할까? 중국 작가 저우칭은 <중국 식품이 우리 몸을 망친다>(김형호 옮김, 시공사 펴냄)에서 중국인은 물론 세계인을 위협하는 중국산 먹을거리의 실상을 낱낱이 까발린다. 저우칭은 먹을거리 위험을 은폐하려..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