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223) 썸네일형 리스트형 건강식물의 효능과 활용법 책 소개 임상적 실험과 경험을 토대로 가족의 건강을 지킨다! 이 책은 이제까지 국내외에 알려진 주요 건강작물의 특성과 이용에 관한 자료들이 망라되었다. 민간요법과 한방요법을 중심 내용으로 하되, 임상적 실험과 경험적인 체험을 토대로 하여 간단명료한 자가 처방법, 식물 각각의 성분과 효능 .. 갯벌의 보석 함초를 찾아서 우리의 갯벌에서 소금기를 이겨내며 건강한 약초로 거듭나고 있는 함초에게도 가을이 찾아 오고있다. 함초를 채집하는 1년생들, 이 무한한 자연속에서 하나되어 공룡의 그림자를 밟으며 오늘을 돌아 본다. 자연과 함께하는 어린이를 만나서 한수 배우고 있다, 함초에게서 소금같은 인생을 배운다. 한국농업대학이 보여주는 우리 농업의 희망 [사설]한국농업대학이 보여주는 우리 농업의 희망 입력: 2007년 10월 30일 17:52:18/ 경향신문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는 ‘농업은 힘들고 돈 안되고 미래가 없다’는 자조적인 인식이 확산되었다. 농사 짓는 일 자체가 힘든 것도 있지만 그보다는 농업을 생업으로 하는 경우 가정을 이루고, 자녀를 교육시키며, 안정적인 노후를 보내는 일 어느 것 하나도 만족스럽게 꾸려가기 어려운 경제적 현실 탓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다 날로 거세지는 시장개방의 파고를 생각하면 우리 농업의 미래는 어둡게만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환경 속에서도 우리 농업에 희망을 걸고 땅을 일구는 인재들이 있다. 농업진흥청 산하 3년제 국립대학인 한국농업대학의 졸업생이 그 주인공이다. 이 대학 졸업생 농가의 평균 소득이 6.. 한국의 10대 이용약초 Dr. Green 책 소개꽃과 나무를 지키는 우리집 원예 주치의!꽃과 나무의 증상에 따른 정확한 원인과 관리방법을 이 책 한 권으로 알 수 있다!꽃과 나무는 삭막하고 답답한 생활에 생기와 활력을 주는 존재로, 어느 집이나 한두 그루의 나무나 한두 포기의 꽃을 키우고 있습니다. 그러나 키우기가 생각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때로는 꽃이 떨어지거나 맺히지 않아서, 때로는 잎과 가지가 썩거나 시들어서 곤란해지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이럴 때 흔히 병해충을 의심하게 되는데, 그보다 먼저 기르는 방법에 문제가 없는지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꽃과 나무는 종류에 따라 자라는 곳이나 온도·수분·비료 등 생육방법이 많이 다릅니다. 그 만큼 재배환경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며, 잘못된 재배환경은 잘 자라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꽃과 .. 1년의 결실을 찾는다 처음 파종했던 더덕 씨앗, 작은 생명의 불씨를 지키고자 노력했던 그대의 정성들. 1년의 아품이 잉태한 결실들, 더덕의 모습이 청아한건 땅을 순구하게 했던 손길이다. 깊어 가는 가을 속에서 수확 후 맛보았던 더덕 삼겹살은 잊지못할 추억이 되리라. 한농제의 얼굴 한농제 특작과 얼굴 약초 버섯동산속에 꿈의 인생을 만들려는 의지를 보았다. 땅속의 보약들이 용솟음쳐 건강과 행복을 만든다. 지극 정성 노력은 변화의 시발 점이다. 메밀, 마를 중심으로 일군 이상향 -구기노村 세계의 메밀(일본 편)메밀을 중심으로 일군 이상향 -구기노村 구기노촌은 일본의 남단 큐슈 구마모도현 동방에 위치한 아소산의 남향 계곡의 중심부에 있는 마을로 아소의 5개 봉우리가 한 눈에 보이는 인구 2,700명의 전형적인 산골 농촌이다. 지금은 관광객이 연 100만명을 돌파했으며 메밀을 중심으로한 관광농업으로 활기가 넘치는 마을로 주목받고 있으나 불과 10년전에는 관광객이라고는 고사리와 약초채취를 위한 소풍정도로 년간 4~5,000명이 고작이었다. 마을의 소득은 거의가 목축과 경사지를 이용한 벼농사에서 오는 농업 조생산에 의존했던 마을이었다. 이와 같은 구기노 村을 찾은 것은 작년 12월이다. 강원도 고랭지 배추 값이 생산비도 못 미쳐서 그대로 갈아엎어 버리고 강원도 감자 팔아 주기운동이 벌어지고 있을.. 이전 1 ··· 393 394 395 396 397 398 399 ··· 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