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57)
농업 용어를 알자 농업 관련 용어집 󰡒 골 분 동물의 뼈를 분쇄한 가루. 만드는 법에 따라 조골분, 증제골분, 탈교골분으로 나누는 데 기압을 높게한 상태에서 생골에 열을 가하여 지방과 단백질 일부를 제거, 건조, 분쇄한다. 골분은 지효성 비료이고 인산이 주성분이다. 시료명 전질소(%) 전인산(%) 전칼리(%) 전칼슘(%) 전마그네슘(%) 탄소(%) C/N 생골분 4.90 24.72 0.07 34.02 0.80 10.73 2.19 증제골분 5.30 21.30 0.12 31.39 0.74 21.75 4.10 󰡒 근권미생물 뿌리 주위에 (근권)에 생식하는 미생물. 포장에서는 근산 이외에 뿌리로부터의 분비물 등을 먹이로 미생물이 번식하고 그 미생물이 토양이 양분을 작물이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변하게 하거나 미생물이 분비하는 양분..
엽면살포의 중요성 엽면살포의 중요성 작물은 뿌리에서 뿐만 아니라 엽면에서도 비료성분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근거하여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인위적으로 작물의 잎을 통하여 흡수할 수 있도록 뿌려주는 방법을 엽면살포(또는 엽면시비)라고 한다. 녹색잎은 기공(氣孔 : 대체로 1㎟ 당 20~400개 정도 분포함)을 통해서 광합성작용과 호흡작용을 하면서 동시에 탄산가스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게 된다. 기공에서 흡수하는 물질은 이들 기체 외에도 보통 뿌리에서 흡수되는 양분이나 다른 무기물과 유기물을 포함한다. 이때 흡수된 물질은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 식물체 내에서 이용된다. 엽면시비는 1844년 그리스(Gris)가 잎에 철을 시용하여 철결핍 증상을 회복시킨 이래 학계에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농업생산을 위한 실..
작물별 비료 표준사용량 작물별 비료 표준사용량 작물이 정상적으로 생육하고 목표 수량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파종 또는 정식으로부터 수확기까지 일정량의 양분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는 재배되는 토양의 특성이나 재배방법, 품종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작물 재배를 위해 시용해야 하는 비료량이 얼마인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비료를 일정 수준별로 시용하여 가장 수량과 생육이 양호한 비료 시용량을 찾아야 한다.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비료 수준별 작물 재배시험을 통해서 일정 수량을 생산하는데 평균적으로 필요한 비료 표준사용량을 설정하였다. 또한 토양 중 양분 함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만큼 비료사용량을 추천하는 토양검정 비료 추천량을 설정하여 합리적인 양분관리를 할 수 있도록 비료사용처방서를 제공하고 있다. ● 주요 작물의 비료 표준사용량 (성분..
비료를 잘 사용하자 적정 비료사용량 비료는 작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농경지에 사용하는 양분으로 크게 보통 비료와 부산물 비료로 구분할 수 있다. 비료 적정 사용은 작물 재배에 도움을 주지만 필요량을 초과해 사용하면 오히려 작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환경 부하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비료 적정 사용량 결정은 ‘작물생산과 농업환경 보전’이라는 두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농경지에 투입된 양분은 작물이 흡수하고 나머지는 토양에 잔존하며 일부는 수계로 유출될 수도 있다. 가장 이상적인 비료사용량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만큼 공급하고 토양 내 양분의 적정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다. 적정 비료사용량은 작물 종류와 토양 비옥도 그리고 비료 종류에 따라서 결정된다. 우리나라는 ‘작물별 비료사용처방(흙토람 토양환경정보시스템, soil.r..
더덕재배법 농사로 더덕재배 1. 더 덕 ◦과 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학 명 : Codonopisi lanceolata(S.et z) TRAUTY. ◦한약명 : 沙蔘, 羊乳, 白蔘, 四葉蔘, 土党蔘, 通乳草 등 ◦유사종 : 만삼(Codonopsis pilosula(FR.) NANNF.) 소경불알(Codonopsis ussuriensi (RUPR.exMAX.)HEMSL) ◦주성분 : 식품으로 인, 치아민, 리보플라빈, 단백질, 지질, 당 류, 철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뿌리에 사포닌과 잎에 플 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핏속의 콜레스톨과 지질의 함 량을 낮추며 혈관확장 및 혈압강화 효과가 있다 ◦용 도 : 해열, 강장, 거담, 효과가 있으며 항암효과와 변비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으며 식용으로..
땅콩 재배 땅콩 재배 1. 영양생장기 생육환경 가. 온도 땅콩은 열대 및 아열대지역 적응작물로 생육기간이 비교적 긴 고온 작물에 속한다. 또한 고온을 요구하는 작물로 생육기간 중의 평균온도가 20℃이상이어야 하며, 유효적산온도도 2,800℃(소립종)~3,600℃(대립종)정도를 필요로 한다. 생육기간이 길기 때문에 우리 나라와 같은 기상조건에서는 전 생육기간에 걸쳐 고온을 지속시켜 준다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땅콩의 발아온도는 최저 12℃, 최적23℃~30℃이다. 꼬투리째 파종하면 발아하는데 20일 이상이 걸리지만 종실만을 파종하면 고온에서는 3~5일, 저온에서는 2주일 정도가 걸린다. 땅콩의 생육적온은 25~27℃이며 소립종은 일반적으로 대립종보다 발아 및 생육적온이 낮은 편이고 생육기간도 짧다. 종실의 기름함량..
청명주 깔끔한 산미·누룩의 진가에 반하다 입력 : 2022-04-20 00:00 수정 : 2022-04-20 20:06 1760년대 농서(農書)인 에는 술 빚을 때 쓰는 누룩의 중요성이 강조돼 있다. 흔히 술보다 누룩 만드는 게 더 어렵다고들 한다. 우리 술을 빚는 양조장 가운데서 자가누룩(자신이 만드는 누룩)을 쓰는 곳을 알아주는 것도 그 때문이다. 전북 정읍에 있는 ‘한영석의 발효연구소’는 원래부터 전통 누룩을 잘 만들기로 이름난 곳이다. 정읍으로 귀촌한 지 5년차인 한영석 대표(52)는 누룩을 만드는데 왜 술은 내질 않느냐는 주변 성화에 못 이겨 지난달 를 출시했다. 올해 안에 ‘하향주’ ‘동정춘’ ‘호산춘’ ‘백수환동주’ 등 고문헌에 나오는 명주도 선보일 작정이다. 발효연구소는 7600㎡(2300평) 넓..
생육에 적합한 토양 pH 각종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 pH 작물명 최적 pH 작물명 최적 pH 작물명 최적 pH 가지 6.0~7.3 배추 6.5~7.0 연꽃 6.8정도 감 5.5~6.5 백합 6.0~7.0 영산백(왜철죽) 5.2~5.8 감귤나무 5.0~6.0 벼 (논 재배용) 5.5~6.5 오미자 6.0~6.2 감자 5.0~6.0 벼 (논재배용묘) 4.8~5.3 오이 6.0~7.0 강남콩 5.5~6.8 벼 (밭 재배용) 4.6~5.5 오챠드글라스 5.5~6.5 고구마 5.5~6.8 보리 6.5~7.5 옥수수 5.7~7.5 고추 6.0~7.0 복숭아 5.2~6.3 완두콩 6.0~7.0 곰솔(흑송) 4.7~5.2 부루콜리 6.0~6.5 우엉 5.5~6.5 구약감자 5.5~6.0 부추 6.0~6.5 월과 6.0~6.5 국화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