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 찮 아
장영희
초등학교 때 우리 집은 제기동에 있는 작은 한옥이었다.
골목 안에는 고만고만한 한옥 네 채가 서로 마주보고 있었다. 그때만 해도 한 집에 아이가 네댓은 되었으므로 그 골목길만 초등학교 아이들이 줄잡아 열 명이 넘었다.
학교가 파할 때쯤 되면 골목 안은 시끌벅적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어머니는 내가 집에서 책만 읽는 것을 싫어 하셨다. 그래서 방과 후 골목길에 아이들이 모일 때쯤이면 어머니는 대문 앞 계단에 작은 방석을 깔고 나를 거기에 앉히 셨다. 아이들이 노는 것을 구경이라도 하라는 뜻이었다.
딱히 놀이 기구가 없던 그때 친구들은 대부분 술래잡기 사방치기, 공기놀이, 고무줄 등을 하고 놀았지만 나는 공기 외에는 어떤 놀이에도 참여할 수 없었다. 하지만 골목 안 친구들은 나를 위해 꼭 무언가 역할을 만들어 주었다. 고무줄이나 달리기를 하면 내게 심판을 시키거나 신발주머니와 책가방을 맡겼다. 뿐인가. 술래잡기를 할 때는 한곳에 앉아 있는 내가 답답할까 봐. 미리 내게 어디에 숨을지를 말해 주고 숨는 치구도 있었다.
우리 집은 골목 안에서 중앙이 아니라 구석 쪽이었지만 내가 앉아 있는 계단 앞이 친구들의 놀이 무대였다. 놀이에 참여하지 못해도 나는 전혀 소외감이나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아니 지금 생각 하면 내가 소외감을 느낄까봐 친구들이 배려를 해준 것이 었다.
그 골목길에서의 일이다. 초등학교 1학년 때였던 것 같다. 하루는 우리 반이 좀 일찍 끝나서 나는 혼자 집 앞에 앉아 있었다. 그런데 그 때 마침 깨엿장수가 골목길을 지나고 있었다. 그 아저씨는 가위만 쩔렁이며 내 앞을 지나더니 다시 돌아와 내게 깨엿 두개를 내밀었다. 순간 그 아저씨와 내 눈이 마주쳤다. 아저씨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아주 잠깐 미소를 지어 보이며 말했다.
"괜찮아."
무엇이 괜찮다는 것인지 몰랐다. 돈 없이 깨엿을 공짜로 받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아니면 목발을 짚고 살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건 내가 그날 마음을 정했다는 것이다. 이세상은 그런대로 살 만한 곳이라고. 좋은 사람들이 있고, 선의와 사랑이 있고, '괜찮아'라는 말처럼 용서와 너그러움이 있는 곳이라고 믿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어느 방송 채널에 오래전 학교 친구를 찾는 프로그램이 있다. 한번은 가수 김현철이 나와서 초등학교 때 친구들을 찾았는데, 함께 축구하던 이야기 나왔다. 당시 허리가 36인치일 정도로 뚱뚱한 친구가 있었는데, 뚱뚱해서 잘 뛰지 못한다고 다른 친구들이 축구팀에 끼워 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때 김현철이 나서서 말했다.
"그럼 앤 골키퍼를 하면 함께 놀 수 있잖아!" 그래서 그 친구는 골키퍼로 친구들과 함께 축구를 했고, 몇 십 년이 지난 후에도 그 따뜻한 말과 마음을 그대로 기억하고 있었다.
괜찮아 - 난 지금도 이말을 들으면 괜히 가슴 찡해진다. 지난 2002년 월드컵 4강에서 독일에게 졌을때 관중들은 선수들을 향해 외쳤다.
"괜찮아! 괜찮아!"
혼자 남아 문제를 풀다가 결국 골든벨을 울리지 못하면 친구들이 얼싸안고 말해 준다.
"괜찮아! 괜찮아!"
'그만하면 참 잘했다'고 용기를 북돋아 주는 말. '너라면 뭐든지 다 눈감아 주겠다'는 용서의 말, '무슨 일이 있어도 나는 네 편이니 넌 절대 외롭지 않다'는 격려의 말, '지금은 아파도 슬퍼하지 말라'는 나눔의 말 그리고 마음으로 일으켜 주는 부축의 말, 괜찮아
참으로 신기하게도 힘들어서 주저앉고 싶을 때마다 난 내 마음속에서 작은 속삭임을 듣는다. 오래전에 따뜻한 추억 속 골목길 안에서 들은 말, '괜찮아! 조금만 참아, 이제 다 괜찮아질 거야'.
아, 그래서 '괜찮아'는 이제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의 말이다
장영희(張英姬, 1952.9.14~2009.5.9)
생후 1년 만에 소아마비를 앓아 두 다리를 쓰지 못하는 장애인이 되었으나 역경을 딛고 서강대학교 졸업한 뒤 1977년 동대학원에서 영문학 석사학위를 취득, 1985년 뉴욕주립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1985년부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번역가와 수필가. 2001년 유방암, 2004년 척추암을 이겨낸 뒤 다시 강단에 섰다가 2008년 간암으로 2009년 5월 9일 사망.
수필집으로 《내 생애 단 한번》(2000), 《문학의 숲을 거닐다》(2005), 《축복》(2006),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2009) 등을 펴냈고, 《살아 있는 갈대》《슬픈 카페의 노래》《이름 없는 너에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