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균병이 불러온 작물보호제
프랑스의 남부 보르도(Bordeaux) 지방은 예로부터 고급 와인을 생산하는 포도 주산지로 유명하다. 1878년 일부 포도밭에 있는 포도나무 잎의 뒷면에 흰 솜털같은 점들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잎의 앞면은 처음에 누렇더니 나중에 흑갈색으로 변하여 죽었다. 어린 포도송이와 어린 가지도 흰 솜털같은 것으로 뒤덮이고 갈색으로 변하며 쭈그러들었다. 생육 후기에 감염된 포도 열매는 연녹색 또는 붉은색 얼룩을 보이다가 결국 떨어졌다. 훗날 이러한 증상은 노균병(露菌病)이라고 명명되었으며, Plasmopara viticola라는 곰팡이가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포도 노균병은 특히, 서늘하고 비가 많은 기상일 때 더욱 창궐했고 잘 퍼져나갔다.
보르도 지방에서 노균병은 매우 빠른 속도로 퍼져나갔다. 프랑스에 노균병이 나타난 지 5년 만에 전국으로 퍼졌으며, 인접한 나라들로 퍼져나갔다. 유럽의 포도 생산자들은 공포에 떨기 시작했다. 1880년대와 1890년대에 포도 노균병 발생으로 유럽에서 와인 생산 감소에 의해 50조원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그러자 많은 과학자들이 포도 노균병에 관심을 보이면서 해결책을 찾으려 노력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프랑스 보르도대학의 식물학 교수 미야르데(Millardet)가 포도밭 사잇길을 거닐다가 길가에 있는 포도나무 덩굴의 잎에 푸르스름한 막으로 덮인 것을 보았다. 미야르데교수는 이 덩굴에 달린 잎은 건전한 반면에 포도밭 안쪽에 있는 포도나무 잎이나 어린 가지와 포도송이는 노균병에 심하게 감염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당시 프랑스에서도 포도밭을 지나던 사람들이 포도서리를 했던 모양이다. 포도밭 주인은 길가에 있는 포도나무에서 포도를 따 가는 것을 막으려고 포도가 독성이 있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 포도나무 덩굴에 어떤 혼합액을 뿌렸다. 포도밭에 있는 푸른 돌덩어리인 황산구리를 갈아 잎에 더 잘 달라붙게 생석회와 섞은 혼합액이 포도나무 덩굴의 잎에 푸르스름한 막을 만든 것이었다.
미야르데교수는 즉시 그 정보를 가지고 그의 실험실로 돌아와 황산구리(CuSO4)와 생석회(CaO)를 다양한 비율로 섞어 노균병에 걸린 포도나무에 처리하였다. 마침내 1885년 그는 노균병 방제에 가장 좋은 혼합비율을 찾아내었다. 황산구리 10파운드와 생석회 10파운드를 물 100갈론에 혼합한 이 용액(8-8-100)은 처음 사용된 프랑스의 보르도 지방의 명칭을 따서 보르도액(Bordeaux mixture)으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보르도액은 한 세기가 지난 현재까지도 포도 노균병 방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과수나 화훼작물에 발생하는 식물병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결국 화학농약의 시초인 보르도액은 포도밭에서 포도를 서리해 가는 좀도둑을 퇴치하려다 우연히 개발된 셈이다. 식물체, 병원균, 발생환경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충분한 병 방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균형시비를 잘하여 생육 후기까지 식물체를 건강하게 키우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비료가 부족하거나 식물체가 쇠약하게 자라면 병 발생이 조장된다. 생육중기 이후 엽면 시비보다는 추비가 더 효과적이다.
적용병해와 사용방법
작물명 |
병해 |
희석 배수 |
주의 사항 |
오미자 |
흰가루병, 갈반병, 뿌리썩음병 |
2-2식 4-4식 |
흰가루병 7하순 갈반병 6월상순 유황합제복합체 100-200배액 살포 |
강활 |
뿌리 썩음병 방제 |
4-4식 |
종근 베노람수화제 소독 |
인삼 |
탄저병, 점무늬병, |
1-1식 또는 2-2식
1.5-0.5식, 2-1식 (CuSO4·5H2O 사용시) |
어릴 때부터 조절
회색곰팡이병 지면온도 15℃ 되면 살포 |
작약 |
점무늬병, 탄저병, 녹병, 흰가루병 |
2-2, 4-4식 |
어릴 때 약하게 |
사 과 |
갈반병, 흑점병, 흑성병, 적성병 |
2-12식에서 3-9식~4-12식후 |
석회량은 2~3배로 한다. |
배 |
흑반병,적성병,흑성병 |
5-10~5-15식 또는 4-8~4-12식 |
개화 전에는 6-12식이 좋다. |
감 |
탄저병, 낙엽병 |
4-12식 ~ 2.5-13식 |
석회 5배량 6월 중순은 2.5-13식 7~8월은 4-20식 ~ 3-15식 |
포 도 |
새눈무늬병, 노균병, 갈색무늬병 |
3-2식 ~ 6-3식 |
6월중순은 6-3식 7~9월은 5-1.5식 노지재배는 다우 시는 반대로 석회량을 2~3배로 한다. |
박과류 |
탄저병, 노균병, 만고병 |
2-1식 ~ 3-1.5식 |
석회는 반량 |
토마토 |
역병, 그을음, 곰팡이 |
2-1, 4-3식 |
석회에 의하여 과실의 성숙이 늦음으로 소석회(小石灰)가 좋다. |
차 |
탄저병, 곰팡이병, |
2-2, 4-4 |
|
2017년 특용작물학과 프랑스 보르도 지역 해외연수 현장
'我 > 나의농학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보다 진한 발효퇴비차 (0) | 2020.05.24 |
---|---|
미래 농업과 나의 농업 철학 (0) | 2020.03.31 |
국내외 산약 연구 발표 (0) | 2010.09.25 |
베트남 하노이에서 만난 명장들 (0) | 2010.07.26 |
인삼약초농사를 해볼까요? (0) | 2010.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