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날마다한생각

(55)
경청(傾聽)과 목계(木鷄) 경청은 귀를 기울여 정성스럽게 듣는다는 뜻이다. 이 말의 어원은 중국 고전인 예기(禮記)에 나오는 ‘경이이청(傾耳而廳)’이다. 상대의 말을 주의 깊게 들으면 경직된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 내 생각이 옳다고 굳게 믿었던 고정관념을 버리고, 미처 알지 못했던 것을 깨닫게 된다. 더 넓은 시각으로, 더욱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목계는 나무로 만든 닭이라는 뜻이다. 중국 고전 장자(莊子)에 나오는 싸움닭에 대한 우화에서 유래한 말이다. 목계는 어떤 싸움닭이 덤벼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목계의 초연함과 의연함은 리더의 필수 덕목이다. 상대의 온갖 도발에도 동요하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해야 유능한 리더가 될 수 있다. Listening means listening carefully and listening..
아름다운 변신 어떻게 사는 것이 훌륭한 人生인가? 무엇을 위해 사는 것이 올바른 길인가? 나는 지금도 모르지만, 一生을 통해서도 깨닫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나는 너무 쉽게 말을 하고 있다. 신문을 펴고 인터넷을 켜며 他人의 이야기를 읽으며 他人의 問題에 온 關心과 情熱을 모으는 수가 너무 많다. 너무 오랫동안 남의 일에 신경 써 왔다. 타인의 문제, 타인의 언어에 필요 이상의 관심과 시간을 낭비해 왔다. 요즘 내가 참담하도록 느끼는 자신의 문제, 낡은 理性에 대한 패배감이 인생 터널을 지나는 공유적인 슬픔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나는 가능성이라는 연약한 지주에 매달려 지금까지 잃어온 모든 것을 메우고 복구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고백하고 싶다. 나의 밑동까지 송두리째 뽑혀 나가는 견디어 내기 힘든 경우라도 참아..
용서하고 또 용서하라 ‘눈에는 눈’을 고집한다면 우리는 모두 장님이 될 것이다. An eye for eye only ends up making the whole world blind. An eye for eye only ends up making the whole world blind. - Mahatma Gandhi ‘눈에는 눈’은 결국 온 세상을 눈멀게 만든다. - 마하트마 간디 * eye for eye: 눈에는 눈, 똑같은 보복 * life for life, tooth for tooth, hand for hand, and foot for foot: 목숨에는 목숨, 이에는 이, 손에는 손, 발에는 발 * retributive justice: 인과응보 * cycle of violence: 폭력의 순환 * end up ~ing..
바보들의 혁명 「왜 이렇게 늦었어?」선생의 질문에 제자는 어이가 없다는 듯이 「선생님, 지금 밖에는 혁명이 일어나서 온 천지가 발칵 뒤집히고 있습니다. 」 「그래, 금시초문이야. 그러나 진짜로 우리들의 혁명은 밖에서 보다 우리들의 연구실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다. 빨리 일을 시작하게나」 자기의 학문에 몰두한 나머지 밖에서 나라를 뒤엎는 혁명이 일어난 줄도 몰랐던 니콜라이 바빌로프 같은 바보들이 이 땅에 몇 사람쯤 있어도 손해 될 건 없다. 자기가 맡은 바 직분과 책임 사명에 대해서 완전하게 불태울 수 없는 사람은 주위에 연기와 그을음만 되어서 돌아 올 뿐이다. When asked, “Why are you so late?” the student asked, “Teacher, there is a revolution outs..
고향가는 길 나는 누구인가? 眞實한 나를 찾기도 前에 他人의 물결에 휩쓸려 오지 않았는가. 사실 깨어서부터 잠들 때까지 必要 이상으로 他人의 삶과 他人의 생각에 關心을 가졌다. 끊임없는 지상파와 폰의 흐름 속에 나를 보았는가. 그래서 이 時代를 사는 우리는 모두 돌아가 쉬어야 할 마음의 故鄕을 喪失했다고 한다. 어쩌면 故鄕을 喪失한 것이 아니라 故鄕으로 돌아가는 길을 잃어버린 것이다. 그래서 모두는 숲을 이룬 빌딩의 언저리나 群衆의 틈바구니에서 저 자신을 외롭게 여기며 배회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故鄕으로 돌아가는 길, 천천히 그러나 쉼 없는 內面의 삶이 지름길이다. 他人이 아닌 自身을 향하는 삶이 그리던 故鄕을 찾을 때까지 내려놓을 수 있는 勇氣를 갖자. Who am I? Before I knew my true se..
반드시 떠난다 네델란드 Wageningen농업대학에는 는 연못이 있습니다. 곤충의 탈바꿈에는 눈부신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번데기라고 하는 그 오랜 시간의 구속 안에서의 인고가 끝나는 어느 날, 그는 빛나는 두 날개를 가지고 하늘을 날아오르는 것입니다. 생각하면 눈물 겨운 일입니다. 우리에게 있어서도 그 뜻은 같습니다. 오래 참고 오래 기다리고 깊이 좌절한 사람만이 그 해후의 기쁨을 아는 것입니다. 속거나 기만을 당하더라도 오랜 시간을 그렇지는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불면의 긴 겨울밤을 지나면서 하나씩 하나씩 추수리어 온 스스로의 것을 다듬고 건강하게 성숙해지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우리가 오랫동안 괴로워하고 긴 시간을 참담히 견디어 내면서 그어놓은 젊음의 공간을 소유하게 되고 언젠가 물을 주고 가꾸면 더욱 굳건..
새로운 출발 새해가 밝았다. 새해가 되면 성공적인 삶을 위하여 새로운 다짐을 한다. 성공하는 사람은 성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실패하는 사람은 실패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노력하기는 마찬가지 인데 그 사람의 신념과 정신력에 따라 달라진다. 1년을 돌아 보면 어떤 사람은 그것을 성공으로 이끌고 어떤 사람은 마치 실패하기 위해서 노력한 꼴 밖에 되지 않는다. The new year was bright. In the new year, we make new commitments for success. Those who succeed try to succeed, and those who fail try to fail. The same is true of trying, but it depends on the person's bel..
지혜, 온정(溫情), 그리고 용기 용기로 불행을 견디는 법을 아는 사람만큼 존경받는 사람은 없습니다. 지혜, 온정(溫情), 그리고 용기는 청년농업인이 지녀야 하는 세 가지 덕목들입니다. There is nothing so much admired as a who knows how to bear unhappiness with courage. The three virtues that young farmers who lead future rural society must possess are wisdom, warmth, and courage.