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57)
황토의 이해 붉은 흙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이해 필요 호기성미생물 활동이 왕성하여 유기물 분해 촉진으로 식물 양분 풍부 산하가 하나같이 초록으로 물들어 있는 삼림풍광에 흙은 고장마다 고유한 색조를 지니고 경관을 조화롭게 장식한다. 강원, 충북 일원의 석회암지대나 홍적퇴적층의 대지에서 발달된 흙은 황토색(Yellow)에 비해 적색(Red)이 선명하여 토색첩(土色帖, Munsell)의 색상(色相)이 5YR이상으로 적색토(赤色土) 색상에 가깝다. 이 범주에 포함되는 붉은색 흙은 우리는 적황색토(Alfisol, Ultisol)로 분류하여 열대와 아열대에 주로 분포한 옥시솔(Oxisol)과 구분한다. 옥시솔은 흙의 최종생성과정의 산물이어서 그전단계에 형성된 우리의 알피솔이나 울티솔보다 오랜 기간 풍화작용을 받은 관계로 철과 ..
테스트 팜 아인산염 7 아인산염의 효과
테스트 팜 첫 수확 6 탄소중립 모듈형 기술 테스트베드 스마트팜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목 중 딸기, 참외, 토마토, 파프리카 4개 품목이 전체 품목의 8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딸기는 2020년(누적) 기준 33.8%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딸기 재배면적 비중은 설향이 2019년까지 증가하였다가 최근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면서 감소하고 있으나 2022/23년 기준 82%로 가장 높다. 2005년 논산 딸기시험장에서 개발된 설향 품종은 다수확, 흰가루병 내성 등 많은 장점이 있어 딸기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테스트베드 재배작물은 딸기(설향)으로 선정하였다. 딸기로 선정한 이유는 딸기가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고 특히, 아이들이 좋아하여 체험농장으로 운영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딸기 품종 중 설향은 내병성이고, 수확량이 많..
완주 김해성 딸기 팜
농산물 저장온도 농산물 저장온도 조건표 품명 온도 (℃) 습도 (% ) 저장기간 품명 온도 (℃) 습도 (%) 저장기간 가지 7~10 85~90 7~10일 살구 -0.5~0 85~90 1~2주 감 1 85~90 1~2개월 상추 0~1 90~95 2~4주 감로메론 7~10 85~90 2~4주 생강 13~15 90~95 6~10개월 감자 1~~4 80~85 5~8개월 서양추리 -0.6~0 80~85 3~4주 건포도 0 90 2주 석류 1~2 85~90 2~4주 검은딸기 -0.6~0 85~90 7일 송이버섯 0~5 65~70 7~10일 고구마 13~16 90~95 4~6개월 수박 2~4 85~90 2~3주 나무딸기(흑) -0.6~0 85~90 7일 순무 -0.5~0 90~95 2~4개월 넝쿨월귤 2.4~4.4 85~90 1~..
와사비와 고추냉이 와사비와 고추냉이는 같지 않다 구성=뉴스큐레이션팀 정진이 입력 2017.10.13. 00:00 혀에 닿는 순간 눈물이 핑~ 코끝을 찡~하게 만드는 게 있다. 바로 와사비다. 일본의 대표 식재료이지만, 요즘은 한국에서도 라면, 과자 등의 식품에 다양하게 활용돼 새로운 매운맛의 유행을 이끌고 있다. 개성있게 매운 와사비. 그 역사와 효능을 알아봤다. 정의 이미지 출처= 시즈오카 현 공식홈페이지, Flickr(Alpha) 와사비(和佐比, 山葵, わさび)는 녹색을 띠고 매운맛을 내는 일본의 대표적인 향신료이다. 일본이 원산지인 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일년 내내 수확이 가능하다. 와사비에는 10가지 이상의 향미 성분이 포함돼 있는데, 이 성분이 생선 요리의 비린 맛을 없애고 음식의 풍미를 돋아주는 역할을 한다...
곰팡이와 탄소 땅속 '균뿌리'가 전 세계 배출 탄소 3분의 1 저장 입력 : 2023.12.12 생물 이름을 놓고 비호감 순위를 매긴다면 곰팡이는 분명 상위권에 속할 거예요. 그런데 놀랍게도 '땅속 곰팡이가 매년 탄소를 약 131억톤(t) 저장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주요 해결책 중 하나인 탄소 저장 시스템이 우리 발밑에서 자라고 있었던 거예요. 과연 곰팡이는 어떤 방식으로 탄소를 땅속에 저장하는 걸까요. 곰팡이는 기후변화에 시달리는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요? 육지 식물 뿌리 90%가 곰팡이와 공생 관계 세계적 환경 단체 '어스 워치(Earth Watch)'는 '지구 상에서 절대 사라져서는 안 될 5종'으로 꿀벌·플랑크톤·박쥐·영장류와 함께 곰팡이(균류)를 꼽았어요. 생태계 균형과 기능을 ..
오늘 몇 줄(Joule)의 일을 몇 와트(Watt)만큼 하셨나요? 튀김 덮밥 한 그릇이면 목욕물을 데울 수 있다?    다이어터들의 노트에는 각 음식의 칼로리(calorie)가 빼곡하게 적혀 있다. 음식의 열량 단위가 칼로리이기 때문이다. 칼로리는 ‘열’을 뜻하는 라틴어 ‘calor’에서 유래됐다. 단위 기호는 ‘cal’이다.칼로리는 물 1g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그렇다면 음식물의 칼로리는 어떻게 측정할까? 바로 봄 열량계(Bomb Calorimeter)라는 기구를 사용해 잰다. 봄 열량계는 밀폐된 용기 주위를 물이 둘러싸고 있는 기구이다. 음식물을 밀폐 용기에 넣고 완전히 태우면서 그동안 발생하는 에너지로 주위의 물이 얼마나 뜨거워졌는지 측정한다. 하지만 요즘은 음식물을 매번 태워서 측정하지 않고, 음식물 속에 들어 있는 영양 성분이 가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