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62)
ORP(산화 환윈 전위) 《ORP 의미》 최근에는 로터리 경운작업이나 화학비료의 지나친 사용으로 토양이 굳어져 있다. 이러한 토양속으로는 충분한 산소가 들어가지 못한다. 또한 유기 재배 등의 보급에 따라 미숙한 유기물의 다량 투입에 의한 토양의 환원화도 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뿌리가 있는 토양은 산화상태로 산소를 좋아하는 호기성 균이 활동하고 있다. 토양 중의 물질도 산소와 결합 안정화 되므로 산소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 침수상태의 포장은 공기와 토양이 차단되어 흙 속에 산소가 들어가지 못하고, 호기성 균은 사멸한다. 따라서 혐기성 균이 활동하도록 되어 토양 중의 산소부족 상태가 강하게 일어나게 된다. 산소가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를 산화상태, 부족한 상태를 환원상태라고 한다. 산화상태와 환원상태로 여러 ..
산화환원전위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우리가 산소를 이용해서 숨을 쉬고 살아 가듯이  식물도 숨을 쉬고 산다는 사실을 얼마나 아는가? 낮에는 지상부 잎으로 산소를 만들어 주는 위대한 산소발전소이다. 하지만 밤이되면 지하부의 뿌리는 산소가 꼭 필요하다. 산소를 이용해 숨을 쉬며 에너지를 만들어 내일을 준비한다. 이것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동물과 같은 방법이다. 농업을 하면서 참으로 중요한 사실은 농작물의 뿌리는 숨을 쉬고 산소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흙속에 산소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토양은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지상부와 작물체 속은 - ORP를 유지시켜 주어야 고품질의 농산물을 얻을 수있다.  지구에서 생명을 유지시키는 반응은..
전기전도도 EC(전기전도도) 전기전도도는 보통 μS/cm로 표시되며 마이크로시멘스 또는 지멘스라고 읽습니다. EC 단위를 환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환산인자가 필요합니다. 1 S = 10 dS = 1000 mS = 1000000 μS 1 m = 100 cm 전기전도도값에 따라 μ가 1/1000을 뜻하는 m(밀리)로 표시되거나 cm가 m(미터)로 표시 되기도 하는데 0.5mS/cm 라면 500μS/cm 로 나타냅니다. 이들 환산인자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μS/cm를 dS/m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 1 μS/cm = 1 μS/cm x (0.000001 S/1 μS) x (10 dS/1 S) x (100 cm/1 m) = 0.001dS/m 따라서 EC meter에서 μS/cm 단위로 측정된 EC 값을 1000으로 나누어..
수소이온농도 수소이온농도가 높을수록 pH는 낮다 수소이온농도는 용액 1L 속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의 몰 수를 의미하며, [H+]로 쓴다. 수소 이온이 많아질수록 용액은 산성에 가까워진다. 순수한 물일 경우 1기압 25℃에서 수소 이온의 농도가 약 10-7M (몰농도)이며, 이를 기준으로 산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수소 이온의 실제 몰 수는 이처럼 매우 작은 값이므로 표현하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수소 이온량의 역수에 상용로그를 취한 값을 수소이온농도지수 pH로 사용한다. 즉, pH=log(1/[H+]), pH란 어떤 용액의 산도(수소이온 농도의 높고 낮음)를 나타낼 때 pH라는 지표를 쓴다. ☆ pH = log 1/[H+] = -log [H+], pH = -log(H+) 위의 수식을 말로..
발효산도와 구연산 구연산(枸櫞酸) 화학식 C 6 H 8 O 7, 분자량은 192.125 시트르산은 약한 유기산이며, 카복실산의 하나다. 카복실산의 일반적인 특성을 그대로 갖고 있으나 약간 더 강한 산성을 띤다. 이온화되어 3가의 음이온으로 작용한다. 다른 말로는 구연산이라고도 한다. 구연(枸櫞)은 레몬 비슷한 과일인 시트론(citron)의 한자명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시트론을 비롯하여 귤속(屬)에 속하는 과일에 많이 들어 있고, 특히 레몬과 라임에 많다. 중국어로는 영몽산(檸檬酸, níngméngsuān)이라고 한다. 시트러스의 어원이 되는 말이다. 식품첨가물로 유명하지만, 의외로 생화학적으로 중요한 물질이다. 생화학에서 유명한 TCA 회로를 시작하는 물질이기 때문이다. TCA 회로(TriCarboxylic Aci..
시설재배지 토양 개량 농사로 제시-염류장해와 경감대책 1. 염류집적지의 대책기술 가) 내염성 작물재배 염류농도에 대한 작물의 저항성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염류농도가 높은 동일 포장에 딸기, 오이, 토마토, 가지 등을 재배하면 제일 먼저 딸기에 염류장애가 나타나고 다음에 오이, 토마토의 순으로 증상이 나타나지만 가지는 비교적 강하다. 이외에도 카네이션의 경우에는 연작을 하면 잎의 넓이가 점차 적어진다. 토양의 염류농도와 작물별 수량의 감수정도는 표 6과 같다. 이 표에 의하면 수량이 50%로 감수되는 토양의 염류농도는 시금치가 8.6 dS/m인데 비하여 딸기가 2.5 dS/m로 시금치는 딸기보다 3.4배나 염류농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따라서 딸기는 연작지와 같이 염류농도가 높은 데서는 생육이 어려우며 염류를 제거..
토양 pH 조절과 반응 토양 pH와 작물의 반응 pH란 용액의 수소이온(H+)의 농도를 간편하게 나타내는 값이며 산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 pH7을 중성이라 하고 7보다 작을 때는 산성, 클 때는 알카리성(또는 염기성)이라 한다. 알카리 또는 산의 첨가에 의한 pH의 변화를 토양이 억제하는 작용을 토양의 완충능이라 한다. 토양 pH는 글자 그래도 “수소 이온의 양” 즉 토양 산성도의 측정값이다. 전문적으로, pH는 로그값으로 측정된 토양 수분에 존재하는 수소이온(H+)의 양을 말한다. 중요한 것은 pH가 어떻게 토양 화학구조와 식물 영양분에 영향을 주고, 그것을 어떻게 측정하고 관리하는지와 관계가 있다. pH는 0에서 14의 값을 갖는다. 낮은 pH(0~5)는 산성이고 높은 pH(9~14)는 염기성이다. pH 6~8의 영역은 ..
특화 인삼재배 ‘하우스인삼재배’ 특색농업으로 농가소득 올린다 연변일보 2019-03-18 차광조건 개선해 품질 향상 ‘하우스인삼재배’로 요즘 훈춘시 삼가자만족향 고성촌에 위치한 연변이탄인삼산업단지는 한겨울에도 일군들의 손놀림이 분주하다. 다름아니라 하우스인삼재배가 최근 들어 친환경 특색농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농가소득을 올리는 역할을 톡톡히 하기 때문이다. 경칩이 지난 11일, 연변이탄인삼산업단지에 들어서니 한채당 1만 5000여평방메터 되는 비닐하우스 두채가 나란히 설치되여있었다. 그 안에서 몇몇 사업일군들이 한창 비닐하우스의 차광자재를 점검하느라 분주히 돌아쳤다. “원래는 대개 7월말부터 인삼 종자를 뿌리고 재배를 시작하지만 요즘은 봄철에도 어느 정도 광선을 조절해줄 수 있는 차광자재에 하우스 내부 온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