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음의 탄생』 강연이 끝나자 책을 든 청중이 사인을 받으려고 몰려왔다. 거의 기계적으로 사인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쑥쑥이라고 써 주세요”라고 말하는 여성이 있었다. 놀란 표정을 짓자 “제 아이에게 주려고요”라고 말한다. 군이라고 써야 할지 양이라고 해야 할지 몰라서 물었다. “여자애요, 남자애요.” 그러자 그 여성은 “아직 몰라요”라고 이상한 대답을 한다. 그제야 나는 그 여성의 배가 불러 있는 것을 봤고 그 옆에는 곧 애기 아빠가 될 젊은이가 참나무처럼 서 있는 것을 봤다. 쑥쑥이는 태명(胎名)이었던 것이다.
이름이 있으면 태아도 우리와 같이 존재한다. 칠십 평생 처음으로 글씨도 모르는 배 속 아이에게 책 서명을 해 준 것이다. 처음엔 미소를 지었지만 나중에는 눈이 축축해졌다. 요즘 젊은이들의 말로 안습(眼濕)이었다. 나와 동시대에 태어난 아이들의 이름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머리에는 기계총이 나고 부황 난 얼굴에는 으레 버짐이 번진 그 애들에겐 태명은 고사하고 본명조차 제대로 된 것이 없다. 쇠똥이, 개똥이가 아니면 그 흔한 돌쇠였다. 그래도 남자아이는 천한 이름이라야 오래 산다는 속신 때문이라고 하자. 하지만 여자애들은 갓 났다고 ‘간난이’, 섭섭하다고 ‘섭섭이’다. 그 흔한 ‘언년이’란 이름도 아마 언짢은 년이라는 욕일 것이다. 남과 다른 특성을 나타낸 이름이라 해도 겨우 점이 있다고 해서 점박이고 점순이다.
검으면 검둥이, 희면 흰둥이 그리고 검고 희면 영락없이 바둑이가 되는, 거의 강아지 이름을 짓는 수준이다. 동네에다 대고 “바둑아!”라고 불러 봐라. 틀림없이 대여섯 마리의 개들이 떼를 지어 달려올 것이다. 동명이인의 여자애들이 강아지 이름처럼 그렇게도 흔했으니 이름이 없는 것이나 다를 게 없다.
하지만 요즘 젊은 부부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는 태명에는 남녀의 성별도, 누구 성을 따르느냐의 성씨(姓氏) 문제도 없다. 그저 쑥쑥 자라라고 쑥쑥이, 무럭무럭 성장하라고 무럭이다. 튼튼히 크라고 튼튼이, 기쁘다고 기쁨이 그리고 또 그런 행복과 축복을 받으라고 행복이요 축복이다. 태어나기 전부터 태 안에서 우리와 함께 당당한 쑥쑥이에게 사인을 해 준 덕분에 그동안 잊고 살던 나 자신의 태아기(胎兒期)에 대해서도 눈뜨게 됐고, 하마터면 빠뜨릴 뻔했던 한국인 이야기에 태아들이 생활하고 있는 신비롭고 놀라운 이야기도 담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양철북』을 쓴 독일 작가 귄터 그라스는 그 소설 첫머리에 자신의 탄생 장면을 세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양수의 어둠 속에서 철퍽거리고 놀다가 갑자기 환한 바깥세상으로 나오면서 처음 보는 불빛이 몇 촉짜리 전구였는지 그 상표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어제 일처럼 설명해 주고 있다. 그리고 상상력으로 치면 그 못지않은 영화감독 스필버그는 외계인(ET)들을 태아의 모습처럼 보여 준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소설가의 허풍이요 영화 속의 허상이다. 우리와는 다른 공간에서 살고 있지만 쑥쑥이는 분명 외계인이 아니라 우리 안에 있는 내계인(內界人)이다. 우리가 기억할 수 없는 탄생의 비밀을 풀어 가자면 소설가나 영화감독의 상상력에만 의존할 수 없다. 로물루스 형제를 젖 먹여 키운 수상한 늑대 이야기로부터 시작한 『로마인 이야기』와 좀 더 다른 이야기를 하려면 늑대를 곰으로 바꾸는 상상력만 가지고서는 안 될 것이다. 시인과 과학자가 손을 잡아야만 쑥쑥이가 살고 있는 저 어둡고 신비한 태내 공간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을 것이다.
'詩 > 한국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은 한 살 때 태어난다 (0) | 2009.04.30 |
---|---|
왜 울며 태어났을까 ④ (0) | 2009.04.30 |
이 봄날에 어떤 꽃을 피우고 계십니까? (0) | 2009.04.21 |
어머니 몸 안에 바다가 있었네 (0) | 2009.04.19 |
<1> 탄생의 비밀 ① 산불과 비숍 (0) | 2009.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