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산골음식
조선일보
- ▲ 강원도 평창 도사리 뒷산에서 자라는 곤드레 나물을 섞어 만든 곤드레밥. 식량이 부족하던 시절 주민들이 밥에 넣어 먹던 곤드레 나물은 이제 ‘웰빙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취나물은 뒷산에 가믄 많이 있어. 곤드레는 보마귀골에, 고사리는 땀봉산, 오가피는 거시막골, 팥고비는 너드게터골에 가믄 많이 있어. … 산나물 이름만 대봐, 내가 알코줄게(알려줄게). 알코줘도 못 찾아, 내가 같이 가야지. 나물 한 보따리 뜯어 이고 집에 와. 말리고 얼리고 절임도 담그지. 우리 시누이 부산서 한정식을 크게 해. 시누 양반, 내가 뜯어 보낸 나물 강원도 보양이라 해. 다시 찾는 손님들도 강원도 보약 먹으로 온단대." - 김봉자 도사리 부녀회장(58세)
"옥수수밥 식으면 한 덩어리로 단단하게 굳어버려. 때마다 옥수수밥 먹기 싫어 몸서리가 나. 벼락 칠 때 죽었으면 해본 적도 있어. 윗대에서 물려받은 빚도 있었거든. 신랑 제대한 후 나는 산판(벌목) 사람들을 위한 함바집(건설·작업 현장 식당)을 시작했어. 열댓 명 밥 해주니 우리 식구 쌀밥을 얻어먹을 수 있겠더라고. 그러니 밥 해주는 일, 힘 하나 들지 않더라고. 몇 년 지나 조상 빚 다 갚고 논 25마지기 사고는 그 일 그만뒀어." - 김남옥(60세)
"요즘은 품값 안 나온다 밭에 버리지만, 예전엔 (감자를) (부스러기) 한 톨까지 주워담아 걸리고 썩히고 우리고 말리고 채로 쳐 내린 것이 감자 녹말가루. 반드시 팔팔 끓는 물로 반죽하여 만드는 감자 송편, 감자 두덕, 감자 뭉그러기…. 도랑 계곡 물가에서 감자 녹말가루 만드는 일, 아녀자들의 연례행사였어. 감자 녹말가루만 해 놓으면 손쉽게 별미 음식 만들 수 있어 든든하거든." - 손원남(82세)
- ▲ 지난 4월부터 매주 화요일 마을 경로당에 모여 살아온 이야기를 나누고 음식을 함께 만들고 있는 평창 도사리 아주머니들. 왼쪽부터 진보연, 신 선남, 김옥자, 김봉자, 김복순, 김영자, 김영옥, 한영예씨.
모처럼 고향에 가서 어머니 혹은 할머니가 정성껏 차려준 밥상을 받아 맛있게 먹다가 가끔 이런 생각이 든다. '우리 할머니(어머니) 돌아가시면 어디서 이런 음식을 먹을 수 있을까.' 진짜 영영 사라지진 않을까 가슴 한쪽이 먹먹해진다. 혼자서만 그런 걱정을 한 건 아닌가 보다.
평창문화원은 지난 4월부터 '산골음식으로 풀어보는 할머니 할아버지의 이야기보따리'를 진행하고 있다. 평창군 용평면 도사리 주민 140여명이 들려주는 인생 이야기, 평생 먹어왔던 음식 이야기를 글과 사진에 담아 기록으로 남기는 프로젝트이다.
지금이야 길이 매끈하게 닦여 그런 느낌이 덜하지만, 도사리 또는 도사마을은 평창에서도 오지에 속한다. 마을사람들은 "옛날에 '김도사'라는 분이 살았다고 해서 도사마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어른들한테 들었다"고 했다.
문체부 지원을 받아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평창문화원 고창식(71) 원장은 "도사리 주민 평균 연령이 65~70세 정도"라면서 "이들이 돌아가시고 나면 이 음식들도 영영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이 일을 시작하게 됐다"고 했다. 고 원장은 "옛 음식 만들어 함께 시식하는 과정에서 어르신들의 생애와 문화 경험, 지식을 재발견하고, 나아가 지역의 소득 증대와 연계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지난 4월부터 최근까지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쯤 마을 주민들이 경로당에 모였다. 이때부터 오후 2~3시까지 살아온 인생과 먹어온 음식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 만들었다. 소설가 김도연씨가 이야기를 듣고 받아 적었고, 사진작가 최광호씨가 음식을 촬영했다. 마을 부녀회장 김봉자(57)씨는 "고스톱이나 치는 대신 음식 만들어 나누고 얘기하는 게 재미있다"고 했다.
평생 산골에 산 이들에게 대단하게 드라마틱한 이야기나 진기한 별미는 없다. 우리나라 어디서나, 누구한테서나 들을 수 있고 맛볼 수 있는 소박한 삶이고 밥상이다. 그래서인지 더 마음에 와 닿는다.
12월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발간될 음식과 이야기 중 일부를 미리 맛보고 들어봤다. 문의 도사리경로당 (033)333-0506, 평창문화원 (033)332-3546.
평창 도사리에서는 직접 재배한 감자·옥수수·배추와 산에서 얻은 나물, 동해에서 잡히는 코다리를 활용한 음식이 많다. 쌀이 풍족하지 않던 시절 낱알 벗긴 옥수수로 만든 강냉이밥, 나물국죽, 감자투생이 따위가 대표적이다. 닭고기를 갈아서 두부와 섞어 완자처럼 빚은 '닭반데기'는 평창에서도 도사리에만 있는 음식이다. '반데기'는 반죽한 가루나 삶은 푸성귀 따위를 평평하고 둥글넓적하게 만든 조각을 뜻하는 '반대기'의 잘못 또는 사투리로 보인다.
