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인삼이야기

인삼토양은 pH 5.5로 조절

인삼 재배 토양은 pH 5.5로 조절

 

 

고품질 목표 한국농업대학 최고농업경영자과정 인삼약초전공생들의 포장 및 예정지 토양분석

 

                                           

   p씨의 인삼 예정지 토양 분석 결과

pH (물) 기준치
5.0 - 5.5
분석치
7.20
pH (염화가리) 3.8 - 4.2 6.00
pH (염화칼슘) 4.5 - 5.0
EC (ms/cm) 0.2이하 2.95
ORP(mV) 220이상 190

 

분석에 대한 처방

1. pH(H2O),pH(kCl),pH(CaCl2) 모두 아주 높은 상태입니다.

2 . EC는 2.95ms/cm로 전체적으로 음이온의 집적이 아주 큼니다. 특히, 석회과잉투입이 폐농의 원인입니다. 

3. OPR(산화환원전위)치는 190 mV (정상 상태 220mV) 로 조금 낮습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앞으로 인삼 재배시에는 산도 교정을 위해 1회 시용 유황 50kg/10a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pH값을 인삼에 적합한 5.5에 가깝게 조절해 나가되 2개월 전에 끝내야 한다.

 

pH(H2O)값과 pH(kcl) 값의 차에 의해 그 값이 0.5 이하이면 시비과잉, 농도장해발생, 제염 상태를 말해주며, 수치가 1.0 이상이면 비료부족 상태임을 나타낸다. EC는 토양의 전기전도도로 토양 용액 중의 염류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EC 측정치가 높다는 것은 토양 중에 질산태질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ORP는 토양 중의 산소농도를 나타내며, 표준인 220mV보다 높으면 산소가 풍부한 토양, 낮으면 부족한 토양임으로 나타낸다. EC와 pH에 의한 토양 양분의 예측이 가능하다.

 

산성흙을 개량하기 위해 석회를 줄 경우, 석회는 비교적 다루는 데에 위험이 적고 다소 덜 주거나 많이 주더라도 부작용이 별로 없지만 알칼리성이 된 흙을 개량할 때 쓸 수 있는 산성물질은 다루기도 어렵고 잘 못 쓰면 부작용이 클 수도 있다.

 

토양의 pH1을 낮추기 위해서는 점질성 식양토의 경우 10a당 유황가루 130kg, 모래가 많은 사질토는 40kg을 각각 넣어야 준다. 유황가루를 안전하게 살포하기 위해서는 10a(300평)당 한 번에 시용량이 50kg을 넘지 않도록 나눠서 뿌려주고 유황처리 후 2개월간은 인삼이 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휴경해야 한다.

따라서 식양토의 경우, pH1을 낮추기 위해 130kg/10a 시용하고자 할 때, 1회에 50kg/10a 이상 넣을 수 없으므로 작업을 3회 나누어서 실시해야 하며 기간도 3개월 이상 소요된다.

 

유황가루는 고운 유황가루를 선택하여 밭 전면에 해당량을 살포하고 곧바로 깊이갈이와 로터리 작업을 통해 유황가루가 흙에 잘 섞이도록 해주고 물을 대어 흙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해준다. 유황가루는 그 자체가 산성은 아니나 흙에 들어갔을 때 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산성이 강한 황산으로 변하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된 흙을 개량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 유황가루는 흙에 들어가 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황산으로 변해야 알칼리성이 된 흙의 pH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발현될 때까지는 2~3개월을 요한다. 따라서 작물재배전 미리 주어야 하며 흙의 온도가 미생물이 활동하기 좋을 만큼 높아야 한다는 점도 생각해야 한다. 또 유황가루는 물에 잘 녹지도 않고 흙과 잘 섞기도 어렵다는 점도 생각해야 한다.

 

황산을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폴리에칠렌 용기를 사용하며, 소량의 원액을 다량의 물에 조용하게 붓는다. 반드시 엷게 타서 사용해야 하며, 의복에 비산(飛散)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또한 황산을 사용할 경우는 물 조리로 살수한 후 극히 조심하면서 토양을 혼합하고 균일하게 되도록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한 토양에 산도를 낮추기 위하여 필요한 유황의 양(10α 당 Kg)

현재 토양의산도 토양의 타입
사토(沙土)(Sand) 양토(壤土)(Loam) 식토(埴土)(Clay)
5.0 0 0 0
5.5 20 60 91
6.0 40 119 181
6.5 60 175 262
7.0 75 120 344
7.5 95 290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