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인삼이야기

약초와 원소 연구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특용작물인 인삼을 대상으로 LED광원, Duty비와 Hertz에 따른 최적 환경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LED광원의 종류는 적색+청색 혼합광(R+B), 적색+청색+백색 혼합광(R+B+W)을 이용하였으며, R+B광원의 Hz는 각각 20, 60, 180, 540, 1620, 4860Hz로 R+B+W광원의 Hz는 각각 60, 180, 540, 1620Hz로 처리하여 총10개의 구배를 하였다. 인삼은 1년생 묘삼을 한 화분(지름24cm×높이23cm)에 3개체씩 이식하여 각 처리구당 5개의화분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이 실험을 각각 Duty비 30%, 50%, 70%로 총 3번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광합성률은 R+B광원에서 Duty비 30%일 때 180Hz가 가장 높았고, Duty비 50%일 때는 20Hz가 가장 높았다. R+B+W광원에서는 Duty비 50%일 때 60Hz가 가장 높았고, Duty비 70%일 때는 180Hz가 가장 높았다. 증산률은 R+B광원에서 Duty비 30%일 때 60Hz가 가장 높았고, Duty비 50%일 때는 20Hz와 1620Hz가 가장 높았다. R+B+W광원에서는 Duty비 30% 일 때 60Hz가 가장 높았고, Duty비 50%일때는 180Hz와 540Hz 그리고 Duty비 70%일 때는 540Hz가가장 높았다. 기공전도도는 R+B광원에서 Duty비 30%일때 60Hz가 가장 높았고, Duty비 50%일 때 20Hz가 가장높았다. R+B+W광원에서는 Duty비 30%일 때 60Hz가 가장 높았다. 특히 광합성률에서는 R+B+W광원에서 Duty비30%일 때 Hertz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R+B와 R+B+W광원 모두 Duty비 30%에서 가장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다. 또한 R+B+W광원에서 보다 R+B광원에서Duty비 30%일 때 더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R+B와 R+B+W광원 모두 60Hz와 180Hz에서 가장 최적의 생리·생태학적 반응이 나타났으며, R+B광원에서 Duty비 30%일 때 인삼의 최적 환경 조건을 유지하며 에너지 절감 또한 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of Panax ginseng by LED Sources, Duty ratio and Hertz in the Plant Factor 이수인 ( Soo In Lee ) , 임진혜 ( Jin Hye Lim ) , 윤단비 ( Dan Bi Yun ) , 최재윤 ( Jae Yun Choi ) , 유영한 ( Young Han You )

 

미네랄 영양소의 관리와 관리는 고려 인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기위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미네랄 영양소는 두 가지 온도에서 수경 재배로 재배 한 2 년근 인삼의 다양한 식물 조직과 다양한 성장 단계로 측정된다.  N, P, Ca, Mg의 함량은 고온에서보다 잎과 뿌리 모두 저온에서 더 높았다. 그러나 K의 함량은 고온에 비해 저온에서 잎의 함량이 높았으나 뿌리에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 N과 K의 흡수량은 고온에서보다 잎과 뿌리 모두에서 저온에서 실험 기간 동안 더 높았다. 그러나 P의 흡수량은 두 가지 다른 온도와 여섯 가지 다른 성장 단계 사이에서 분명하게 다르지 않았다. N, P, K의 흡수량은 일반적로 6 월부터 8 월까지 잎에서 감소한 반면, 뿌리에서는 증가했다. 잎의 건조 중량과 미네랄 영양소 사이의 관계는 N, K, Ca 및 Mg에서는 양성으로 보였지만 P는 음성으로 나타났다. 뿌리에는 N, K, Ca 및 Mg가 음성으로 P 만 양성으로 나타났다. 잎에서 미네랄 영양소의 상관 계수, N과 K는 서로 유의하게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P는 Na 및 Zn과 유의하게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 냈다. 뿌리의 경우 N은 K, Mg, Mn과 매우 유의 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 나 P는 Ca, Cu, Na, Fe, Zn과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Comparative Analysis on Concentration and Uptake Amount of Mineral Nutrients in Different Growth Stages and Temperatur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Grown with Hydroponic Culture) 

