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허브이야기

허브를 사랑하는 얼굴들

 가을엔 허브 약초를 기르자

 

허브(Herb)는 푸른 풀을 의미하는 라틴어 '허바(Herba)'에 어원을 두고 있는데 고대 국가에서는 향과 약초라는 뜻으로 이 말을 썼다. 기원전 4세기경의 그리스 학자인 데오프라스토스(Theopharastos)는 식물은 교목, 관목, 초본으로 나누면서 처음허브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꽃과 종자, 줄기, 잎, 뿌리 등이 약, 요리, 향료, 살균, 살충에 사용되는 인간에게 유용한 모든 초본식물을 허브라고 한다. [옥스퍼트 영어사전] 에는 잎이나 줄기가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거나 향과 향미(香味)로 이용되는 식물을 허브로 정의하고 있다.

 

원산지가 주로 유럽, 지중해 연안, 서남 아시아 등인 라벤더(Lavender), 로즈메리(Rosemery), 세이지(Sage), 타임(Thyme), 페퍼민트(Pepper mint), 오레가노(Oregano), 레몬밤(Lemon balm)뿐만 아니라 우리 조상들이 단오날 머리를 감는 데 쓰던 창포와, 양념초 마늘, 고추 그리고 민간요법에 쓰이던 쑥, 익모초, 결명자 등도 허브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허브원 실습을 다녀온 베테랑 특작 3년생들의 식용 허브원 만들기

올 가을을 풍성하게 할 그녀들의 건강한 허브 향과 약초 향을 기대한다.  

 

 

 

  

 

  

 

바질/ Basil

꿀풀과

원산지가 인도, 열대아시아로 상쾌한 향기와 약간의 쓴맛이 있는 잎과 어린 꽃 이삭을 육류나 생선요리 및 수프, 샐러드에 사용한다. 생잎의 향기가 특히 좋다.

 

재배특성

일조량이 충분하고 비옥하며 물이 잘빠지는 곳에서 잘 자란다. 생육에는 적어도 1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며 최적온도는 20℃ 이상이다. 너무 건조하면 잎이 딱딱해져 품질이을 떨어지므로 건조하지 않도록 물을 준다. 꽃눈이 달리면 잎이 자라지 않고 향도 적어지므로 수확을 겸해서 조기에 순지르기와 꽃봉오리따기를 한다.

 

7/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난지, 중간지

◆ ● ■--------------■

고랭지,한냉지

◆ ● ■----------■

 

◆ 종자파종 ● 아주심기 ■ 수확

품종

스위트바질이 일반적이나 이 외에도 농자색의 잎을 가진 다크오팔, 작은 잎이 무성하게 자라는 부쉬바질, 레몬향기가 나는 레몬바질, 시나몬 향기를 가진 시나몬바질 등이 있다.

 

재배방법

1. 모기르기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얇게 복토하고 판자로 가볍게 눌러 준다. 발아하는 데는 25℃ 정도의 고온이 필요하므로 신문지를 한 장 걸치고 그 위에 비닐을 덮어 준다. 본 잎이 나오기 시작하면 1-1.5cm 간격으로 솎아준다. 본 잎이 1-2장일 때 3호 포트에 옮겨 심고 본 잎이 5-6장이면 정식한다.

어린 모종기에는 10℃ 이하의 저온이 되면 생육이 되지 않는다. 조기에 꽃눈이 분화하고 수량․ 품질도 떨어지기 때문에 보온과 가온에 주의한다.

 

2. 밭 관리

1㎡ 당 퇴비 5-6 줌, 깻묵 큰숟가락 5 스푼, 화학비료 큰숟가락 5 스푼을 밭에 비료를 흩뿌리고 전면에 골고루 넣는다. 10-20일에 1회 정도로 나누어 소량의 깻묵을 통로에 뿌리고 괭이로 흙을 두둑에 올려 준다. 꽃봉오리가 발달하면 그것에 영양을 빼앗겨 품질이 좋지 않은 잎이 되고 향도 적다.

