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農/텃밭이야기

적기 석회유황합제로 안전 농산물 생산

적기에 석회유황합제 활용하면 안전성 농산물 생산 가능하지요?

 

 

 

 

 

 

석회유황합제는 1881년 프랑스에서 포도 병해방제용으로 사용된 이후 값이 싸고 살균력과 살충력(응애, 깍지벌레 등)을 지니고 있어 약특용작물 및 각종 과수 등 원예작물 병해충의 방제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방법에 따라 약해를 일으키기 쉬운 결점도 가지고 있어 농가에서 회피해온 것도 사실입니다. 이제 석회유황합제를 이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면 약해 없이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허용하는 유기인증자제 효과를 볼 수있습니다. 

 

1. PH EC가 무엇인지?

pH(power of Hydrogen)는 측정하고자 하는 재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이온(H+) 농도를 나타냅니다. EC(electrical conductivity)란 물속에 이온이 많을수록 전기가 잘 통하는 원리를 이용한 -이온염류의 농도지표입니다. 유황합제는 산성인 유황과 알칼리성인 생석회가 2:1로 조합된 친환경제재로 농도에 따라 pH EC가 변하는데 작물에 따라 강하면 잎에 피해를 줄 수있습니다.

 

2. 석유유황합제를 살포하려고 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십시오?

살포하는 방법은 작물의 경우 100리터/300평 희석하여 엽면살포 합니다. 엽면살포의 유의점은 1. 날씨가 좋은 날의 오전 중 살포는 피합니다. 2. 고온 시는 살포를 피합니다. 증발 농축으로 잎이 탄기 때문입니다. 3. 비 오는 날은 피하고 사용농도와 회수를 잘 준수해야 합니다.

 

3. 석유유황합제를 살포시 용량은 어느정도 하여야 하는지(매실나무의경우)?

보통 작물의 경우 100리터/300평 희석하여 엽면살포 합니다. 그러나 특용수의 경우는 나무 높이에 따라서 23배 증액합니다.

 

4. 엽채류의 경우 예를 들어 400배로 살포하면 400배살포시 산도 및 EC가얼마가 되는지?

재료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좋은 재료를 사용한 석회유황합제복합체의 경우 pH 8.0 EC 1.8 정도로 추정되어 작물체에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5. 석유유황합제를 살포시 엽채류를 몇 일 지나서 채취하여 먹을 수 있는지 중화방법이 있다면?

석회유황합제는 잔류성이 없는 제재로 흐르는 물에 씻으면 문제가 없으며, 특히 0.1% 식초물에 담그어 두면 제거됩니다.

 

6. 석유유황합제를 살포시 어떤 효과가 발생하는지?

살균작용은 본제의 유효성분인 다황화칼슘(CaS5)이 공기 중에서 산소와 접할 때 생기는 활성황의 작용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이 약제의 강한 알칼리성은 균체(菌體)나 환부조직을 부식시켜서 균체조직을 기계적으로 파괴하고 황의 침입을 쉽게 만듭니다. 균체 속에 들어간 황은 조직 내에서 탈탄소 작용과 산화물 등에 의해서 살균작용을 하며 응애류나 깍지벌레에 대해서도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살충작용을 합니다

 

7. 00조합에 문의하면 지금은 줄 시기가 지나서 봄에 주라고 하는데 그말씀이 맞는지 아니면 살포시기가 따로 있는지?

석회유황합제복합제는 수정 시기가 아니면 언제나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어릴 때에는 500배 정도, 300, 200배 등 작물에 따라 시기에 따라 배율과 복합제를 선택합니다.

 

8. 석유유황합제 살포시 각 작물마다 동일하게 사용하는지 아니면 류별(엽채류, 과채류, 근채류, 화훼류, 수목류 )배합비율이 다른지? (예 고추. 인삼. 고구마. 감자 등)

, 엽채류, 과채류, 근채류, 화훼류, 수목류에 따라 다릅니다. 수목류는 100배액, 작물류는 200배액, 엽채류는 300배 이상 적용 가능 합니다. 석회유황합제복합체의 경우 마-깍지벌레 등 충해 6-72-3140-200배액(0.3-0.2), 인삼-깍지벌레 등 충해묘삼 1, 2년생 1-2회 예방 3년생 이상 2-3200-300배액(0.2-0.15)140-200배액(0.3-0.2), -검은 별무늬병37배액(5), 채소-흰가루병봄철여름철200-300배액(0.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