 

 

본 연구는 각국 홍삼의 성분비교 연구로서 한국홍삼(찬삼, 지삼, 양삼), 북한홍삼(천삼, 지삼, 양삼), 중국석주홍삼(1등, 2등, 3등), 중국길림홍삼(1등, 2등, 3등), 일본운주홍삼(1등, 2등, 3등) 및 일본신주홍삼(1등, 2등, 3등) 등을 대상으로 사포닌 및 무기물 함량에 대해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포닌 함량은 한국홍삼의 경우 3.05~3.76%, 북한홍삼은 2.09~3.21% 중국석주홍삼은 2.82~3.71%, 중국길림홍삼은 2.72~3.62%, 일본주홍삼은 2.11~2.44% 그리고 일본신주홍삼은 2.18~2.87%로 전반적으로 한국홍삼이 높게 나타났다. Ginsenoside중에 Rb1, Bb2, Rc, Rd, Re, Rg$_{1}$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한국홍삼의 경우 약 1.43%로 북한홍삼 1.14%, 중국석주 1.13%, 중국길림 1.07%, 일본운주 0.95%, 일본신주 1.10% 보다 한국홍삼이 약 0.52~0.33%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ginsenoside 중에서 Rb$_{1}$, Re, Rg$_{1}$ 성분이 대체적으로 한국홍삼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외 성분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26종의 무기물함량을 한국홍삼과 타국홍삼과 비교 조사한 결과, 차이는 큰 원소는 As, Ce, Sb, Sm, Sr, K, La, Na 등이었으며, 특히 La성분이 한국홍삼은 0.64~0.88% ppm, 북한홍삼은 0.43~0.67 ppmdldjTdmsk 중국홍삼(석주삼, 길림삼)은 0.09~0.21 ppm 정도이고, 일본홍삼은 0.04~0.14 ppm이었다. 그리고 Na함량에 있어서 한국홍삼은 286~350 ppm인데 비해서 중국홍삼은 59~180 ppm으로 상당히 낮았으며, Sn함량도 한국홍삼은 10.00~72.65 ppm이었으나 중국홍삼은 3.75~9.71 ppm이었다. Brgkafid에 있어서는 일본홍삼이 2.10~3.56 ppm으로 나타났으나 한국홍삼은 0.89~2.77 ppm, 중국홍삼은 0.42~1.04 ppm이었고 Ce함량은 일본홍삼이 가장 낮았다.(Comparison of the Content of Saponin and Mineral Component in Korean Red Ginseng and Other Red Ginseng이종원, 이성계, 도재호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고려인삼학회) 26권 4호 2002)

 

이 연구는 경기도 안성지역에서 우량 및 불량 인삼재배지를 대상으로 토양 및 잎을 분석하여 인삼의 생육에 적합한 양분함량의 수준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삼생육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물리적 성질은 공극률이었으며, 우량포지에서 50%이상의 값을 보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의 적정범위는 전질소 2.0-2.8 g/kg, 유효인산 500-900 mg/kg, 치환성 Ca 2.3-3.5 cmol$^+$/kg 이었다. 또한, 치환성 염기 성분비 (Exch. Ca:Mg:K)도 인삼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값은 우량포지에서 6:2:1, 불량포지에서 4:2:1로 나타났다. 잎의 무기양분함량 적정범위는 P 0.25% 이상, Mg 0.22%이하였으며 그 외의 원소에 있어서는 뚜렷한 값을 나타내지 않았다. 우량포지에서 엽 중 N/P, N/Mg, K/Mg, Ca/P의 함량비는 각각 10 이상, 10-13, 14 이하, 1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Effect of Nutritional Environment in Ginseng Field on the Plant Growth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진현오, 김웅진, 양덕춘 고려인삼학회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고려인삼학회) 33권 3호)

 

' > 인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년 산삼  (0) 2022.08.29
인삼 공정 육묘 연구  (0) 2022.03.13
인삼 생산 동향  (0) 2021.02.21
새싹삼 술  (0) 2021.02.21
인삼과 마그네슘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