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뇌삼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장뇌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전문기술이 필요한 시대이다. 단순히 임야를 일구어 파종, 식재하는 과정은 극히 보편적이고 기초적인 과정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장뇌삼 식재과정에서 문제점을 개선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세우고 연구를 하여야 할 것이다. 장뇌삼 및 산양산삼의 자연방임재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친환경 인삼재배로 세계에 우리의 인삼을 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2004년 기준 미국이 홍콩에 수출한 미국삼 수출 액 중 야생삼이 65%를 차지한다. 미국 임간재배삼은 우리나라 홍삼보다 약 4배 비싸고, 미국 반야생삼은 우리나라 홍삼보다 8,9배 비싸다. 미국 재배삼에 비해 가격이 25-50배 높다. 2004년 홍콩시장에서 우리 홍삼은 147.6달러. 미국 반야생삼(wild simulated ginseng)을 포함한 야생삼 값은 772.8달러였다. 따라서 현재 홍콩시장에서 가장 고급품의 삼은 우리나라 홍삼이 아닌 미국 야생삼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친환경 자연인삼의 재배가 필수적이다.
'敎 > 귀농귀촌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실리, 별이 빛나는 밤에 (0) | 2009.09.06 |
---|---|
인제 진동리, 별이 빛나는 밤에 (0) | 2009.08.31 |
귀농 귀촌 연습- 그해 진동리 (0) | 2009.08.31 |
귀농, 내 마음속의 풍차를 돌리자 (0) | 2009.08.22 |
착한 더덕의 향기를 찾아서... (0) | 2009.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