3. 수확

꽃봉오리가 열리기 직전에 수확한다. 종이 봉지에 넣어 건조하여 가늘게 부수어 밀폐 용기에 넣어 두면 장기간 이용이 가능하다. 가지가 갈라진 것은 끝을 적심하며 따준다. 잎만 따도 좋다.

 

 

타임/ Thyme

꿀풀과

원산지가 유럽남부으로 가늘고 작은 둥근 잎에 강한 향이 있어 육류나 어류의 냄새를 없애주고 작은 꽃도 귀엽다.

 

재배특성

해묵이의 여러해살이로 사철 푸른 작은 관목이며, 직립성과 포복성이 있으며 해가 잘 들고 배수, 통기성이 좋은 장소를 좋아 한다. 종자파종, 삽목으로 증식. 한번 심어 두면 수년간 계속해서 같은 장소에서 기를 수 있으며 병충해도 없어 재배가 용이하다. 가지가 무성하여 밑쪽은 엉키기 때문에 장마기에 들기 전에, 가을 큰비 전에 자라 주어 통기가 좋도록 한다.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노지재배(1년째)

◆ ● ■----------■

(2년째)

■------------------------------------------■

 

◆ 종자파종 ● 아주심기 ■ 수확

품종

직립형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컴온타임(Common thyme), 허브차로 많이 쓰이는 오렌지바루사무타임, 레몬타임, 반엽의 실버타임, 골든타임 등이 있다.

포복형으로는 크리핑타임(Creeping thyme), 카러웨이(Caraway thyme), 오레가타임(Aureus thyme) 등이 있다. 용도나 취향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배방법

 

1. 모기르기

종자로부터 기르는 경우와 꺽꽂이로 기르는 경우가 있다. 발아하여 5-6cm 간격으로 솎아주며 어린가지의 끝을 잘라서 흙에 꽂아서 모종을 만들어 초장이 7-8cm되면 밭에 옮긴다.

2. 관 리

옮겨심기 보름 전에 밭 전면에 퇴비, 석회, 깻묵을 넣어 간다. <1㎡ 당> 퇴비 4-5 줌, 석회 큰숟가락 4 스푼, 깻묵 큰숟가락 3 스푼을 넣어 준다. 양배추 사이에 섞어 심어 해충 기피작용을 이용하여 농약을 줄인다. 화분 만들기로 가까이서 기르기에도 적합하며 꽃도 즐겁다.

여름에는 건조방지를 위해서 짚 피복을 한다. 잎의 끝부분만 수확을 계속하면 키가 자라 혼잡해지므로 일년에 2-3회 베어서 밑 부분부터 재생하게 한다. 장마철 전에 하여 포기 밑에 통풍이 잘되도록 한다.

3. 수확 ․ 이용

잎의 끝부분을 손가락으로 딴다. 육류나 생선요리, 스프, 치즈에 쓰이는 외에 차, 향수, 포뿌리 등에도 넓게 쓰인다. 토마토, 호박 등 여러 가지 야채를 끓이는 프랑스 가정요리 라타투유에 필수적이다.

 

로즈마리/ Rosemary

꿀풀과

원산지가 남유럽으로 옛날부터 불로(不老), 미용의 허브로 애용. 육류나 어류의 냄새를 없애고 향기를 주어 두통, 감기, 통풍 등의 약용으로도 중요시 되어 왔다.

 

재배특성

여러해살이의 작은 나무로 종류에 따라 적지에서는 1.5- 2.0m에 달한다. 잎은 가늘고 긴 선형,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은색. 상록으로 시간이 지나면 줄기는 꼬이며 굵어져 목질화 된다. 한 여름에는 연한 하늘색의 꽃이 피며, 아름답게 샐러드 장식 등에 사용한다.

