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그대를 속일지라
김진영 연세대 노어노문학과
러시아를 대표하는 국민 시인 푸시킨은 20대의 일곱 해를 유배지에서 보내야 했다. 전반부는 남쪽 오데사 부근에서, 후반부는 북쪽 시골 영지에서 지냈는데, 북쪽 유배가 끝나갈 무렵 그는 한 편의 짧은 시를 쓴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 / 슬픔의 날 참고 견디면 / 기쁨의 날 찾아오리라.// 마음은 미래에 살고 / 현재는 괴로운 법. / 모든 것이 순간이고 모든 것이 지나가리니 / 지나간 모든 것은 아름다우리."
스물여섯 살의 푸시킨은 이웃 살던 열다섯 살짜리 귀족 소녀의 앨범(시화첩)에 이 시를 써주었다. 산전수전 다 겪은 '아저씨'가 연하디연한 삶의 꽃봉오리에 인생 조언을 해준 셈이다. 머지않아 밀어닥칠 거친 비바람은 상상 못 한 채 마냥 밝고 행복하기만 한 어린 처녀가 사랑스럽고도 안쓰러웠을 법하다.
시는 '쨍하고 해 뜰 날 돌아온단다' 식의 무턱댄 희망가가 결코 아니다. 앞부분만 잘라 읽으면 희망가지만, 끝까지 읽으면 절망가가 되기도 한다. "현재는 괴로운 법"이라는 '인생 고해'의 직설 때문이다. 오늘을 견디며 꿈꿔온 그 미래도 막상 현재 위치에 오면 꿈꾸던 것과는 달라 괴로울 수 있다. 삶이 나를 속였다는 배반감은 거기서 온다.
그런데도 시인은 '다 지나간다'는 덧없음의 치유력에 기대어 현재를 견뎌낸다. 그리고 과거가 된 아픔과 화해한다. 지나간 것이라고 어찌 모두 아름답겠는가. 철없던 지난날의 회한이 "혼탁한 숙취처럼 괴롭다"고 시인 자신도 말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간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것이 삶이고, 삶 자체가 소중해서다.
푸시킨도 지금의 우리처럼 '콜레라 시대'를 경험한 적이 있다. 1830년, 치사율 50%의 역병으로 모스크바는 봉쇄되었고, 시인은 약혼녀를 그곳에 남겨둔 채 석 달간 작은 영지에서 자가 격리를 했다. 죽음이 코앞까지 밀어닥쳤던 그때, 그는 또 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2/2020070200049.html
'我 > 좋은글모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 비의 이름은 장마가 아니라 기후위기 (0) | 2020.08.15 |
---|---|
아픈시대를 읽은 아큐정전 (0) | 2020.08.02 |
아마존이 '지구의 허파'라는 환상 (0) | 2020.06.29 |
무기질비료의 올바른 이해 (0) | 2020.05.06 |
자발성 없으면 말짱 헛공부 (0) |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