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99)
철학이 삶을 묻다 삶의 의미 찾아가는 철학 여행 [출처: 중앙일보] [김기현 철학이 삶을 묻다] 좋은 삶, 충돌하는 욕망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달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 질문이 나오면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려는 고리타분한 도덕주의자의 훈계를 예상하게 된다. 개성대로 살고, 가치관이 부딪칠 때는 서..
시조가 있는 아침 2 난초 1 이병기 (1891-1968) 한손에 책을 들고 조오다 선뜻 깨니 드는 볕 비껴 가고 서늘바람 일어 오고 난초는 두어 봉오리 바야흐로 벌어라 - 가람문선 현대시조의 아버지 가람 난초가 개화하는 순간을 그려낸 작품이다. 가람의 이 시조를 보면 고시조의 옷을 완전히 벗어 던진 것임을 알 수 ..
시조가 있는 아침 1 다정가 多情歌 이조년 (1269-1343)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양 하여 잠못 이뤄 하노라 -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사랑하는 마음으로 여는 새해 은하수가 흐르는 자정 무렵, 달빛에 비친 배꽃이 희다..
회암사지 회암사지를 찾아서 지정구분 국가지정문화재 종목 및 지정번호 사적 제128호 명칭(한자) 양주 회암사지 (楊州 檜巖寺址) 유형분류 적건조물 지 정 일 1964-06-10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1번지 지도로 보기 시 대 고려시대 양주 회암사지(楊州 檜巖寺址)는 사적 제128호로 소재지는 ..
전북 천리길 현황 전북 1000리길 현황 ‘전북 1000리 길’엔 1000가지 이야기가 담겼다. 작은 샘을 떠난 물이 모여 만든 금강·섬진강 길엔 역사와 문화가 함께 흐른다. 1000리 길 곳곳에 있는 바위·나무 등에도 애틋한 사랑 이야기와 신비한 전설이 숨어 있다. 끝없이 펼쳐진 들판 너머로 해가 지는 길엔 농민..
칠레초석이라는 구아노(NaNO3) 소똥 암모니아 19세기 초까지 질소는 콩과 식물이나 번개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생긴 질소 화합물과 칠레초석이라는 구아노(NaNO3)로 충분했다. 구아노는 가마우지 등의 배설물이 오랫동안 거대한 산처럼 쌓인 새똥으로 페루의 무인도에서 발견되었다. 1883년10월20일 페루 중부 도시 앙콘. 수..
농업과학 선구자 벤 구리온 농업과학 선구자 벤 구리온 우리가 사막을 정복하지 않으면 사막이 우리를 정복하고 말 것이다. ‘네겝’은 ‘메마른, 남쪽’이라는 뜻이다. 한글 개역개정 성경에서는 네겝 외에 “네게브로 번역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북부의 갈릴리호 주변을 제외한 전 국토는 남부의 네게브 사막이다..
화타 삼형제 화타 삼형제 [중앙일보] 입력 2019.02.07 강갑생 기자 화타는 중국 한나라 말기의 명의(名醫)로 ‘죽은 사람도 살려낸다’고 할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의술에 있어 자신의 두 형님을 더 높게 평가했다. 화타에 따르면 큰 형님은 어떤 이가 아픔을 느끼기 전에 얼굴빛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