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223)
약용식물대사전 약용식물대사전 민간요법과 함께 전해지는 전통약초는 물론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활에서 먹고 있는 채소와 과일을 포함한 250종의 약용식물을 실은 책이다. Part 1에서는 식물·생약의 사진과 함께 각 식물의 특징과 생김새, 이름의 유래, 효능, 약용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이용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
神의직장 안부러운 농대졸업생 神의직장 안부러운 농대졸업생 [매일경제] 2007년 10월 28일(일) "너희들은 누구지?" "농민사관생도입니다." "우리 농업은 누가 책임지지?" "저희들이 책임집니다." 정명채 한국농업대학(이하 한농대) 학장은 가끔식 재학생들을 상대로 특강을 할 때마다 이 같은 문답 구호로 강의를 마무리한다. 세계 어느 나라 농민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 자질이 뛰어난 '농업엘리트'들에게 '자신감'만 있으면 못할 게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 한농대 졸업생들은 농촌뿐 아니라 도시 회사원과 비교해서도 월등히 나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 28일 한농대가 지금까지 이 학교를 거쳐간 졸업생 1635명 중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1408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졸업생들이 올리고 있는 평균 농가 소득이 무려 6880만원에 ..
고사성어속에 담긴 지혜 故事成語 ※ 푸른색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 가인박명(佳人薄命)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각자위정(各自爲政) ⊙ 각주구검(刻舟求劍) ⊙ 간담상조(肝膽相照) ⊙ 간담초월(肝膽楚越) ⊙ 간장막야(干將莫耶) ⊙ 강노지말(强弩之末) ⊙ 개과천선(改過遷善) ⊙ 개권유익(開卷有益) ⊙ 거안..
작물의 소리를 들어야 명품이 탄생 농작물 소리 들어야 명품 탄생 “그대는 내가 키우는 농산물의 소리를 듣고 있는가?” 작물의 가지에서 대나무 바람소리가 들려야 명품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종이 부딪히는 소리, 찢기는 소리가 들린다면 결코 명품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가족의 아픔과 기쁨이 들리는 것처럼 농작물의 소리를 들어야 자신 있는 농산물을 만든다. 맛있는 농산물은 반드시 팔리고 좋은 농산물은 반드시 찾아오는 소비자가 있다. 유기농업, PC농법 등 과학을 바탕으로 농산물을 만드는 시대가 왔다. “그대는 최고의 명품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는가?”자신이 생산하고 판매하려는 진짜 좋은 농산물을 사진으로 담아보자. 그리고 그것 이상으로 직접 만들어보려는 계획이 있어야 한다. 옛날에 쓰던 골분, 재거름 등은 소비자가 원해서 다시 등장하게 ..
현욱이의 도전장
현장에서 찾는 과학농업 최원개교수님의 현장 강의는 작물진단을 통해서 식물의사의 자격을 갖게 한다. 그대들의 깨어있는 눈과 귀는 새로운 농업을 여는 한국 젊은이들의 아름다운 상상이다.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약용식물 포장에서 열공하고 있는 특용작물학과 학생들
횡성오미자농장 손기원(특작8기, 2006년졸)군의 오미자농장 손기원(특작8기, 2006년졸)군의 오미자농장(강원 횡성군 둔내면 현천 3리 1082)의 오미자와 당귀육묘장 오미자의 오미(五味) 苦味(고미): bitter taste 쓴맛 澁味(자미): astringent 떫은맛 酸味(산미): acidy taste 신맛 鹽味(염미): salty taste 짠맛 甘味(감미): sweet taste 단맛 좋..
사랑은 그래서 아프다 사랑은 그래서 아프다 / 우은숙 꽝꽝 언 왕송저수지에 얼음썰매 타면서 호기심에 건넌다 무언가 툭! 발에 채인다. 얼음 틈, 보시의 배를 내민 물고기 한 마리. 여몄던 단추 풀고 겨울 철새 허기 위해 풍장으로 누워 있는 물고기의 허연 살점 총·총·총 새들의 발자국 빙판위에 바쁘다. 숨 가쁘게 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