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참마이야기

산약 (山藥)의 약용성분은?

 산약 (山藥)의 약용성분은?

 

  전분 15~20%, 단백질 1.0~1.5% 이외에 비타민 C가 풍부한데 약효성분은 사포닌(saponin), 디오스신(dioscin), 뮤신(mucin), 알란토인(allantoin), 콜린(choline), 비타타신(Batatasin), 아밀라제(Amylase) 등의 소화효소와 아미노산, 만난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1) 알란토인(allantoin)

  Uric acid 로부터 생성되는 퓨린 대사체로 화장품 산업에서 필수적인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다. 자상, 화상, 긁힘 등에 대한 피부 보호제로 사용되고 손상된 세포 및 조직의 재생에 대한 활성을 보인다. 복용했을 경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데, 세포분화 촉진, 위 내벽 보호, 손상된 위와 장기 조직에 대한 재생 가속화 등이 나타난다.

  감자, 고구마, 카사바, Protea seed, 컴프리, 커피 등의 식물에서 보고되며 마의 allantoin 함량은 위 식물들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난다.

2) 아르기닌(Arginine)

  DNA, RNA, 단백질 합성촉진 지질대사, 피하근육의 지질분해 전해질작용, 칼슘, 인, 칼륨, 염소를 체내에 축적하고, 장내에서의 칼슘흡수촉진 (골다공증 예방) 호르몬작용이 있다.

  아르기닌 성분은 발기촉진작용 음경동맥의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유입을 증가시키고 음경정맥을 수축하여 정력 발현에 깊이 관계한다고 알려져 있다.

3) 아밀로오스(Amylose)

녹말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혼합물이며, 아밀로오스가 녹말의 20∼30%를 차지한다. 맛과 냄새가 없는 백색 분말로, 물에는 녹으나 에탄올에는 녹지 않는다.

4) 콜린(Cholin)

  레시틴이나 플라스마로겐 등의 복합지질 성분이며, 아세틸콜린의 성분으로 신경의 흥분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콜린은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지방간(脂肪肝)의 예방인자로 알려져 각종 지방대사 질환에 사용된다.

5) 사포닌(Saponins)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배당체의 비(非)당부분(애글리콘)이 여러 고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의 총칭한다. 사포닌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껍질 ·씨 등에 있는데, 강심제나 이뇨제로서 강한 작용이 있어 옛날부터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어느 것이나 세포에 대해서는 표면 활성제로서 작용하여, 세포막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기도 한다.

6) 뮤신(Mucin) , 알라기닌(Araginine), 요노케닌(Yonogenin), 크립토게닌(Kryptogenin)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로 점액소(粘液素) 또는 점소라고도 한다. 마를 갈거자 자를 경우에 나오는 끈적끈적한 물질이 뮤신이라 불리는 당단백질로서 정력을 높이는 자양강장제로 이용하고 있다. 소화기관의 뮤신은 기관의 보호 및 소화운동의 윤활제 역할을 하고, 위점막의 뮤신은 위산과다와 위궤양 치료에 사용된다.

7) 디오스게닌(Diosgenin)

스테로이드계 성호르몬의 관련물질로 현대의학으로 성호르몬을 생성한다. 디오스게닌은 성호르몬 전구체로 화학반응을 통해 DHEA가 된다. 이외에 관절염치료제인 코리티손(Cortisone)은 마에서 뽑아낸 코리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가 주원료이다. 또한 마에는 디아스타제라는 소화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소화불량이나 위장장애, 위가 약한 사람에게 좋은 약재이며 장속 세균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므로 만성장염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 > 참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있는 둥근마 요리법  (0) 2007.11.14
승빈이가 키운 특급마  (0) 2007.11.08
산약 (山藥)의 한의학적 이용  (0) 2007.10.06
산약 (山藥)의 고전적 이용  (0) 2007.10.06
마는 어디에 좋은가  (0) 2007.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