온난한 기후를 좋아하지만 더위와 추위에도 강해서 재배가 용이하다. 삽목재배가 가장 간단하나 포기나누기, 종자파종으로 육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해가 잘드는 곳, 배수가 좋고 통기성이 있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란다.

 

7/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노지재배

(삽목 1년째)

□□□□□□ ●

(2년째 이후)

■------------------------------------------■

노지재배

(종자파종1년)

◆ ●

(2년째 이후)

■------------------------------------------■

 

□ 꺽꽃이 ◆ 종자파종 ● 아주심기 ■ 수확

품종

직립성과 왜소형이 있어 각각 청색, 백색의 꽃의 많은 품종이 있다. 화분용으로 적응한 작은 포복성의 품종도 있다.

 

재배방법

1. 모종만들기

종자를 이용하여 모종을 기르나 일반적으로 재배하는 것 중에서 작년 가지를 잘라 꺽꽃이로 모종을 만든다. 어린 가지 끝을 7-8cm 자르고 가지의 반 정도는 밑의 잎을 따서 시들지 않게 하여 모판에 심는다. 뿌리를 내리고 6-7cm로 자라면 포트에 옮기고 기른다.

2. 관 리

적당한 정식거리는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두둑을 높게 하여 배수가 잘되도록 하여 모종을 심는다. 비닐멀칭을 하여 과습을 방지하고 방풍망을 친다. 추운지방에서는 눈을 막는 것을 겸해서 네트를 친다. 장마에 들어가기 전에 혼잡한 가지를 제거하여 통풍이 좋도록 한다. 개화 직전에 크게 잘라 새로운 가지로 갱신한다.

 

3. 수확 ․ 이용

포기가 크게 생장하면 그때 그대 자란 새잎을 따서 수확한다. 생잎, 건조한 잎을 육류요리의 향으로 스프, 치즈에 넣는다. 작은 가지는 닭고기에 넣거나 육류 밑에 깔아 냄새를 가시게 함. 허브티, 허브비누, 헤어린스, 포푸리, 염색, 드라이플라워 등 용도가 의외로 넓다. 화분과 플랜터에 심어 가까이서 기르면 보배와 같다.

 

 

챠이브/ Chive

백합과

원산지는 유라시아대륙, 온대북부으로 가는 잎에 포기가 많이 나뉘는 작은 파로 늦은 봄에 피어 자홍색의 꽃이 아름답다. 향부추라고도 하며 유럽, 아시아 북미 등에 널리 분포되어 오래 전부터 이용되고 있다.

 

재배특성

파의 일종으로 가장 잎이 가늘고 초장이 30cm 정도로 포기가 작아서 베란다 재배에도 적합하다. 초여름에는 작고 엷은 보라색 꽃이 피고 가을에 종자를 맺는다. 다년생으로 지상부에 인경이 형성되고 겨울에는 지상부가 고사하여 봄에 싹이 튼다. 종자 파종한 모종은 기르는 방법과 인경을 분할하여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후자가 재배에 용이하다. 약한 햇빛에는 비교적 강하나 건조에는 약하므로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밭을 선택한다.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육묘재배(1년)

◆ ●

(2년째)

■-------- ---------■

씨알재배(1년)

● ■--------■

(2년째)

■----------------■

 

◆ 종자파종 ● 아주심기 ■ 수확

 

재배방법

1. 모종만들기 ․ 종구 준비

씨뿌리기 육묘하는 경우에 7-8cm 간격으로 줄뿌림 한다. 기르며 수차례 솎아주고 웃거름을 주어 초장이 15cm 내외의 모종이 되게 기른다.

인경을 이용하는 경우는 이른 봄 싹이 나오기 전에 지하부를 파서 구근을 3-4개로 분할한다.

 

2. 관 리

텃밭 준비는 <구의 길이 1m 당> 퇴비 4-5 줌, 깻묵, 화학비료 각각 큰 숟가락으로 3스푼주고 밑거름 위에 흙을 덮어 준다. 긴 플랜터에 3 포기 정도 심어 길러도 꽃을 보는 것도 즐겁다.

