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 (862)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아바 재배 환경 구아바 재배 토양 환경 구아바는 다양한 유형의 토양에 적합하다. 그것은 배수가 잘되고 비옥 한 곳에서 더 잘 자란다. 비옥하지 않은 토양에서도 자란다. pH가 5 ~ 7 인 토양에서 잘 자란다. pH가 5 미만 또는 7 이상인 토양에서 재배하면 아연 결핍 또는 철분 결핍이 각각 발생한다. 구아바는 염분에 상당히 강하다. 묘목의 성장 임계 값은 1.2 dS / m이며, 14 dS / m에서 50 일 후 생존율은 25 %입니다 (Tavora, et.al., 2001). 구아바는 수분을 선호하는 과일 나무이므로 물이 많으면 가장 좋다. 강우량은 600mm / 년 이상이어야 한다. 1000mm ~ 2000mm가 최적이다. 식물 성장, 생식 성장의 개화 및 과일 발달을 위해 충분한 수분이 필요하다. 나무는 최.. 식물 영양 토양 속의 양분 ●CEC(양이온 교환용량•염기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CEC)는 양이온 교환용량이나 염기치환용량이라고 불려진다. 양이온(+)의 유지능력을 수치로 표시되고 있다. CEC를 나타내는 단위는 cmol/kg이나 meq/100g가 사용되고 있지만1cmol/kg=1meq/100g이기 때문에 단순히 수치를 비교할 수 있다. CEC 외에 Total Cation Exchange Capacity(TEC)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CEC와 같은 의미이며 같은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양이온의 유지능력이 양분유지능력과 같다고 생각하면 표1에서 양분이 식물에 흡수될 때의 형태가+이온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CEC의 수치가 크면 클수록 토양은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토양의 마이너스부분에.. 토양 수분 스폰지를 사용한 실험 먼저 스폰지에 물을 충분히 포화시킨다. 양동이에 스폰지를 완전히 담가 두는 것이 좋다. 이때 스폰지의 빈공간의 부분(공극)에 완전히 물이 스며들도록 한다. 그리고 스폰지를 양동이에서 들어 올리는 순간은 공극에 100% 물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비가 내려 토양이 수분으로 포화된 상태와 같으므로 「최대용수량」이라고 한다(사진1).그 스폰지를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손에 갖고 있으면 중력에 의해 자연히 물이 스폰지에서 흘러 떨어진다. 당분간 스폰지에는 아직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지만 흘러 떨어지는 물이 정지된다. 이 상태는 비가 그친 후1~3일 경과한 상태와 같아 「포장용수량」이라고 한다(사진2).포장용수량부터 다음에 설명하는 영구 위 조점까지의 포함되는 물은 식물이 이.. 토양 속 질소의 움직임 농경지 질소의 순환 토양-식물-대기에서 질소의 순환 작물체내에 질소가 과잉되면 광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탄수화물이 빨리 단백질이나 원형질로 변하여 무질소화합물인 세포벽 물질이나 리그린 형성을 위해 남게 되는 탄수화물량이 적어지므로 세포벽이 얇아지고 잎은 연약해진다. 또한 작물의 병충해, 서리해, 건조해에 대한 저항성도 약화된다. 배추의 경우 결구 초기에 질산태 질소가 과다하면 결구 내부의 어린잎들이 이를 전부 소화하지 못하여 잎자루 속에 질산태질소의 농도가 높아져 깨씨무늬 증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중륵에 깨알 같은 작은 흑색 반점이 생기는 증상이다. 