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의 선물 약초, 성분·쓰임새부터 제대로 알아야 | ||||||||||||||||||
| ||||||||||||||||||
식물=자원 산업화 노력 필요 국가 연구·관리 시스템 시급 ■ 생약초 활용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약초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유기농 자연식품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나물이 불티나게 팔리고 몸에 좋다는 식물이 흔적 없이 사라지는 것도 사람들의 관심과 무관치 않다. 그러나 생약초의 성분과 효능을 제대로 알고 섭취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잘못된 상식과 잡탕 지식, 유행에 휩쓸린 편견에 의존해 마구잡이로 생약초를 대한다. 생약초에 대한 잘못된 편견과 오해로 인한 부작용이 속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산에서 만나는 생약초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인터넷의 발달과 약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전문가 뺨치는 지식과 노하우를 터득한 일반인도 늘었지만 ‘약’으로 식물을 대할 경우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박새를 산마늘(명이)로 잘못 알고 먹거나 맹독 성분을 지닌 투구 꽃을 약으로 처방하다 예기치 않은 봉변을 당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 식물의 효능과 쓰임새를 잘 살피고 난 후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처방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생약초 또는 기능성 식물에 대한 자치단체의 관심도 부쩍 높아졌다. 농가 소득 작목으로 연계시키려는 ‘경제적 사고’가 한몫했기 때문이다. 약초 또는 기능성 식물의 쓰임새와 활용방안은 무궁무진하다. 크고 높은 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진 정선과 평창 횡성 인제 홍천 양구 등은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생약초 자생지다. 정선 등 도내 자치단체가 자생 생약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농가 소득 작물로 육성하는 것도 그 만큼 경쟁력이 크기 때문이다. 정선농업기술센터 최대성소장은 “자생지 생약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농가소득 작목으로 육성하거나 생약초 추출물로 2차 가공 상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각 지자체의 보편화 된 추세”라며 “식물을 자원으로 인식, 이를 활용하려는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이 꼭 성공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전문적이고 꾸준한 관심 없이 일회성 연구 또는 지원으로 끝날 경우 성공을 보장받지 못한다. 생약초 추출물을 활용한 가공 상품이 반짝 인기를 누리다 사라지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 생약초 연구 식물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를 연구·활용하려는 노력도 정부와 지자체 및 기업, 학계 등을 중심으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식물 자원 전쟁’으로 비유되기도 하는 식물자원 연구 및 종자 확보 노력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미 보편화 된 현상이다. 한약재의 원료로 쓰이는 생약초에 대해 중국은 이미 일본 등과 연계, 체계적인 관리에 들어간 상태다. 한국은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중국은 생약초 재배에 관해서만큼은 한국을 앞질렀다는 평가도 나온다.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즉 우수농산물인증제를 일본과 연계, 포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중국은 자국산 생약초의 고품질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03년부터 GAP 인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은 기반시설 미비로 제도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한국생약협회 관계자는 “국내 생약초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자단체가 중심이 되어 재배부터 가공·출하 관리까지 전 과정을 체계화 하고 계통화 하여 고품질 한약재의 국내 생산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약용작물 품질 개발 및 연구체계 구축과 함께 종자은행 운영, 약초 시범단지 조성 등도 필요하다. 생약초에 대한 효능과 기능을 분석하는 연구활동도 더욱 체계화 되어야 한다. 현재 도내 각 자치단체는 지역 특성에 맞는 생약초를 선별, 연구작업을 끝냈거나 진행하고 있으나 효율성은 크게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황기와 작약, 오미자, 장뇌, 오가피, 당귀, 잔대, 곰취, 고려엉겅퀴(곤드레), 복분자 등은 약초 활용을 넘어 기능성 식품으로까지 발전했으나 대부분의 약초는 아직 일반인과 친숙하지 않다. 성분과 쓰임새 등이 일목요연하게 연구·정리된 생약초도 드물다. 생약초 재배에 섣불리 대 들었다 낭패를 당하는 경우도 이와 무관치 않다. (사)한국생약협회는 “약초의 성분과 쓰임새가 제대로 밝혀지고 알려져야 소비자가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다”며 “국가 차원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연구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병로
|
'農 > 생약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와 술 3 (0) | 2008.12.06 |
---|---|
들로 내려온 생약초 2 (0) | 2008.12.06 |
어머니와 정한수 (0) | 2008.05.05 |
어머니와 정한수 (0) | 2008.05.02 |
약이 되는 흙이야기 (0) | 200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