정식은 심을 파종구가 준비된 상태에서 한쪽에 기울여 심으며 녹색 잎이 묻히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는다. 모종의 경우 한곳에 3-4개 함께 심는다. 인경의 경우 한 곳에 6-7구를 함께 심는다.

웃거름은 <두둑의 길이 1m 당> 깻묵 큰 숟가락 3 스푼, 화학비료 큰 숟가락 3 스푼 주며 초장이 10cm 정도 되면 1회 웃거름을 준다. 1개월 후 자르면 같은 량의 웃거름을 준다. 꽃이 피면 잎의 품질이 떨어지므로 꽃봉오리는 빨리 따준다.

 

3. 수확 ․ 이용

한여름에 수차례 수확 하며 1년째는 잎을 적게 수확하여 포기를 크게 한다. 2-3년째는 세력이 좋으므로 베어서 수확한다. 3년이 넘으면 인경을 다시 심어 새롭게 재배한다. 초여름이 되면 추대되어 그 끝에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이 핀다. 꽃은 샐러드 등에 뿌려도 좋다. 사라다, 스테이크에 많이 쓰나 빵에 첨가하거나 향미료로도 좋다.

 

 

민트/ Mint

꿀풀과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노지재배(1년째)

◆ ● ■----------------■

(2년째)

■----------------------■

 

◆ 종자파종 ● 아주심기 ■ 수확

원산지는 유럽남부, 유라시아, 아프리카이다. 박하라고도 한다. 상큼한 맛은 요리에. 과자에, 음식물 등에 많이 이용된다. 살충, 구충효과도 크다.

 

재배특성

다년생초본으로 겨울에는 지상부가 시들지만 지하부는 월동하여 봄이 되면 다시 싹을 틔운다. 한랭한 기후를 좋아하지만 대체로 생육이 왕성해서 쉽게 여름을 넘어서까지 수확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병충해의 염려도 없다.

3년에 한번 정도 뿌리 포기를 파서 포기나누기를 하고 다시 한번 밭을 만들어 바로 심어 주면 장기간 좋은 잎을 수확할 수 있다. 플랜터에 심어서 가까이서 여러 가지 민트를 재배하면 좋다.

 

 품  종

살균, 살충효과가 높고 많이 재배되고 있는 페파민트인데, 감미로운 향이 있는 스피어민트, 사과향의 애플민트 등도 있다. 민트류에는 야생종이 많고, 또한 교잡이 쉬워서 각지에 매우 많은 종이 있다.

 

재배방법

1. 모기르기

씨앗이 작으므로 흙을 너무 많이 덮지 않는다. 복잡한 곳은 차례로 솎아서 4~5cm 간격을 만든다. 키가 10cm정도 되는 모종으로 만든다.

 

2. 관 리

<1㎡ 당> 깻묵 5큰술, 화학비료 3큰술, 퇴비 5~6줌 준다. 플랜터에 각종 민트를 섞어서 재배해도 좋다.

모종 아주심기는 포기 주위에 물을 준다. 잎 색이 옅어지면 적당히 약간의 깻묵, 액체 비료 등을 준다.

포기나누기는 3월경 뿌리줄기를 15cm 정도 잘라서 깊이 5cm로 심는다. 2~3년에 한 번 포기나누기하여 포기를 바꾸어주는 것이 좋다.

 

3. 수확 ․ 이용

이용하는 법

잎 끝을 따서 봄부터 여름에 걸쳐서 한창 생육할 때는 가지고르기를 겸하여 계속해서 수확한다. 민트 차, 아이스크림이나 과자에 장식으로도 쓰인다.

저장하는 법은 꽃봉오리가 보이기 시작하면 위 5cm 정도에서 줄기째 잘라 묶어서 그늘에서 말린다. 말린 잎은 밀폐용기에 보관해두고 이용한다.