작물체내에 질소가 결핍되면 작물의 전체 생장이 저해되며, 작물 아랫부분의 오래 된 잎이 황화되어 시든다. 줄기는 가늘고 딱딱해지며 담녹색이 되며, 뿌리는 생장이.. 원소의 당량 비료를 잘 주는 기본 대부분의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이 되는 화학적 본질을 원소라 한다. 각 원소의 원자량은 원자량이 12인 탄소-12를 기준으로 하여 비례적으로 결정한다. 한 원소의 원자가는 원자가를 1로 하는 수소원자의 결합력을 기준으로 비례적으로 결정한다. 즉, 원자가가 +3인 어느 원소는 화합물에서 3개의 수소원자를 대신할 수 있으며, -3가인 원소는 3개의 수소원자와 반응할 수 있다. 원소의 당량은 그 원소의 원자량을 원자가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1. 원자 및 이온의 당량 = 원자량/원자가ex) Ca2+ 당량 = 40/2 = 20 Mg2+당량 = 24/2 = 12 2. 분자(화합물)의 당량 = 분자량/양 이온의 가수ex) CaCO3 당량 = 100/2 = 50 CaSO4 .. 땅 속의 기압 뿌리 근처의 압력 땅속 압력은 엄청나다. 2.5m 깊이 들어갈 때마다 1기압씩 압력이 증가한다. 깊이 25m의 암반층은 10기압의 압력을, 250m 지점에는 100기압의 압력을 받는다. 이 힘을 버티던 지하수가 사라지면 지층이 압력을 버텨내지 못하고 가라앉는다. 지하수길이 침식돼 점점 커지면서 싱크홀이 생기기도 한다. 2007년 2월과 2010년 5월 과테말라 도심지를 습격한 싱크홀은 허리케인이 쏟아부은 빗물이 화산재층을 함몰시켜 발생한 사례다. 퇴적암이 많은 지역에서 더 큰 싱크홀이 생길 확률이 높다. 다행히 국내는 국토 대부분이 단단한 화강암층과 편마암층으로 이뤄져 땅 속에 빈 공간이 많지 않다. 지하수 외에도 원인은 다양하다. 지표수 물길을 다른 곳으로 돌리거나 저수지를 모래가 많은 지표층 위에 만.. 이온 이온 이온은 원자 또는 분자가 전자를 잃거나 (+: 양이온) 또는 전자를 얻은 형태(-: 음이온) 비료를 물에 용해시키면 양전하(+)를 띈 양이온과, 음전하(-)를 띈 음이온으로 분해되어 물속에 존재 •질산가리 : KNO3 = K+ + NO3 •제일인산가리 : KH2PO4 = K+ + H2PO4 •K2SO4 : 2개의 K+ (총 2개의 양이온), 1개의 SO42-(총 2개의 음이온) 원자(atom) : 각 원소들의 가장 적은 단위 원소(element) : 한 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진 물질 분자(molecule) : 같은 원소 또는 다른 원소들의 원자 결합체 H + H → H2 H2 + O → H2O 원자량 : 원자의 원자질량단위(amu)에 의해 측정된 원자의 질량 1 amu는 핵안에 6개 양성자와 6개 중.. 몰 몰(mole) 1몰(mole) 용액이란 1리터 중에 1몰의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이라 정의됨 (1 M = 1 mole/ L) ● 원자량 : 질량수 12인 탄소원자를 12.00으로 한 다른 원자의 상대적 질량 ● 분자량 : 원자량의 총합, 분자의 상대적 질량 ● 1몰 : 어떤 원자의 원자량g 속에 들어 있는 그 원자의 개수 (예) 탄소 12g 속에 들어있는 탄소 원자의 개수 ⇒ 6.02× 1023개(약 100조× 60억) ● 입자(원자, 분자, 이온): 6.02× 1023개의 모임 ⇒ 아보가드로수 ● 몰의 질량 : 화학식량g에 해당 (예) 물(H2O) 1몰의 질량 : H2O의 분자량g⇒18g ● 기체 1몰의 부피 : 표준상태(0℃, 1기압)에서 기체 1몰의 부피는 22.4L 아보가드로 법칙 : 기체의 온도,.. 이전 1 ··· 4 5 6 7 8 9 10 ··· 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