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敎/농촌재능나눔

6차산업을 찾아가는 옹동매화틀마을

대학생 농촌 6차산업화 창업아이디어 공모전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주관하는 대학생 농촌마을 6차산업화 창업아이디어 공모전에 특용작물학과의 완숙퇴비팀이 6차산업을 찾아가는옹동매화틀마을*매화: 왕의 변 *매화틀: 왕의 변기 라는 테마로 본선에 진출하여 열심히 정읍 현장에서 재능기부를 하고 있다. 시상 내역 : 농식품부장관상 5점 및 시상금 26백만원 대 상(1팀) 1,000만원 , 최우수상(2팀) 500만원, 우 수 상(2팀) 300만원 등이다. 

 

 

 

6차산업을 찾아가는옹동매화틀마을

*매화: 왕의 변 *매화틀: 왕의 변기

 

 

 팀 명 : 완숙퇴비 (학교: 한국농수산대학 특용작물학과)

팀 구 성 : 김지용 (리더, 특용작물학과 1학년)

정성원 (팀원, 특용작물학과 3학년)

이정세 (팀원, 특용작물학과 1학년)

권태형 (팀원, 특용작물학과 1학년)

김예나 (팀원, 특용작물학과 1학년)

지도교수 : 장광진 (지도교수, 특용작물학과)

 

 

 

마을 선정사유

정읍시 옹동면은 특용작물 지황의 재배 적지이자 전국적인 산지로 관련 농가도 증가 추세에 있어 6차 산업화를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고

*생산 인프라 : 지황 재배 적지, 마을 주민의 전통고수 숙지황생산

*제조 인프라 : 전국 최초 지황 가공시설 구축 (90)

*연구 인프라 :원광대학교(한의학과)와 산학연계를 통한 작물 개량 추진 등

*판매 인프라: 칠보 농협의 지황고, 쌍화고 생산,판매

 

축제 관광 등의 서비스를 연계한 6차산업화를 추진하기에 적합한 우수한 특성을 갖추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산업화가 뒤쳐져 있는 실정

*축제(정읍 단풍축제, 정읍 구절초 축제, 고인돌축제 등), 관광 (내장산, 섬진강, 고 창고인돌, 선운산,부안변산반도, 새만금 등) 벨트가 마을과 거리의 근접성을 가짐

 

1. 2차산업의 인프라가 좋고 3차산업으로 연계가 용이한 지황의 재배적지, 옹동마 을을 모델로 6차산업화 수익모델을 창출하고자함

 

마을자원조사 및 6차산업화 수준 진단

1.마을 자원조사

 

축제명

거리

소요시간

정읍 구절초 축제장

15km

10

정읍 내장산 축제장

25km

15

호남고속도로 태인톨게이트 옹동

7km

5

산외한우마을

10km

7

대장금 마실길

15km

10

 

 

지리적 강점

국내에서 지황의 주산지

숙지황,지황고 생산공장

국내 최고의 지황고를 전통기법으로 생산

99포방식등 전통기법으로 숙지황 및 지황고 제조

 

마을자원 평가 및 활용방안

1.마을자원 평가

옹동지황은 최고의 상품으로 인정받고 있어 경험자원(암묵지등) 풍부

대구 약령시장등에서 옹동숙지황을 최상품으로 판매

구절초축제, 내장산단풍축제, 산외한우마을 등 지리적 조건이 우수

전통성을 지닌 옹동농협의 지황 가공형태

 

 

2.핵심자원선정

지황 조사결과 약방의 감초 이상으로 한방에서 지황의 역할을 인식

한방시장이 위기인 현 시점에서 국내생산으로 이뤄지는 지황의 가치 인정

지황의 배변효능은 매화틀사업의 목적달성에 적합하다고 판단

 

3.자원활용방안

매화틀공원을 통해 지황의 홍보와 배설() 인식전환

주변 축제장과의 거리를 활용한 관광연계 벨트 구축

현재 진행중인 옹동의 숙지황 관련사업과의 연계

지황을 주원료로한 배변활동에 좋은 음료나 탕재 개발

옹동막걸리(숙지황 가공에 필요) 전통주조장과의 프로그램 개발

 

국내외 시장 현황 및 분석

현재 국내에는 화장실 관련한 테마(공원)는 수원 해우재(연중 20만명)가 유일

다른 한방마을과의 차이점

 

 6차산업화 목표 및 내용

1.사업화 최종 목표

2.실현하고자 하는 내용

 

3.사업추진체계

 

4.세부추진일정

 

기획

1주차

설문조사 및 면담 (지역민, 지황작목반, 칠보농협 , 지자체관련자)

2주차

전문가 의견청취 및 논문조사 (한의학 박사등)

3주차

한방과 관련한 축제 견학

4주차

다른축제와 관광연계 연구 (구절초축제와 내장산축제 담당자와 면담)

5주차

화장실과 관련한 테마 조사, 수원 해우재 견학 (건축물이나 박물관등)

개발

6주차

7주차

지황을 주원료로 상품개발, 특히 배변에 좋은 효능 중심으로.

팀원들 상대로 임상실험 추진

8주차

지황과 관련한 체험 프로그램 등을 개발

9주차

화장실 건축설계 및 세부적인 장치 연구

사업화준비

10주차

사업투입비용 산정

11주차

공원조성 장소 물색

12주차

사업에 적극 참여가능한자를 선정,이들에게 사업 기획 및 개발결과를 인지시켜줌

 

 

 2. 마케팅, 홍보, 판매전략

구절초축제, 내장산 단풍축제와의 관광연계프로그램으로 개발

젊은 세대들을 상대로 페이스북,카카오톡을 적극활용

sns서비스에 공원에서 찍은 사진을 올려주면 무료입장권을 제공

기존에 칠보농협서 생산되는 숙지황, 지황고, 쌍화고 판매 홈페이지에서도 홍보

 

3. 기대효과

공원자체가 갖는 참신성으로 인해 많은 미디어와 연결이 예상되고

매화틀 공원 방문객 유치를 통해 지황 홍보, 판매=옹동지황 브랜드 이미지 구축

정읍내 새로운 관광자원화 개발로 인해 지방경제에 도움

관광객들에게 똥에 대한 관념을 새롭게 제고

지황을 생산하는 농가에서는 지속적, 안정적인 지황 소비를 제고함으로써

경제적 효과

공원관리를 위한 마을 일자리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