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我/농업기사철

창조농업선도고 설립 등 기능 강화 추진

창조농업선도고 설립 등 기능 강화 추진
 
 
포토뉴스 
 
--> 농고·농대 졸업생의 농업분야 진출 기피는 미래농업에 큰 악재다. 농업을 미래성장산업화하려고 해도 미래농업을 짊어질 핵심 인재를 확보할 수 없어서다. 농고·농대에 대한 개편 요구가 거센 이유다. 대대적 개편을 통해 농고·농대를 핵심 농업후계인력의 산실로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악순환 구조 지속=농고·농대졸업생이 영농을 기피하는 것은 농사로 성공할 가능성을 낮게 보기 때문이다. 농산업분야에 취직하려고 해도, 산업규모가 작아 취직할 곳도 마땅찮은 게 농고·농대생의 현실이다. 이렇다 보니 농고·농대에 우수인력이 들어오지 않고, 우수 졸업생이 적다 보니 농산업분야 취직도 제대로 되지 않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한 식품회사 관계자는 “농고·농대졸업생의 식품분야 전문성이 떨어져, 오히려 일반대 졸업생을 선호하는 편”이라며 “농고·농대가 농산업분야에서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농고·농대가 비전 없는 학문을 가르치는 곳이란 인식이 확산되면서 학교명칭에 ‘농업’이 빠지는 것도 큰 문제다. 일부 농고는 마이스터고로 전환했고, 상당수 농대는 ‘생명’ ‘환경’ 등의 명칭으로 바꿨다<표 참조>.


실제로 농과대학장협의회가 2013년 34개 농업 관련 단과대학 명칭을 조사한 결과 9개 단과대만이 ‘농업’ 명칭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농업전공에도 ‘농업’ 명칭이 빠지는 추세가 뚜렷하다.

◆농고, 학생·교사 선발·관리 개선해야=특성화고인 농고는 대부분 전기에 광역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데, 성적이 합격을 좌우하는 게 일반적이다. 경기 여주자영농고 등 일부 농고가 영농가산점, 가업승계희망자 특별전형을 실시하고 있으나 비중이 낮은 편이다. 농업분야 적성과 흥미를 가진 학생의 유치에 실패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농고 교사는 임용고사로 선발함으로써, 농업실습 지도능력을 갖춘 교사를 찾는 데 어려움이 많다. 개방형 학교장 공모제, 우수교사 초빙 등을 통해 전문성 있는 교사의 충원이 가능하지만 거의 활용되지 못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정책연구부장은 “농업에 대한 열정과 비전을 가진 중학생을 농고생으로 유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하고, 교사도 해당지역의 농업을 잘 아는 전문성 있는 인재로 뽑아야 한다”면서 “지역중심의 인력육성계획을 세운 뒤 농고생을 지역일꾼으로 육성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농대, 지역별 특성화해야=농대는 지역별 특색이 없는 게 가장 큰 문제다. 대부분 비슷비슷한 형태로 운영돼 특정분야에 대표성 있는 농대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농대가 인정받지 못하고 농대생이 인기가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농대를 지역별로 특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교수는 “농대가 농업관련 학문을 모두 취급할 것이 아니라 지역별 특성화를 통해 전문화해야 한다”면서 “특정품목을 자세히 알려면 특정농대에서 공부하는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대 교수의 평가방법에 대한 문제제기도 나온다. 외국 유명학술지에 실리는 논문 게재편수로 평가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라 전문성 있는 실습 위주 교수들이 불이익을 받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농대교수 평가에 논문과 함께 실습·전문성 등이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일부 학생들은 농대를 의사나 약사가 되기 위해 의학전문대학원이나 약대로 옮기기 위한 간이역으로 인식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한 농과대 교수는 “화학·생물 등 의대나 약대의 필수과목을 농대에서 배운 뒤 의학 혹은 약학대학원으로 옮기는 학생이 종종 있다”며 “이들 학생이 장학금을 타는 경우도 많아 농대의 면학 분위기를 심각히 해치고 있다”고 토로했다.

◆농식품부, 농고·농대 개편 착수= 농식품부는 농고·농대를 위주로 농업직업교육체계를 대대적으로 개편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농고·농대생들이 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농고·농대의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2017년까지 3개의 창조농업선도고를 만들 계획이다. 창조농업선도고는 기존 농고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영농의지가 있는 학생들을 학급당 20명씩 특별전형으로 뽑아 정예 교육하는 시스템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개방형 학교장 공모제와 도제식 실습교육도 도입된다.

농대에는 영농의지가 있는 농대생을 대상으로 전문기술과 현장실습이 강화된 별도 과정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016년도에 5개 농대에 영농창업특성화사업 과정을 사업단 형태로 신설할 방침이다. 도제식 실습교육, 해외 인턴십, 농업전문역량 인증제 등을 통해 농업계열 취·창업 비율을 대폭 높이는게 목표다.  (농민신문 2015. 7. 24 기사 발취) 

 

 

 

 

' > 농업기사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없는 1월, 1년이 맑다  (0) 2015.12.29
CA저장기술 활용  (0) 2015.09.16
"젊은이여, 農大(농대)로 가라"  (0) 2014.12.05
대륙의 피부를 바꾸는 아모레  (0) 2014.10.27
쑥 크는 紅蔘시장  (0) 201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