 

 

라벤더/ Lavender

꿀풀과

원산지는 지중해연안지방으로 꽃이 아름다워서 특히 가까운 허브. 꽃의 자태보다 향기가 좋아 부케, 드라이플라워, 차, 과자에 쓰인다.

 

재배특성

여러해살이의 사철 푸른 작은 나무로 한랭한 기후를 좋아하고 겨울에도 월동하는 품종이 있을 정도로 저온에 강하다. 배수가 좋고 건조한 토양을 좋아한다. 평탄한 저지대에서는 특히 여름의 고온다습한 시기에 물 줄때 조심한다. 종자 파종으로 기르면 수확까지는 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꺽꽂이나 포기나누기로 증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플랜터 재배용으로도 좋다.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노지재배(1년째)

◆---◆

(2년째)

■---------------■

(3년째)

■---------------■

 

◆ 삽목 ● 아주심기 ■ 수확

 

품종

잉글리쉬라벤더, 스파이크라벤더, 프랜치라벤더 등이 있다. 꽃색도 보라색외에 백색, 핑크 등 여러 종이 있다.

 

재배방법

1. 모종 준비

라벤터의 좋은 선단 쪽을 사용한다. 직사 광선을 피하고 유리창 넘어 들어오는 빛이 적당히 좋다.

 

2. 관리

아주심기는 <구멍의 길이 1m 당> 깻묵 조금, 퇴비 5-6 줌, 낮은 곳에서는 두둑을 높게하여 배수를 잘해 준다. 키 10cm내외로 기른 모종을 아주 심는다.

개화기가 지나 장마에 접어들면 줄기의 하단 쪽 잎을 4-5장 남기고 상부를 절단하여 잎의 과번무를 방지하고 재생력을 만들어 준다. 이른 봄과 수확 후에 소량의 비료를 포기 사이에 뿌린다. 플랜트 재배의 경우는 긴 플랜터에 2 포기를 심어 생육이 번창해지면 한달에 한번 정도 깻묵을 큰 숟가락으로 2 스푼 준다.

 

3. 수확 ․ 이용

6-7월 개화기에 꽃이삭을 단 잎줄기를 잘라 기름을 뺀다. 한랭한 곳에서 음건하여 허브차나 드라이플라워, 포푸리로 즐긴다.

 

펜넬/ Fennel

미나리과

원산지는 유럽, 지중해연안, 서아시아로 생선회와 잘 맞아서 옛날부터 어류요리에 많이 이용하는 허브로 잎, 잎자루, 씨방도 이용하고 다이어트에도 좋다.

 

재배특성

키가 1m 이상 되는 것도 있는 대형 숙근초로 7월경에는 우산형의 작은 황색 꽃이 피어 아름답다. 배수가 좋고 통기성이 좋은 토양을 좋아하며 옮겨 심을 때와 매년 이른 봄에는 양질의 퇴비를 충분히 준다.

종자를 파종하는 방법과 포기나누기 방법이 있다. 3년째부터는 포기 주위에 흘러 떨어진 종자가 발아하여 많은 모종을 쉽게 얻을 수 있다.

겨울에는 생장이 멈추지만, 온난한 평지에서는 푸른 잎이 달린 채로 월동한다. 추운지방에서는 지상부가 고사한다.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온난지

(모기르기1년)

◆----◆ ● ■----------■

(2년부터)

■----■ ■----------■

(포기나누기

1년째)

▲ ●

(2년째부터)

■----------■

한랭지

◆--◆ ● ■---⊂⊂⊃⊂⊃

 

◆ 종자파종 ● 아주심기 ■ 수확 ▲ 포기나누기 ⊂⊃ 터널피복

품종

줄기 밑둥부터 비대해지는 프로렌스 펜넬(펜넬의 변종)이 야채로 많이 쓰이고 있다.

