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我/좋은글모심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

 

김진영 연세대 노어노문학과

 

 

러시아를 대표하는 국민 시인 푸시킨은 20대의 일곱 해를 유배지에서 보내야 했다. 전반부는 남쪽 오데사 부근에서, 후반부는 북쪽 시골 영지에서 지냈는데, 북쪽 유배가 끝나갈 무렵 그는 한 편의 짧은 시를 쓴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 / 슬픔의 날 참고 견디면 / 기쁨의 날 찾아오리라.// 마음은 미래에 살고 / 현재는 괴로운 법. / 모든 것이 순간이고 모든 것이 지나가리니 / 지나간 모든 것은 아름다우리."

스물여섯 살의 푸시킨은 이웃 살던 열다섯 살짜리 귀족 소녀의 앨범(시화첩)에 이 시를 써주었다. 산전수전 다 겪은 '아저씨'가 연하디연한 삶의 꽃봉오리에 인생 조언을 해준 셈이다. 머지않아 밀어닥칠 거친 비바람은 상상 못 한 채 마냥 밝고 행복하기만 한 어린 처녀가 사랑스럽고도 안쓰러웠을 법하다.

시는 '쨍하고 해 뜰 날 돌아온단다' 식의 무턱댄 희망가가 결코 아니다. 앞부분만 잘라 읽으면 희망가지만, 끝까지 읽으면 절망가가 되기도 한다. "현재는 괴로운 법"이라는 '인생 고해'의 직설 때문이다. 오늘을 견디며 꿈꿔온 그 미래도 막상 현재 위치에 오면 꿈꾸던 것과는 달라 괴로울 수 있다. 삶이 나를 속였다는 배반감은 거기서 온다.

그런데도 시인은 '다 지나간다'는 덧없음의 치유력에 기대어 현재를 견뎌낸다. 그리고 과거가 된 아픔과 화해한다. 지나간 것이라고 어찌 모두 아름답겠는가. 철없던 지난날의 회한이 "혼탁한 숙취처럼 괴롭다"고 시인 자신도 말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간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것이 삶이고, 삶 자체가 소중해서다.

 

푸시킨도 지금의 우리처럼 '콜레라 시대'를 경험한 적이 있다. 1830년, 치사율 50%의 역병으로 모스크바는 봉쇄되었고, 시인은 약혼녀를 그곳에 남겨둔 채 석 달간 작은 영지에서 자가 격리를 했다. 죽음이 코앞까지 밀어닥쳤던 그때, 그는 또 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2/202007020004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