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참마이야기

산약 (山藥)의 한의학적 이용

산약 (山藥)의 한의학적 이용


용법 용량: 10-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다량 복용 시에는 60-250g을 쓴다. 가루로 하여 呑服할 경우 1회 6-10g을 쓴다. 보비(補脾)에는 그대로 쓰고 건비지사(健脾止瀉)에는 초황(炒黃)한 것을 쓴다.

사용상 주의사항: 이 약은 양음(養陰)하여 습(濕)을 도우므로 습성(濕盛)하여 중초에 가득하거나적체된 경우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1.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서각, 대두, 육계, 아교초, 백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주사, 백출, 시호, 백복령, 길경, 행인, 천궁, 우황, 영양각, 사향, 용뇌, 석웅황, 백감, 건강에 금박을 옷을 해서 만든다.


  중풍질환(고혈압, 졸중풍, 반신불수, 구안와사, 수족마비, 사지무력 등), 심장성질환(협심증, 정충증, 심계항진, 심장마비, 호흡곤란 등), 뇌질환(뇌일혈, 뇌충혈, 급성경풍, 현훈, 인사불성 등), 신경성질환(신경과민, 신경흥분증, 신경성두통 등)


 2. 소아용우황청심원(小兒用牛黃淸心元): 산약, 감초, 인삼, 포황, 신곡, 서각, 대두, 관계, 아교주 등을 밀환하여 1환을 3.75g으로 만든다.


 3.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목단피


  자보간신(滋補肝腎) 청습열(淸濕熱)하며, 나른하며 피로하고, 요량감소, 혹은 다뇨, 구갈, 배뇨곤란, 빈뇨, 부종, 허리와 무릎이 나른하고 이가 흔들리고 발기부전, 소변 무력, 유아의 발육부전이나 지능발달불량에 쓴다. 팔미환(八味丸)에서 육계, 부자를 거(去)한 처방이다.


4. 삼령백출산(蔘笭白朮散)

  인삼, 백출, 백복령, 산약, 감초, 의이인, 연자육, 길경, 사인, 백편두

  보기건비(補氣健脾), 삼습지사(滲濕止瀉)하며 식욕부진, 매우 피곤, 잘 놀라고 변이 묽고 설사 혹은 구토를 할 경우, 비위 허약 시에 쓴다.


 5.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맥문동, 천문동, 생지황, 숙지황, 산약, 우슬, 두충, 파극, 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백복령, 인삼, 목향, 백자인, 촉초, 석창포, 택사, 원지, 육종용, 복분자, 차전자, 토사자, 지골피 등을 고운 가루로 한 후 오동자크기로 환을 만들어 공복에 복용한다.


  補肝腎, 補陰陽氣血, 오로칠상(五勞七傷), 모든 허손증(虛損證)으로 얼굴빛이 초췌하고 몸이 여위며 중년의 양위증이 오고, 정신적인 피로감, 머리가 일찍 희어질 때,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시큰거릴 때, 부인이 임신을 못하며 하초의 원기가 허냉(虛冷)할 때 쓴다.

' > 참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있는 둥근마 요리법  (0) 2007.11.14
승빈이가 키운 특급마  (0) 2007.11.08
산약 (山藥)의 약용성분은?  (0) 2007.10.06
산약 (山藥)의 고전적 이용  (0) 2007.10.06
마는 어디에 좋은가  (0) 2007.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