펜넬 또는 이탈리아 회향으로 종자가 판매되고 있으나 그 중에는 펜넬과 프로렌스 펜넬이 있으므로 구입할 때에는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브론즈 펜넬은 잎이 청동색인 품종이다.

 

재배방법

1. 모기르기

곧은뿌리로 뻗어서 옮겨 심으면 약해지므로 화분에 직접 뿌려서 육묘한다. 화분은 상자에 가지런하게 넣어 두고 관리하고 본 잎이 3장되면 솎아서 한 포기로 한다. 종자가 싹이 터서 발아된 것을 모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곧은뿌리가 길게 뻗어서 잘리기 쉽기 때문에 크게 파내어 다시 육묘하여 밭에 옮겨 심는다.

 

2. 관리

아주심고 초장이 20-30cm 자라면 한달에 한번 정도 포기 주위에 비료를 주고 포기 밑에 북주기를 한다. 이른 봄에는 완숙퇴비를 한포기 당 2-3줌을 준다. 눈을 맞으면 잎이 상하므로 겨울에는 터널을 씌워 준다. 온난지에서 다년생품종을 심는 경우는 필요 없다.

3. 수확

어린 잎의 선단을 잘라 쓴다. 셀러리처럼 줄기도 이용한다. 색이 물들 때 그대로 잘라 통풍이 잘되는 곳에 거꾸로 매단다. 밑에는 보자기나 종이를 깔아서 종자를 받는다.

 

 

타라곤/ Tarragon

국화과

원산지는 시베리아로 쑥과 비슷하지만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모양이 없다. 프랑스에서 개량된 것은 「에스트라곤」이라고도 부른다. 소스, 비니거 등에 필수적이다.

재배특성

한냉한 기후를 좋아하여 남부에서는 서늘한 곳이 아니면 잘 생장하지 않는다.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은 토양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다년생이지만 오래되면 포기가 혼잡하여 잎자람새가 약해지기 때문에 1-2년에 한번 포기나누기로 갈아주어 초세를 회복해 준다.

프랜치타라곤종은 종자가 달리지 않으므로 눈꽂이나 포기나누기로 증식한다.

 

재배력

연간재배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보통재배

(1년째)

● ■-- -■

(2년째)

▲ ■------------■

 

● 아주심기 ▲ 포기나누기 ■ 수확

품종

러시안타라곤은 강한 줄기가 1.5m 정도까지 자라고 잎에는 잔털이 많아 초세가 강하지만 향은 약해서 요리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프랜치타라곤은 프랑스에 도입, 개량되어 푸른색이 선명하고 잎이 좁으며 향이 강하므로 요리용으로 쓰인다.

 

재배방법

1. 모종만들기

프랜치종은 종자수확이 안되므로 봄에 흡수지를 눈꽂이를 하여 모종을 만든다. 포기 밑둥에서 나오는 아들모종(흡수지) 12-13cm 자란 아들모종을 잘라 육묘상자에 심는다.

2. 관리

<1㎡ 당> 퇴비 7-8 줌, 화학비료 큰 숟가락 3스푼의 비료를 넣어 잘 갈아 둔다. 화분이나 플랜터에 심어서 가까이서 기르는 것도 좋다.

관리는 2-3년째되는 봄에 지상부를 베어 들인다. 흑색 한냉사로 여름의 강한 빛은 막아 준다.

3. 수확

프랑스 요리에 쓰인다. 버터나 치즈에 넣어 허브오일로 맛을 내어 에스카르고(달팽이요리)에 넣는다. 생잎을 차나 입욕제로도 사용한다.

 

' > 허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북해도 희망연수  (0) 2010.09.30
호주 허브농가 방문기  (0) 2009.10.31
'로즈마리 분갈이'는 이렇게 해야..   (0) 2009.06.21
식용 꽃들과 이용 부위  (0) 2009.06.07
허브야 놀자  (0) 200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