곤드레밥
●재료: 곤드레 나물 1㎏, 쌀 1㎏, 들기름 3큰술
따박장(양념장) 재료: 막장 5큰술, 물 1/2컵, 다진 파·마늘 각 1/2작은술, 양파 1/2개, 감자 1개, 표고버섯 2개, 애호박 1/3개
☞막장이 없으면 간장 1/2컵, 청양고추 1개, 다진 마늘·파 1/2작은술씩 넣어 양념장을 만들어도 된다.
①곤드레 나물을 20분 삶아 건져내 물기를 꼭 짜고 3㎝ 길이로 썬다.
②솥에 불을 지피고 달군 다음 들기름을 두르고 곤드레 나물을 2~3분 볶는다. 불린 쌀을 얹고 물을 맞춰 밥을 짓는다. 나물이 있는 것을 감안해 물을 평소의 80% 정도만 부어야 완성된 곤드레밥이 질지 않다.
③밥이 익는 동안 따박장을 만든다. 냄비에 물을 넣고 막장을 푼다. 감자와 양파, 표고버섯, 애호박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넣는다. 다진 파와 마늘을 더해 감자가 익을 때까지 끓인다.
취떡
●재료: 찹쌀 3되, 떡취(취나물 가운데 뒷면이 뽀얗게 흰색이면 떡을 해먹는 '떡취', 앞뒤가 다 푸르면 나물 해먹는 '나물취'이다) 500g, 참팥(흰색 팥) 1되(약 1.8L), 소금 1작은술
①찹쌀을 씻어 12시간 불린다. 떡취를 10분 삶아 씻어 물기를 짜놓는다. 팥은 1시간 정도 포슬포슬하게 삶아 소금 1작은술과 설탕 2작은술을 넣고 찧는다. 쟁반 따위에 펼쳐 놓는다.
②불린 찹쌀을 시루에 30~40분 쪄 떡판에 담는다. 준비한 떡취를 더해 떡메로 친다. 떡메가 없으면 반죽기를 사용하거나 인절미를 만들 때처럼 손으로 반죽해도 된다.
③떡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준비한 팥에 굴려 골고루 묻게 한다.
감자투생이
●재료: 감자 17개, 소금 1/2작은술
①감자 10개의 껍질을 벗기고 강판에 간다. 면포에 넣고 꼭 짜서 나오는 물을 그릇에 받쳐둔다. 20분 정도 전분이 가라앉기를 기다렸다가 윗물은 버리고 감자 전분만 남겨둔다.
②1의 감자 전분과 소금을 섞어 반죽을 만든다.
③나머지 감자 7개의 껍질을 벗겨 통째로 냄비에 20분 정도 찐다.
④2의 반죽을 수제비처럼 뚝뚝 뜯어서 3의 찐 감자에 올리고 20~30분 더 찐다. 반죽이 익으면 감자를 으깨가며 고루 섞어 뜨거울 때 먹는다.
강냉이밥
●재료: 찰옥수수쌀 300g, 맵쌀 500g
①찰옥수수쌀을 8시간 정도 물에 불린다.
②쌀을 씻어 찰옥수수쌀과 섞어 물을 맞춰 밥을 짓는다. 밥 짓는 데 걸리는 시간은 일반 쌀밥과 비슷한 30~40분쯤이다.
☞찰옥수수쌀은 옥수수를 맷돌에 굵게 간 것을 말한다. 따뜻할 때 먹으면 멥쌀로만 지은 밥과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부드럽지만, 식으면 딱딱하게 한 덩어리로 굳는 성질이 있다.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 구할 수 있다.
닭반데기
●재료: 닭 1마리, 두부 3모, 마늘 1큰술, 소금 2작은술, 파·후춧가루 약간씩
①닭은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통째로 간다. 대형마트나 정육점에서 닭을 살 때 부탁하면 갈아준다.
②두부를 물기가 없도록 꼭 짠다.
③간 닭고기와 물기를 뺀 두부, 마늘, 소금, 파, 후춧가루를 고루 섞는다.
④3의 반죽을 큼직한 완자 모양으로 빚어 솥에 넣고 20~30분 찐다.
☞도사리에서는 닭고기와 뼈, 껍질을 모두 함께 갈아서 만들지만, 곱게 갈리지 않은 뼈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아이가 있다면 뼈는 제거하고 갈아서 준비하는 편이 안전하다.
코다리김치
●재료: 코다리 1마리, 절인 배추 5포기, 무 1개, 고춧가루 500g, 멸치액젓 1컵, 설탕 2큰술, 다진 생강·파 2큰술씩, 다진 마늘 5통 분량
①코다리를 멸치액젓과 설탕에 하루 재운다.
②재워둔 코다리에 다진 생강·파·마늘, 멸치액젓을 버무려 김칫소를 만든다.
③절인 배추에 2의 김칫소를 넣어 김치를 담가 익힌다.
☞다진 마늘은 배추 1포기당 1통 분량으로 하면 된다.
'農 > 음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야초 약선 요리 이야기 (0) | 2012.06.17 |
---|---|
된장공장 간장공장 이야기 (0) | 2012.01.19 |
소주, 병참기지였던 안동·제주 (0) | 2011.09.09 |
모시잎송편… 우리도 다 모르는 송편 (0) | 2011.09.09 |
목화토금수 (0) | 201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