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我/좋은글모심

(93)
농업과 농부를 제대로 대접하라! 농업과 농부를 제대로 대접하라! [ 라이프 ] 슬로푸드국제협회 카를로 페트리니 회장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나 혼자 잘 먹고 잘사는 건 럭셔리한 삶이 아니다.” 160개국 10만 명 이상의 회원과 지지자를 둔 슬로푸드국제협회 카를로 페트리니 회장의 일갈이다. 그에게 음식은 단순..
교수는 무엇으로 사는가? 교수는 무엇으로 사는가? 김혜숙 이화여대·철학 지난 몇 달간의 변화무쌍한 상황전개 속에서 교육현장에 있는 나에게 가장 무겁게 다가온 물음은 ‘앞으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였다. 학내 사태와 박근혜-최순실 사태를 지나면서 ‘도덕의 힘’에 관한 무력감이 철학 선생인 내게 엄..
시련은 사람을 지혜롭게 만든다 시련은 사람을 지혜롭게 만든다 - 삶의 통찰력 조사 : 독일 막스프랑크 교육연구소 인간은 나이를 먹을수록 지혜로워지는가? 독일 베를린의 막스플랑크 교육연구소가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렇지 않다. 이 연구소는 15년 동안 14세 이상의 남녀 1,000명에게 지혜를 측정하는 질문을 던..
흙수저가 금수저를 이기는 법 흙수저가 금수저를 이기는 법 박정훈 논설위원 입력 : 2015.12.25 2015년은 '흙수저론'이 풍미했던 한 해였다.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많은 젊은이가 기회의 불평등에 좌절하며 없는 집안에 태어난 불운을 한탄했다. 누군가는 스스로를 '7포 세대(연애·결혼 등 7가지를 포기)'라 자조했고, 누군가는 절규처럼 '헬조선(지옥 같은 한국)'을 외쳤다. 한번 약자(弱者)는 평생 약자라는 신분 고착화의 절망 담론이 우리 사회를 휩쓸었다. 다윗이 거인 골리앗을 쓰러뜨린 것을 기적이라고 한다. 약자가 강자를 이긴 불가능 같은 일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1만 시간의 법칙'으로 유명한 경영 멘토 맬컴 글래드웰은 그런 통념을 부정한다. 그에 따르면 다윗의 승리는 예상된 것이었다. 이길 싸움을 이겼다는 것이다. 그..
농업·농촌의 희망 6차 산업 농업·농촌의 희망 6차 산업 기고 |김정곤 전라북도농업기술원장 desk@jjan.kr 농업·농촌에 ‘6차 산업화’라는 새 바람이 불고 있다. 70년대 증산정책에서 80~90년대 수입개방화에 따른 경쟁력 강화 정책으로 농업 생산성은 향상되었다. 그 후 농촌인력의 고령화, 여성화, FTA 등 농업·농촌의..
매커너히의 졸업 축사 매커너히의 졸업 축사 [중앙일보] 입력 2015.06.12 01:51 지난달 22일 뉴욕대 졸업식에서 ‘욕설 축사’를 하는 배우 로버트 드니로. [뉴욕 AP=뉴시스] “삶은 공정하지 않다. 예전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자신이 희생양이라는 감정의 덫에 빠지지 말라. 여러분은 희생양이 아니다. ..
“여러분은 망했다” 로버트 드니로 뉴욕대 졸업식 축사 “여러분은 망했다” [중앙일보] 입력 2015.05.27 “여러분은 해냈다. 그리고 여러분은 망했다.” 로버트 드니로가 22일(현지시간) 뉴욕대학 티쉬(Tisch) 예술대 졸업식 축사에서 한 첫마디다. 졸업과 동시에 혹독한 사회가 기다리고 있음을 재치있게 표현한 ..
농부 대통령 무히카 ​​나는 가난하지만 마음은 절대로 가난하지 않습니다. 삶에는 가격이 없어요.​ ​부자들이야 말로 가난한 사람들이죠. 왜냐하면 그들의 욕심은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 가난한 사람에게 필요한건 동정이 아니라 기회 입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물질이 아니라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